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 속의 아 [805927] · MS 2018 · 쪽지

2018-10-06 14:04:48
조회수 1,303

국어 1~3번 이렇게 나오면 1컷 얼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63507

오늘은 환율의 오버슈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표는 오버슈팅

의 정의와 오버슈팅이 발생하는 원인, 발생 이후의 양상, 오버슈팅

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순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오버슈팅이란 환율이나 주가 등 경제 변수가 단기에 급격한 상승

또는 하락을 겪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환율의 경우 단기적으로 기

초 경제 여건과 괴리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러한

오버슈팅은 물가 경직성 또는 금융 시장 변동에 따른 불안 심리

등에 의해 촉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여기서 물가 경직성

이란 시장에서 가격이 조정되기 어려운 정도를 뜻합니다. 환율의

오버슈팅이 일어나면 구매력 평가설에 의거한 환율과 다른 단기적

인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사진을 가리키며) 다음 그래프를 보시면,

이러한 양상이 오버슈팅에 의해 일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통

화량이 증가하여 유지될 경우, 물가가 경직적이기 때문에 실질 통화

량은 증가하게 되고 시장 금리는 하락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시장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청중의 대답을

듣고) 네, 다양한 의견들이 많이 나오네요. 시장 금리의 하락은 투자

의 기대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해외 자금의 유출이 일어

나 신규 투자 자금의 유입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야기합니다. 이 과정

에서자국 통화의 가치는 떨어지고 반대로 환율은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의 상승에 의해 실질 통화량이 기존

의 수준으로 돌아오게 되고, 유출 자금이 금리 인상에 의해 복귀하게

되면서 단기적으로 폭등한 환율이 구매력 평가설에 기초한 환율로 

복귀하게 되는 것입니다.

오버슈팅은 단기적인 환율 변동으로 인해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는데

요, 그렇다면 정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시행할까요? 우

선, 물가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신속히 공개하거나, 불

필요한 가격 규제를 축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정적인 파

급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세금을 조절하여 내수의 위축을 막기도 한다

고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정부의 이와 같은 미세 조정 정책 수단이 환

율의 오버슈팅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