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9 ★동기부여★ 외국어 5등급 in서울 포기하지마. - 대치동 마선일영어학원장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45881
in서울 절대로 포기하지마....
3~5 등급에서 2등급으로 도약하는 방법
이 급간의 학생들은 단어외우고 해석 되면 2등급으로 간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획기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1. 문제를 순서대로 풀지 말라.
자, 듣기 끝나고 18번부터 얌전히 진행하다간 큰 코 다친다.
중간 중간에 고난이도 유형이 놓여 있으므로 [시간 낭비 + 감점]의 이중고를 겪을 것이 분명하다.
과감하게 넘어갈 것은 넘기고 대신 꼭 잡아야 할 유형만 맞춰도 80점까진 갈 수 있다.
(18) 글의 목적
- 선택지를 먼저 읽고 정보를 획득한다.
- 실용문이기 때문에 오래 뜸 들일 수 없다. [세 번째 문장, 길어야 다섯 번째]
(19) 지시대상 다른 것
- 글의 초반에 주인공과 (답이 될)조연이 함께 나온다.
- 행동이나 말을 통해 처음에 계속되는 주인공을 확인하며 내려간다.
- ④ 정도 오면 조연에 밑줄이 쳐질 때가 되었다. (긴장하며 확인)
(22) 무관한 문장 고르기
- 이 유형의 승패는 ② 번 앞에 형성된 주제문을 이해하느냐에 달려있다.
- 예를 들어 태권도에 대한 글인데 정신적 혜택을 중심사상으로 삼았다면
②번부터 “끈기가 있다, 판단력이 향상된다, 예의가 바르다” 등의 정신에
초점이 맞춰지는데 갑자기 “요즈음 아이들은 예의가 부족하다” 등의 중심
사상에서 두 단계 건너가거나 “태권도는 정신적 ․ 신체적 혜택이 있다” 등의
중심사상에서 더 넓어진 개념이 답이 된다.
(23) 요지
- 선택지를 먼저 읽으면 찾을 목표를 섭렵한다.
- 단락 내에서 필자의 생각이 드러난 부분이 요지이다.
- 중반부터 긴장하며, “should" "need" "명령문” 같은 직접적인 주장이나,
“While 절” “Though 절”등의 주절에 필자의 강조점이 들어있다.
(24) 빈칸완성 (한 / 두 단어)
- 논설문일 경우엔 두 번째 문장이 중요하다. 반복되는 개념을 잡아라.
→ 반대의 개념이 정답
예를 들어, “과학이 발달할수록 국민들의 이해도 높아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 해선 과학 문학이 발달해야 하고 작가도 많이 나와야 하고 ......”
→ 정답 (scientific) illiteracy [문맹]
- 실험일 경우엔 딱 가운데부터 중요한 변수가 But, Finally, 등과 함께 등장한 다. 그 결과를 연결해 가며 실험이 암시하는 것을 추론한다.
(25) 빈칸완성 (중반에 위치)
- 초반을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읽으면서 대략적인 내용만 파악한다.
- 빈칸 아래에서 두 번 힌트를 주는데, 한 번은 어려운 단어가 들어간 문장으로 또 한 번은 예시를 통해 주어진다.
(26) 빈칸완성 (초반, 2점짜리)
- ① 번에 정답이 많이 등장한다. (100% 아님^^)
- 초반에 실험 / 연구의 목적이 있으면 그 부분이 중요, 없으면 중반이후가 중
요하다.
- 논설문의 경우엔, While 절의 주절이 중요하다. [While SV....., S'V'......]
(31) 심경
- 심경의 경우엔, 대략적인 내용만 이해하며 속도감있게 읽는다.
그 상황과 마지막 문장을 대비하면 심경을 추론할 수 있다.
- 심경의 변화의 경우엔, 글에서 크게 꺾이는 지점이 나온다.
그 터닝포인트 앞과 뒤를 분리시켜서 심경을 추론한다.
(34-35) 주제
- 선택지를 먼저 읽으며 각각 정답이 되려면 어떤 “소재”가 나올지 예측
- 단락의 구조에서 예시가 강세이다.
such as / like / Let's imagine / 등등의 앞이 정답의 위치
(36-37) 내용 (불) 일치
- 선택지를 먼저 읽으면서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한다.
- 세 줄씩 끊어 읽어가며 오답을 제외시킨다.
- ④⑤ 번에 대세
- 미세한 차이가 정답; 예를 들어 공사가 “끝났다”는 내용인데 “진행중이다”
(38) 도표
- 일단 도표를 이해해야 한다.
- 수치에 대한 비교에서 정답이 많이 나온다. (③④⑤ 강세)
(39) 요지 [논설문]
- 선택지를 먼저 읽고 전체적인 감을 갖는다.
- 대립구도가 많이 이용된다. (But / However / Instead 뒷 문장이 중요)
(40) 요지 [실험]
- 선택지를 먼저 읽고 전체적인 감을 갖는다.
- 중요한 변수는 중반부터 등장한다.
(41) 제목 [논설문]
- 선택지를 먼저 읽고 예상 “소재”를 예측해 본다.
- 단락 초반에 “소재”를 매치해가며 오답을 제외시킨다.
- 중반부터 “중심사상” 파악해서 마무리한다.
(42) 제목 [실험 / 연구]
- 선택지를 먼저 읽고 예상 “소재”를 예측해 본다.
- 중요 변수는 중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46-47) 일반장문
- 제목에 등장하는 선택지를 읽으며 “소재”를 예측해 본다.
- 각 단락의 주제문을 파악하고 전체 글의 주제문을 확정한다.
- 제목 풀고, 빈칸 해결 (+/ -)
(48-50) 다단장문
- 단락의 순서 잡는 것이 최우선이다.
- A 정독하고, A 뒤에 붙을 것부터 찾는다. 마무리 되는 단락 찾아 가설 세운 다.
- 그 가설을 순서대로 읽으면 전체 글의 주제문을 파악한다.
- 밑줄 4개는 주인공이나 핵심에 온다. (변두리 하나가 정답)
- 내용일치는 A→B→C→D 순서로 확인하며 답을 찾는다.
● 자 현재까지 풀고 나머지를 한 번호로 찍었다고 가정하면 몇 점이 나올까?
놀라지 말라! 찍은 11문항에서 2개만 맞추어도 82점이다. 2등급이 정말 가까워 졌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올해도 잘부탁드려요
-
ㅇㅇ
-
오노추 0
노엘 - RHYMING ... 지금듣기에뭔가아련한
-
? +설기계 397.9 최초
-
경제는 이런거나 풀어야함...?
-
븅갓같은 짓이다..
-
20수능 친 뒤로 놀다가 약대가고 싶어서 돌아왔어용 20땐 가형 백분위 92였는데...
-
3개년 추합번호 1
..기출도 아니고 이런 말이 이상하지만 3개년 추합 번호 안이면 기대는...
-
학교마다 다르긴할텐데 대충 가군에 66명뽑는다 치면 1차추합때 몇명빠짐?
-
? 투데이가 7
왜 600이 넘을까요 처음이네
-
자퇴 D-1 0
-
왜 투데이가 100이 넘지
-
님들 너무 귀여움 11
귀여워서 깨물어주고 싶네
-
가능한 예비 번호를 받은 고대는 (어문 예비 1번이라 무한 기도메타이기는...
-
제발 2
붙게 해주세요ㅠㅠㅠㅠㅠ
-
이건 너무 욕심인가 자유전공학부임
-
딸기가너무마싯음
-
짜피 나는 계속 상주하긴 하는데
-
한양의vs설경입니다. 여러분의 선택은??
-
ㅠㅠ 잘생긴게 다다...
-
제로투영상 올림
-
ㅋㅋㅋㅋ
-
현역정시설경제 3
ㅎ헤
-
상처만 받음
-
있음??
-
일본인이랑 한국인/중국인은 차이가 꽤 커서 바로 알아볼 수 있는데 중국인이랑...
-
이전년도들과 다르게 예비 덜 돌거라는 얘기들도 있던데 70번대면 추합 충분히 되겠죠?
-
떠벌리고 자꾸 개소리하고 다니는새낀 ㄹㅇ 뭐 어케해야하노 ㅋㅋ 얼굴보면 부모 개체수...
-
kick cock axis
-
홍대 추합 확정인 예비 받은 사람이 더부러워ㅅㅂ 난 왜이럴까 저붙여주세요제발요
-
최종은 fucked up 팔자지요 뭐~~
-
추합 많이 돔??
-
오늘만큼은 맛있는 거 먹고 좋은 꿈 꾸세요!
-
어디갈까요 0
연하스 vs 서강경 어디가실 건가요..???
-
인문대에 사람이 늘겠군
-
시대재종 붙엇을때보다 안기쁘네…
-
이 빼니까 기분 개좆같다
-
정신건강을 위해서 당분간 오르비를 그만해야겠군
-
현역이고...쌩재수를 하려합니다.. 현역 성적은 원점수 언미물1지1 84 88 85...
-
집 옴 0
나도 늙었나봐 노는게 힘들다
-
저는 원래 목소리도 걸걸하고 털도 부숭부숭한데다 글도 사나이 같이 쓰는...
-
팔취를 당했어요 8
슬푸네요
-
홍대 공대 추합 0
홍익대 공대 이번에 추합 2바퀴는 돌까요..? 3바퀴도 가능할려나ㅜㅜㅜ
-
50일 수학 후 0
완전 수학 노베이스 기준 50일 수학 끝난 후에 바로 이미지 선생님 세젤쉬 들어가도...
-
도전
-
서울대 멋잇다 진심…. 나도 ㄹㅇ 한국에 계속 잇을거면 반수했을듯
-
홍대vs숭실대 0
홍대 산업데이터 숭실 it융합 어디가 더 좋을까요? 하나는 발표 안나오고 하나는...
-
재수 고민 0
재수해서 학교 더 높이면 좋을 거 같긴 한데 그렇다고 현역 때처럼 열심히 할 거...
-
형용사단어를 왜 명사로 쓰지..
이런글... 언어영역두 올려주시면 안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