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대 낮은과vs서성한 높은과 선택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755333
이과인 경우 무조건 성한 공대
문과인 경우 무조건 연고대 인문
학벌에 엄청난 중요도를 둔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왠만하면 성한 공대 가는게 취업면에선 좋습니다. 취업률이 100%에 준하는 과들이 많아요.
문과는 대학간판의 위력을 무시할수 없으니 연고대 닥픽 하시고요. 또한 다전,복전이 용이합니다.
아물론 취업을 벗어나 적성이 맞고 자신의 꿈과 포부와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면 연고 자과대 ㄱㄱㄱㄱ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삼, 홍삼에 대한 말들 중엔 이런 말들이 있습니다. 인삼 먹으면 열이 오른다'...
이과는 과가 너무너무중요
연고 자과 vs 서성한 전화기 고르라하면 사람들 당연히 후자 고를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전자를 많이 고르더라고요
저랑 생각이 달라서 신기햇슴
학벌이 수험생의 선택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니까요 그치만 후회할지도..
많은 학생들이 학과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학벌의 중요성만 계속 세뇌받다보니 생기는 현상이지요. 막상 대학을 다녀보면 오히려 "학벌이 그렇게까지 중요한가?"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성한 건도토 중 공(창의 말고)
닥중공 성한이랑 중이 넘사벽같은 것도 아니고 공과대학 기계 가면 닥닥닥중
성한 건도토 +메이저 복전
공대라도 학벌로인한 선택의폭이 넓어지는건
연고대까지여서
닥 중공일것 같아여
그러면 연고 낮은과 + 메이저 복전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문과울어요
엉엉..
전 연고인문 vs 서성한 상경 중 후자 택한 경우라..
전 그냥 떨어지고 상경ㅋㅋㅋ
가군최초장학인걸로 보니 정시템..?
허걱
동기 ㄷㄷ
연신학은 어떰
으윽...
ㄴ연대는 전과쉬워서 연대는 가는거 추천
고대는 전과안돼서 비추
세상에 무조건이 어디 있나요..ㅋㅋ이건 좀...
그냥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ㅎㅎ 취업면에서만 말한거에욤
취업자체만 놓는건가요.. 음..취업도 직무가 있고 적성도 있는건데요 성급한 일반화인거같아요. 아 물론 제가 곧 졸업이라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태클걸 의도는 없어요. 다만 저는 취업은 한번에 끝나는게 아니라는 점은 지적하고싶네요. 외려 덮어놓고 회사들어가는것만이 능사는 진짜 아닌더라구요. 요즘은 무작정이 아니라 취업이란 무엇인가 그 자체를 놓고 고민해서 그럴수도..... 근데공대라고 다 잘가는것도 원하는곳을 가는건 아닙니다. 성급하게 갔다가 후회하는 사람도 너무 많이봐서요. 어렵네요. 공대 공부가 적성 많이타거든요.그래서 안맞는데 무작정 버텨라 이것도 맞는지 모르겠고..그리고 연고자과 취업 곧잘 잘해요 솔직히 아주 놀지만 않으면요 문제는 진학률과 눈높이문제구요. 상대적으로 공과가 잘하긴하지만요. 아 물론 연봉문제도 빼놓긴힘들겠네요. 공과애들보다 밀리다보니 바로 안할려는경향도있고 나름의 사정있더라구요.
넵 맞아요 ㅎㅎ 그냥 취업만 얘기했어요 그래서 막줄 달아논거에욤 그리고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일뿐..
고대 기공, 설대 조선해양공은요?
성대 반도체를간다.
이과라도 ( 약대 교수 ) 메이저 연구소등
생각한다면 전자가 선택의 폭에 훨씬 넓기에
결국 전자가는 사람들이 많죠
단순취업만따지는건 의미없기도하구요.
원래 선택의 폭은 자과대,인문대가 더 넓죠 공대일수록 선택의 여지가 없고.. 원래 그런 과들이 취업이 잘되는 경향성이 있는건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