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68268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레오폴드는 생태계 보존이 목적이라면 인간이 간섭할 수 있다고 보지 않나요?
현돌님 블로그도 있으니 찾아가서 여쭤봐도 좋을 듯
저도 그렇게 생각중ㅠㅠ결국은 현돌님이 말하신게 맞는 것 같은데 찝찝,,,,,, 현돌님 게시글에 댓글 달았으니 답 주시겠죵
수특에 보면 이렇게 나와있네요 테일러의 자연 존중의 네 가지 의무 중
불간섭의 의무: 개별 유기체의 자유를 간섭하거나 생태계를 조작, 통제, 개조 하려는 시도를 하지말아야함
테일러가 주장한 것이죠
근데 레오폴드가 비판받는 주용한 내용 중 하나가 생태 파시즘이잖아요?
전체를 위해서 개체의 희생까지도 눈감을 수 있다고 했으니까요
즉 개체에 간섭해 그 개체를 조작하여 전체에 더 큰 이익이 된다면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게 레오폴드의 입장인데 불간섭의 의무가 적용이 될 수 없지않을까요?
그런것 같아욤 저도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지영t 작년 강의에서 공통점이라고 엄청 강조함,,,, 오개념인가?
레오폴드 자연에 간섭 짱 마니 하는데... 레오폴드 책에 보면 내용에 대부분이 자연에 간섭한 내용인데...
제가 책 찍어서 올려드릴게요 잠시만요
이거 맞죵ㅠㅠ
현돌책이아니라 원전말씀하시는듯
아,,,하
수특 수완 둘 다 환경파트랑 실모 파트 훑어봤는데 그런내용이 없는것같은데욧
수완 수특 출처라고 해서 잘못댓나 찾아봤는데 둘이 그런내용을 논한게 없움..
네네 원전이요
지금 추석특강 올라온게 작년 추석특강이라 이번년도 수특수완이 아니라 이번년도 이전 수특수완일듯옹
칼럼이라 40분~1시간 정도 걸리니 기다려주세용
넵!!!,!,
레오폴드는 생태계 보전을 위해서라면 개별 생명체을 희생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환경 파시즘이라는 비판을 받고, 테일러는 어떤 경우든 불간섭의 원칙을 펼치기 때문에 자연 그대로의 파괴 상태에서도 그대로 두기 때문에 환경 파괴를 막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고 하네요. 출처는 수특입니다
네네 저도 같은 생각임용ㅠㅠㅠ이졍t가 오개념인걸로
하 이지영 질답게시판은 ㄹㅇ 답이 너무 느림 진짜 답변 받을라면 거의 2주이상 기본기다림영,,,
생활과 윤리 오개념, 레오폴드의 사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70855
1시간 걸렸는데 ㅠㅠ 너무 밤이라 칼럼이 묻힐 것 같네요...
힝..
적어도 현역으로끝내자님은 보실테니까..
킄킄 깔끔쓰한 답변 감사합니다! 걍 이제는 뒤도 안돌아보고 현돌님만 믿고 갑니다?
근데 제 기억에는 이지영 쌤 수업중 기출푸실때 불간섭 의무 레오폴드 x하시던데요? 확실히 파이널시즌 할 게 많으니까 오개념 슬금슬금 올라오는듯
이번에 올라온 추석특강 리턴즈 1일차 2강 37분 1초부터 보면 형광펜까지 치고 레오폴드앙 테일러 공통점이라고 하라고 하셨음용...
방금 다시 확인했숩니당
레오폴드는 생태계 자체가 내재적가치를 지녀서 불간섭의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설명하심....ㅋㅋㅋㅋㅋ,ㅋ오개념 슬쪅,,
흠...샤프 모의고사 조심해야겠네요ㄷㄷ
현돌님 모의고사 푸세영!!,! !,, 개 고퀄임
저 근데 방금 찾아봤는데 저 강의 작년 강의네요 저거 듣고 수능쳤으면 진짜 ㅈ될뻔..ㄷㄷ
작년 추석특강 강의를 이번에 다시 들으라고 올려주신거임ㄷㄷㄷ작년꺼 쿼 좋다며 들으라고 다시 열어준다묜서
생태계 불간섭 아니에요. 레오폴드는 생태계 전체를 위해서라면 인간이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그렇기에, 네스가 그 점을 비판하면서 큰 자아 이론을 내세우기도 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