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us [813173]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8-10-03 20:15:58
조회수 714

미국의 이상주의적 대외정책에 대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630185

1. 이상주의적 시각이란?


 국제정치학이라는 학문 자체는 기본적으로 현실주의적 가정과 배경 속에서 출발했습니다. 군주의 현실주의적 관점을 지극히 강조하는 마키아벨리로부터 시작해서 모겐소, 월츠 등의 국제정치학의 대가들은 대부분 현실주의적 관점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소위 'War to end all wars' 로 불리는 1차 세계대전 이후로부터 비롯된 낙관론적 시류를 타고 정치이상주의가 등장했으며, 이는 현대에도 자유주의적 국제정치이론으로 그 맥을 잇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주로 국가간의 협력, 초국가적인 단체의 설립과 그에 따른 국가 행동의 제어 등을 주장하며, 민주주의 국가 사이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민주평화론이나 경제적 상호의존도 - 예를 들면 무역량의 크기 등 - 과 전쟁의 빈도가 반비례한다는 생각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2. 미국에서의 정치이상주의


 위에서 말했던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낙관론적적 시류에서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은 국제연합과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민족자결주의로 대표되는 일련의 이상주의적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미국 국회의 반대로 국제연합에 미국이 가입하지 못하면서 이러한 이상주의적 정책은 실패하였고, 국가 간의 협력을 대표하는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또한 일견 잘 지켜지는 듯 했으나 단순 군함의 톤수로 


아씨바기찬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