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수학 가형 30번 문제풀이와 고난이도 문제를 풀 때 TIP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332501
안녕하세요 수학을 전공하고 있는 지나가던 복학생입니다 ㅎ
인터넷 실검에 모의고사가 올라온 걸 보고, 갑자기 향수가 돋아 오랜만에 풀어보고 과외와 학원알바 경험을 살려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나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노력했는데, 다시 읽어보니 은근히 들쑥날쑥하기도 하고 저보다 더 뛰어나신 선생님들이 훨씬 깔끔하게 풀어주신 것 같지만 그래도 혹시 여전히 문제 풀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올리게 되었어요.
PC로 보시는 분들은 잘 보이지 않으실테니, '다른이름으로 저장'하시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거나 의아하다 싶은 부분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성실히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음 개인적으로 저의 경험을 살려 문제 풀이에 대한 팁을 몇개 적어보려 하는데요.
(1). 문제에서 다항함수의 최고차항을 주어주면 거의 대부분의 문제가 다항함수를 직접 찾아내야 하는 문제입니다.
아시다시피 일반적인 n차 다항식은 계수가 (n+1)개 나오는데, 최고차항의 계수가 주어지면서 찾아내야 하는 계수의 개수가 1개 줄어들거든요. 거기에 그래프의 개형(아래로 볼록인지 위로 볼록인지 등)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기 떄문에 풀이의 방향을 좀 더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습니다. 고작 1개 줄어든다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증가함수인지 감소함수인지 모르는 삼차함수의 계수를 구하기 위해 4개의 식을 찾아내고 연립하는 것과 개형을 알고 있는 삼차함수의 나머지 계수들을 구하기 위해 3개의 식을 찾아내고 연립하는 것의 차이는 아주 큽니다.
(2). 그런데 사차함수 같은 경우엔 최고차항의 계수가 주어져도 모르는 계수가 아직 4개나 남아있고, 이를 알아내기 위해선 적어도 식 4개를 문제에서 찾아내야 하는데, 함수를 일반형으로 전개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식을 4개씩이나 찾아내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울 뿐더러 이를 연립하여 계수의 값들을 구해내는 것이 아주아주 복잡합니다. 그래서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사차함수의 그래프 개형과 특징들을 먼저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식을 세운 뒤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근의 개수", "접선의 개수", "x=k에서 극대/극소를 가짐" 등의 정보가 조건에 제시되어 있다면 거의 100% 그래프의 개형을 먼저 파악한 뒤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3). 문제를 끝까지 읽지도 않고 주어진 정보들을 바로 수식화하는 습관이 있으시다면 빨리 버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수능이 시간싸움인 만큼 마음이 급한 것은 알겠지만, 고난이도 문제일수록 문제를 차근차근 읽고 그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방향을 잡은 뒤 문제를 푸는 것이 오히려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됩니다. 문제에 제시된 함수가 어떤 녀석인지, 문제에 제시된 조건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하고,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조건들을 어떻게 요리할지 구상해보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제시된 조건이 바로 수식으로 연결되어 중요한 값을 도출해낼 수 있는 조건이 있는 반면, 문제를 풀면서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배제시켜주는 조건이 있습니다. 이를 잘 구분하여 문제를 풀며 적재적소에 조건들을 사용하고, 정보를 완전히 뽑아낸 조건들은 깔끔히 놓아주는 센스도 필요합니다.
문제에 제시된 조건들을 예쁘게 가공하여 '정보 퍼즐조각'으로 만들고, 이를 다시 이쁘게 짜맞추어 우리가 알고싶었던 결과로 도출해내는 것이 거의 대부분의 수학문제 해결의 레파토리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조각 하나가 없으면 완성할 수 없는 그림퍼즐과 같이 문제에 제시된 조건이나 정보를 보지 못하고 흘려버리면 절대 문제를 완벽하게 풀 수 없습니다. 또한 무작정 조각들을 맞추려 억지로 이것저것 끼워맞추는 것보단, 시작하기 전에 전체적인 큰 그림을 보고, 어떤 퍼즐들을 먼저 찾아낼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조립할 지 생각해 본 뒤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솜씨가 부족하여 조금 중구난방한 글이 된 것 같은데, 그래도 이 글이 조금이라도 여러분이 수학문제를 풀 때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나 지적하실 것이 있다면 그것도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퍼즐형 이거 방탈출게임 하는 느낌임 하나 찾으면 뚝딱뚝딱
-
국어 특 0
어려운거 많이 맞히고 쉬운거 틀려서 등급 내려감 이번 6모도 7 8 12 16...
-
하루에바보만수십번듣는다
-
궁금
-
징동때 서폿아니었나 기억이잘못된건가
-
좀비가 되
-
좀이따 보러가는데 재미써요??
-
일하러 밖에 나와도 뭘 안해도 됨 대표 만나서 악수만 하면 됨 전화온 척 바깥에서...
-
화작 백분위 97 수학 미적 백분위 98~99 영어1 생윤 98 사문98 어디까지...
-
국어 커하 찍기 전 3등급에서 쩔쩔매고 있을 때 받았던 느낌임 수학이 느낌이 좋음...
-
개 피곤 0
-
합류.. 해야겠지?
-
김현우를 들어야 진정한 n축을 알게 되는거라 할 수 있음...물론 이젠 n축 유불리...
-
전공보다 교양이 낮네 슈발
-
구할거 다 구해놓고 마지막에 삽질해서 못푸는 경우가 많은 듯 ㅈㄴ 한심하노 에휴...
-
아니면 굳은살이 배긴건지 모르겠음 재수때부터 삼수때까지 우울증 장난아니었는데 진짜...
-
[칼럼] 의대 MMI / 자료 해석 지문 (그래프, 도표) #계명대 기출풀이 1
1년의 절반이 지나고 이제 수시 원서를 본격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시즌이...
-
00년대에도 사람이 태어남 주민번호 앞자리가 0으로 시작되기 시작 주민등록번호...
-
막상 문제는 다 맞는 학생이 있는데 이런 경우는 밉지가않네....
-
1라디안>54도 sin54도 계산(삼배각공식) 계산하면 sin54도>0.8나옴...
-
솔직히 22수능수학 11
막 쉬운 난도라곤 생각안함 미적기준 기하는 더 어려웠을거고
-
스나이퍼사용결과 6
순서대로 설고연 텔그보다 엄청 현실적인듯한..
-
ㅇㅇ
-
요즘 설경제 컷 12
여기 성적에서 국수 표점 4~5점씩 낮아진다 치면 갈수있나요?
-
대충 줄거리 간략하게 요약한거 어디서 볼수 있나용 나무위키 봐야하나 유튜브 봐야하나
-
92점 ㅅㅅ 15, 30틀 킬캠풀다 오니까 너무 행복하네
-
붱모1회 0
와... 72뜸
-
나이거증명못하겟어
-
확실히 설대는 어나더긴 한듯 깔끔하긴 한데 아직 초기버전이라 텔그보다 나은 건 딱히...
-
어댑터도 곧잘 쓱쓱 풀었는데 수능에서 4등급 처박을줄은 그땐 꿈에도 몰랐지 쩝 그땐...
-
성호쌤 시즌3 파이널 커리 있음 좀 알려주세요
-
귀여우심 햄스터같은 느낌
-
8학군 수시 1
학종 쓸 예정인데 8학군이랑 일반고랑 쓸 수 있는 대학 라인에 차이가 꽤 있나요?...
-
신창섭
-
이미지 확통 0
미친기분 시작편만 하면 몇번까지 맞출수있어요? 저 6모 세젤쉬만하고 27까지는...
-
이거이거 일찍 퇴근하겠는데
-
트레일러는 재밌다
-
시대 재종 서바기간에서 서바 시험지 독서실에서 각자 풀고 수업들어가서 해설 듣는...
-
의예과 작년 모집요강에 논술 8문제라고 명시를 해놨는데 모의논술은 4문제였음...
-
나와 같은 세대였다면 어떻게 됐을까
-
합성함수 5
N축 이거 그냥 겉함수 속함수 그려놓고 치환개념으로 이해하면 N축이랑 다를게 없음
-
군수생인데 한지 세지 지도 암기중..
-
그렇게 깔 정도의 얼굴은 아니지 않나 난 얌기가 뭘 했는지 잘 모르겟는데 얼굴이...
-
걍 분탕같음
-
그럼김범준은왜안알려주는데.
-
고작 게임하나가지고 ㅇㅈㄹ하는거 너무 웃기다 ㅋㅋㅋ 4
는 나였고 딮기때문에 웃고 화내고 혼자 쳐울고 그냥 누가보면 미친사람이고
-
그냥 자연게열 통합인가
-
물리 사탐런?? 0
11-2월까지 사탐하다가 그냥 노잼이라 과탐런(?)했었는데 물리는 기출 3회독에다가...
-
저는 또 미붕이 쑥쑥시키러 감
읽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