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갓님들 요나스 선지 설명 좀 부탁드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83989
요나스는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책임과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이게 무슨 말인죠? 해석 좀요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학 내기를 해서 1 못맞으면 아이스크림 돌리기로 했었거든요?? 그래서 45점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83989
요나스는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책임과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이게 무슨 말인죠? 해석 좀요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화학 내기를 해서 1 못맞으면 아이스크림 돌리기로 했었거든요?? 그래서 45점인가...
요나스는 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책임과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
요나스의 생태학적 정언명령:
"인간 행위의 새로운 유형에 적합하고 새로운 유형의 행위 주체를 지향하는 명법은 “너의 행위의 결과가 지상에서의 진정한 인간적 삶의 지속과 조화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너의 행위의 결과가 인간 생명의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파괴적이지 않도록 행위하라.”, “지상에서의 인류의 무한한 존속을 가능하게 하는 제 조건을 위협하지 마라.”, 또는 “미래의 인간의 불가침성을 너의 의욕의 동반 대상으로서 현재의 선택에 포함하라.”가 되어야 한다."
에 따르면 인간은 인류(인간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함.
그런데 책임의 대상을 미래의 인류에 확대하는 동시에 모든 생명체, 자연에까지 확대해야 함.
모든 생명체 = 다른 존재.
현돌님 하나만 더 여쭤볼게요
요나스는 환경윤리에서 어떠한 입장을 취하나요? 무생물까지 다 존중하는 생태중심과 인간중심이 합쳐진 새로운 책임윤리라던데 정확히 뭔가요? 그리고 요나스는 생명공동체를 레오폴드처럼 무생물까지 포함시켜서 보는건가요?
요나스에 대한 해석은 다양합니다. 온인중으로 보는 관점도 있고, 생명 중심주의로 보는 관점도 있습니다.(교수님마다 해석이 다름)
그러나 우리는 생윤을 하는 것이고, 교육과정 즉 4종 교과서를 기준으로 보셔야 하구요.
교학사 교과서에는 요나스를 생태 중심적 입장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실 궁금하신 많은 내용들에 대한 답이 킬러적중 교재에 들어있습니다.
위 사진은 '현자의 돌 생활과 윤리 킬러적중 EBS수능특강 변형 문제집 (2018년)'102p 캡쳐본입니다. 참고하세요.
아 그리고 생명체랑 생명공동체랑 다른 말인가요? 문제를 풀면 답은 맞아도 좀 아리까리한게 항상 남아있는데 너무 헷갈리네요..
생명체는 개별 생명체이고, 생명 공동체는 그 생명체들이 모여있는 집단적 생태계 개념입니다. 가령 강, 갯벌 등이 생명 공동체의 사례입니다.
환경윤리에서 혼동되시는 내용은 '현자의 돌 생활과 윤리 환경윤리 이론 총정리 & 문제풀이 (2018년)'에 대부분 정리되어있습니다. 출제 가능한 내용은 100% 모두 정리했습니다.
이 사진은 그 책의 199p 캡쳐입니다. 참고하세요. (레오폴드 원전 내용을 인용한 것임. 저거 레오폴드가 직접 쓴 것.)

감사합니다!!!
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