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장이T] 국어 3대 함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67589
국어 공부의 3대 함정
그 대답
Q. 구조도를 그리는 게 좋나요?
A. 좋고 나쁘고를 묻기 이전에, 구조도를 그리는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가끔 보면 구조도를 내신 공부하듯이 자세하게 정리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마치 "나 공부 이렇게 열심히 한다~~?"라고 자랑하듯이.
이런 친구들은 대개 성적대가 3등급을 넘지를 못합니다.
이는 구조도를 그리는 '목적이 불명확'한데서 비롯됩니다.
구조도는 글을 읽으면서 [핵심적인 흐름]이 파악이 되는가? 를 판단하기 위해 그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지문을 읽으면서 내용정리하듯이 구조도를 그리면 정보가 너무 많아지기에 정작 핵심흐름이 무엇인지를 놓치고 말죠.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구조도는 '핵심흐름과 세부내용을 구분'해낼 수 있는가? 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이는 곧 문제풀이의 정확도와 속도에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문제 또한 핵심흐름 혹은 세부내용에 해당하는 문제로 나눠지기 때문이죠.
실전에서 어떤 문제를 똭 보고
아, 이거 핵심흐름을 묻는 거네.
아, 이거 세부내용을 묻는 거네.
판단을 즉각적으로 내린다는 것은 즉
기억에 의존할 선지인지
혹은 지문을 확인해야 하는 선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핵심흐름을 묻고 있음에도 세부내용으로 인지하고 지문을 확인하고 있다던가
새부내용을 묻는 것인데 기억에 의존하고 있기에
문제를 틀리거나 시간을 많이 쓰고 마는 것이죠.
이러한 '사고과정의 오류를 수정'하는데 목적을 둘 때,
구조도는 본연의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극소수의 뇌는 핵심이고 세부이고 구분하지 않고 다 기억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능은 극소수를 위한 시험이 아니라는 것. 잊지말았으면 합니다.
Q. 국어는 무조건 양이다?
A.
그럴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죠.
저는 항상 국어 공부는 크게 이원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나는 [독해력 공부].
다른 하나는 [문제풀이 공부].
전자의 경우
문장 혹은 문제를 읽으며 '필연적인 생각'을 해냈는가? 를 판단하는 공부입니다.
후자의 경우
80분이라는 시험 시간 내에 빠르고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 [전략과 스킬] 등을 연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모도 이 공부에 포함되죠.
이를 전제하면 앞선 질문에 대한 답이 나옵니다.
시간을 재면서도 '필연적인 생각'을 해낼 수 있는 수험생은 양치기가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시간을 재면 '필연적인 생각'을 떠올리지 못하는 수험생이라면
양치기는 '상태 유지' 정도의 역할밖에 하지 못합니다.
양치기가 좋냐 안 좋냐를 따지기에 앞서 자신의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냉철한 판단을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양치기 자료들 링크 참고하세요.
단, 자료 받을 때 좋아요는 매너로 장착 부탁.
참고로 양치기 자료는 4주반전과 별개입니다.
누구든지 받아서 풀 수 있어요.
1일차 https://orbi.kr/00018596594
2일차 https://orbi.kr/00018610198
3일차 https://orbi.kr/00018621829
4일차 https://orbi.kr/00018635079
5일차 https://orbi.kr/00018646090
6일차 https://orbi.kr/00018655684
Q. 기출을 너무 봐서 답이 기억날 정도라 실모만 돌리고 있어요.
A. 기출을 그렇게 봤는데 1등급이 나오지 않고 있다면 기출을 외우기만 했을 겁니다.
수능은 암기가 아니라 '이해'를 묻는 시험입니다. '이해'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답이 기억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많은 강사님들이 주장하는 것이고요.
이해를 하는 구체적인 방법 중 하나는 아래와 같습니다.
선지의 답이 지문 어디에 있는지를 찾는데 그치지 말고
"이 문제(선지)를 왜 제시했을까?" 를 고민해보기 바랍니다.
그러다 보면 같은 의도를 다른 방식으로 서술한 선지들을 많이 만날 수 있게 될 겁니다.
즉, 한 번의 생각으로 여러 개의 선지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것을 자연스럽게 하느냐 그렇지 못하냐가 곧 '실력 차이'입니다.
구체적인 적용 사례 및 이해하는 방법들은 강의를 통해 보는 것이 깔끔할 겁니다.
[통찰] 강의 or [FINALe] 강의를 보세요.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고.
[통찰: 오래된 미래]
https://class.orbi.kr/course/1576
[FINALe HM7]
https://class.orbi.kr/course/1577
지금은 이것저것 고민할 때가 아닙니다.
망설이는 시간을 줄이고 묵직하게 나아가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코인은 실체도 없고 근본을 찾긴 어렵자나여..
-
외출을 하자 1
집에만 있으면 답답해
-
교대 0
질문 받아줄 교대생분들 있나요?? 춘교면 더 좋아요
-
그냥 눈 감았다 뜨니까 평화로워있으면 좋겠다
-
학교 편하게 다닐 수 있음
-
에타 가입 0
에타 지금 가입하면 안전한가요??
-
키타 이쿠요!! 이름그냥 키타키타 ㄱ
-
흑기사 한명 꼬셔야게ㅛ다 흐흐
-
이미지 써줌 20
-
올해는 이투스 잇올 지방대형재종 말고도 ㅈㄴ 푼다는데
-
할까 말까 고민될 땐 10
도전하기 공부든 친구든 뭐든 일단 도전해보기
-
내가 이걸 까먹었네
-
미친 버스기사야
-
이미 지운게 많아서 이게 끝이네요 ㅠ
-
경제리바이벌 2026버전 쪽지 ㄱㄱ 운이 좋아 몇부 구매할 수 있을듯 발송예정일은4/7
-
인성이 착하고 그리고 귀여움 ㅎ
-
이번에 찍맞때문에 정답률 올라가서 표점차 준거보고 미적 걍 쉽게 낼듯 그래야만 함
-
이미지 미친개념이여 뉴런이명 책 살건데 미친개념은 모류겟어요ㅜㅜ 금전적 지원 0이여서ㅠㅠ
-
자기네들이 명품이라고 생각하는건가 진지하게 요즘은 사설 출제진들이 수능보다 문제를...
-
으 십덕들 8
애니프사들..
-
새터에서 여사친 꼭 만들예정임 ㅋ
-
새터 술 5
어떤거 마셔여? 제발 처음처럼~~
-
일단은 휴식을..
-
글 쓰면 조회수가 ㄷㄷ
-
지히철 타느라 뇌빼고 있다가 딴 오르비언 옯스타에 본계로 맞팔 걺 심지어 받아줌
-
너무 아쉬웟음 ㅇㅇ
-
새터에서 7
취한채로 '우리 숭붕이들은 전부 중앙대 쎈바이들이 노예라굿~~!' 이러면 어떻게됨?
-
ㅂㅇㅂㅇ 2
-
강민철도 처음 인강 할 때 막 밀린 걸로 말 많지 않았음? 1
김범준도 그렇고 뭐지 새로 런칭하는 쌤들 특인 건가
-
물론 저런 이유로 지은 게 아니고 누르하치가 이 금나라를 잇는다는 의미로 뒤 후...
-
빨리나으라고 덕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범준은 풀이가 너무 고능아 같기도 하고 강의가 너무 밀림
-
새터가서 하면 안될짓 17
댓글로 알려주세여~~
-
드레이븐꾸아악 과
-
말이나 행동이나 천박해지는건 국룰인가 ㄹㅇ
-
걔좌로 10만원 송금해드립니다. 예 공부할개연
-
어과초 4기 확정 소식 보고 달려온 옯붕이면 개추
-
통제도 심하고 너무 오래 앉아있어서 엉덩이도아픔
-
나 공부함 2
2025년 2월 22일 한국 시각 오후 6시 전까지 들어오면 1.0 강해린 08은 게이
-
나도 새터에서 12
술게임하면 여사친 생기겠지?헤헤
-
공부시작 3
목표 8시반 전까지 3시간하기 9시부턴 롤할꺼임뇨 ㅇㅇ
-
마참내 1
퇴근
-
ㄹㅇ.
-
나 취미가 2
영어랑 사문 수특 풀기 ㅋㅋㅋㅋㅋㅋ 재밌음 ㅇㅇ 뇌빼고하기 딱 좋아
-
오래걸려서 넘 지루햄 ㅠ
-
공부 시작 목표는 순공 6시간
-
d-264 올해는 진짜 대학 가야지ㅎ
구조도 꿀팁:
글을 읽다 튕기는 느낌이 들 때
잠깐 멈추고 머리속으로 3초 정도 생각했을 때
붕 뜨면 간략하게 해놓으면 좋다!
216?
냉 이원준t들었어요
근데 이건 제 팁임
괜찮네요 그 방법 좀 구체화시켜서 제시하면 더 좋을 것같네요 ㅎㅎ 괜찮으면 내 내년강의에서 개량해서 언급해도 될까요?
얼마든지여
쿨내 진동..
와 216=이원준 ???
ㅋㅋㅋㅋ ㄹㅇ 6에서 고민함
구조도 그리는거 진짜 공감.. 초반에 원준t듣고 풀때마다 구조도 그렷는데 어느순간 구조도에만 매몰된 내자신을 발견헸습니다.,,
적당한 게 가장 어렵지 ㅠ 그 적당히를 잘하면 그 분야의 마에스트로가 됨
4주 반전 사놓고 문제풀이 한시간이 아무거나 하는 시간인줄 알았는데...
바로 풀러 갑니다.
아무거나 해도 되는데 기왕이면 양치기로 하는게 같이 공부하는 느낌들어서 ㄱㅊ을거야
비문학 분석법이 명쾌한걸보고 반했습니다.
원래 김동욱 T커리를 타고 있는데 지금 글장이 T꺼로 바꿔도 가능할까여? 지금 바꾸는건 좀 아닌가여? 그리고 글장이T는 비문학만 하시는거같은데 문학은 어떻게하죠..
?? 문학도 당연히 다루지요.
[통찰] 강의는 꼭 보고
시간이 좀 더 있다면 [finale]까지 보는 걸 추천할게
엇... 4주반전에서 문학이 예지몽 선생님인가 그 분으로 되어있는거 같아서. 문학은 왜 이분이하시지?하고 글장이T는 문학 안하시는 줄 알았네요. ㅎㅎ 그럼 앞으로 선생님만 믿고 가보겠습니다.
그래 같이 가보자!
뭔가 깨달음을 얻은 듯한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ㄹㅇ구조도 연습 많이하면 머릿속으로 글이 정리됨
근데 오답선지내는거 보면 그냥 왈왈왈 하는것도 종종있는데
이런거에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좋은 자료와 글 감사합니다ㅠㅠ 근데 글 중 '필연적인 생각'이 어떤 생각인가요..제가 필연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건지 잘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