생윤 생명공동체 라는 표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865127
생명공동체라는 표현은 테일러도 쓸 수 있고 대지윤리도 쓸 수 있는것 맞죠??
만약 맞다면 대지윤리에서 생명공동체의 범위는 무생물까지 포함인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865127
생명공동체라는 표현은 테일러도 쓸 수 있고 대지윤리도 쓸 수 있는것 맞죠??
만약 맞다면 대지윤리에서 생명공동체의 범위는 무생물까지 포함인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거 현돌님의 환경윤리n제에 나오는거죠? 생명공동체는 무생물을 제외한 인간, 동물, 식물을 뜻하는거에요.
생명공동체라는 표현은 테일러도 쓸 수 있고 대지윤리도 쓸 수 있는것 맞죠??
▶맞습니다.
만약 맞다면 대지윤리에서 생명공동체의 범위는 무생물까지 포함인건가요???
▶테일러의 경우 견해가 갈리지만, 레오폴드의 경우 그렇습니다.
띠용
테일러의 생명 공동체
이지영T: 인동식
강상식T: 인동식무
저: ? 테일러 책을 읽어보고 관련 환경윤리 서적도 출판된 모든 책을 읽어보고 논문도 읽어봤지만, 둘 중에 무엇이 옳은지 판정할 수가 없었습니다. 관련 내용이 언급조차 안 됩니다.
아! 현돌님 혹시 마르크스가 필요에 따른 차등분배를 주장했었나요?
네? ㅇㅅㅇ..? ??
필요에 따른 분배라고 알아두시면 될 것 같은데요
저번에 오르비에서 누가 마르크스가 필요에 따른 차등분배른 주장했었다고 해서요.
전 처음 듣는 말이네요.
제가 마르크스에 별로 관심이 없긴한데....
아무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 그런데 제가 정확히 각 샘의 입장을 적은지는 모릅니다.
저도 강의를 들어본거는 아니어서요. 학생들 질문을 기억해보면 그렇다는 건데 확실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