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해석 [275419] · MS 2009 · 쪽지

2011-10-10 15:05:11
조회수 6,653

오인혜 드레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39422

부산국제영화제 전야제에서 파격적이다 못해 눈을 어디다 두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뜨거운 시선을 받았던 배우 오인혜. 그녀는 중국의 판빙빙, 오다가리죠, 한효주 등 국내외 100여 명의 스타들을 제치고 PIFF 최고의 스타(?)로 떠올랐다. 전야제 후 포털 검색어 1위에 오른 이름은 노출 수위 1위인 오인혜였다. 어제 그녀는 노출 논란 때문에 한 언론매체 인터뷰를 통해 해명을 했다. 인터뷰 내용을 보니 '사진 한 장이라도 찍혔으면...' 하는 마음에 노출했다는 것이다. 그녀의 드레스에 많은 이들이 돌을 던졌지만, 한편으론 오죽했으면 노출했을까 동정심도 간다.

여배우의 꿈은 화려한 레드카펫을 밟으며 수많은 카메라 후레쉬를 받아보는 게 아닐까. 오인혜가 과도한 드레스를 입고 나온 것을 이해 못할 바가 아니다. 무명배우이기 때문에 남들보다 눈에 띄려면 모험을 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란 건 그녀 자신도 잘 알고 있었다. 오인혜 드레스는 역대 최고의 노출 드레스였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그녀가 '뜨려고 일부러 입고 나왔다'고 비난했는데, 그 비난은 맞다. 오인혜 역시 인터뷰에서 '배우라면 영화제에 대한 꿈이 있잖아요. 쉽게 넘어가고 싶지 않은 마음에 신경을 썼다'며, 고의로 입고 나왔음을 인정했다.

  
 
무명 배우기 때문에 그녀에게 드레스를 협찬해주겠다는 곳은 없었다. 의상팀 언니 소개로 웨딩숍을 찾아가 고른 게 문제의 오렌지색 노출 드레스란다. 이 드레스는 4년 전 백지영이 입었던 스타일인데, 웨딩숍에서 신부들에게 대여하던 옷이라 낡을 대로 낡았다. 신부들이 입을 때는 옆구리와 가슴 부분이 파이지 않았는데, 오인혜가 이 드레스를 파격적으로 수선했다고 한다.

오인혜 입장에선 드레스를 수선하면서 수많은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배우라면 누구나 꿈꾸던 화려한 레드카펫인데, 사진 한 장 찍히지 못한다면 얼마나 초라할까? 웨딩숍에서 공짜로 드레스를 빌렸는데, 이미 가슴과 끈 부분이 풀려 있어서 그녀가 직접 손바느질까지 해서 리폼했다고 한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백지영은 이 스타일로 '엠넷 2006 KM뮤직 페스티벌'에서 입고 나갔었다. 당시 백지영에겐 노래뿐만 아니라 파격적인 이 드레스에 찬사가 쏟아졌었다고 한다.

그런데 유인혜가 이 드레스를 가슴, 옆구리, 끈 부분을 수선해서 입고 나갔더니 찬사가 아니라 비난이 쏟아졌다. 김혜수가 입고 나갔다면 비난보다는 '역시 김혜수'라며 찬사를 받았을 것이다. 단지 무명배우라는 이유로, 오인혜라는 이유로, 노출이 좀 심하다는 이유로 그녀는 비난을 받았다. 명색이 국제영화제인데 이 정도 노출에 비난하는 건 단지 오인혜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무명의 설움이었고, 오인혜는 이런 설움을 떨쳐버리고자 일부러 이렇게 입은 것이다.

  
 
포털에서 오인혜 프로필을 보면 별다른 이력이 없다. 프로필 사진도 이번 PIFF 영화제에서 찍힌 사진이다. 오인혜 생각대로 일단 대중의 시선을 끄는 데 성공했다. 검색어 1위 오인혜를 보고 충무로에서 그녀에게 관심을 갖는다니 제대로 성공했다. 만약 그녀가 평범한 드레스를 입고 나갔다면 대중들은 그녀를 기억조차 하지 못할 것이고, 충무로서에서 관심을 갖겠는가. 오인혜가 파격적인 노출을 해서라도 관심을 보이게 한 것은 그녀 나름의 처절한 생존 방식이었다.

PIFF 전야제 후 어제 오인혜의 사진은 하루 종일 뜨거운 감자였다. 처음 그녀의 파격 드레스를 봤을 때는 깜놀했지만, 나중에 인터뷰한 걸 읽어보니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다. 주변에서 사진 한 장 찍히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말라고 했다는데, 이 말에 그녀의 오기가 발동한 것이다. 언론사 사진기자들이 톱배우들에게만 카메라 셔터를 누른다는 말에 그녀는 속상해서 평범하게 입지 말아야겠다고 작심했고,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눈물겨운 노출 드레스였다. 

  
 
그녀의 인터뷰 중 가슴 아픈 얘기도 있다. 노출 드레스로 검색어 1위에 올라 좋기도 했지만, 그녀는 소심해 걱정도 많이 했다고 한다. 그런데 부모님은 그녀가 배우로 너무 고생한 걸 알기 때문에 오히려 좋아했다고 한다. 아무리 배우라 해도 어느 부모가 가슴이 훤히 드러나는 드레스를 입는 걸 좋아하겠나. 6년간 이렇다 할 작품이 없다보니 소속사도 없고, 당연히 스타일리스트도 없다. 그녀라고 왜 김혜수처럼 되고 싶지 않겠나. 그녀가 파격적인 노출 드레스를 입은 건 '뜨고 싶어서'였지만, 그 드레스 안에는 무명배우의 설움이 담겨 있었다.

-------------------------------------------------------------------------------------------

김혜수씨가 입고 나왔으면 반응이 달랐을거 같다는 부분이 공감가네요.
무명배우의 설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edalus · 345202 · 11/10/10 16:53 · MS 2010

    저런 식으로 어필하는 거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본질적이지 않은걸로 뜨려고 하는게 문제이죠.

    성적매력도 여자배우로서 본질 요소 중에 하나가 아니냐 반문하면 가치관 차이라 할 말은 없지만, 뭐 제생각에는 그렇습니다.

    일단은 저렇게 해야 띄어주고 관심을 주는 사회에 일차적인 문제가 있고, 저 여배우는 누군지 모르지만 불쌍하긴 하네요.

  • prinkipia. · 255081 · 11/10/10 23:05 · MS 2008

    얼마전에 여자배우 하도안떠서 결국 자살했다는데

    그거보단 저게 백배남..

  • Dedalus · 345202 · 11/10/11 14:21 · MS 2010

    그 분은 정말 정말 유감이지만 안 뜬다고 자살하는건 표면적으로 보면 그 분 책임이고 결정 아닐까요?

    자신이 세상 직업 중에 극히 소수가 뜰 수 있는 배우를 선택했으니 뜨지 못해서 느끼는 좌절감도 본인이 책임져야죠.

    우리나라에서 배우라는 직업이 본질보다는 비본질적인 요소로 뜨게되는 경우가 다분하고 그 사실이 참 한탄스러울 뿐이네요.

    지금도 그러겠지만 이상태라면 앞으로도 계속 너나 나나 연기보다 성형 수술, 스폰서 챙기기, 의도적 노출, 언론플레이 등등에 의존하겠죠. 바람직하지 않은건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