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 [380943] · MS 2011 · 쪽지

2011-10-02 09:45:49
조회수 1,155

연대 과학 논술 1번 답 대략적으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05991

행성 A에서의 광합성은 물과 산소와 관련이 없는 질소와 암모니아 사이의 산화 환원을 이용한 광합성인듯

즉,

6CO2 + 6H2O -> C6H12O6 + 6O2 가 지구의 광합성 생물이 하는 광합성이라면

행성  A에서의 광합성의 형태는

12CH4 + 6N2 -> C12H12 + 12NH3 의 형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행성 A의 광합성 생물의 생물학적 의의는 지구에서의 광합성 생물과는 달리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로 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행성 A에서의 환경을 자세히 보면 고온 고압의 환경으로 이는

질소와 암모니아 사이의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하버법과 거의 일치하는 조건이므로 위의 반응식과 일치함을 알수 있다.

도식과 수치를 이용하라고도 했는데

이는 오른쪽 중단부에 제공한 화합 결합 에너지 도표를 보고 우리가 구해내야하는 것 같다.

질소 사이의 삼중 결합의 결합 에너지와 질소와 수소 사이의 결합 에너지를 구해내면

에너지 측면의 차이에서 본다면 지구의 광합성과 행성 A의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이용한 산화 환원력으로 명반응이 진행되는 점에서 동일하며

차이점에서는 행성 A의 경우 광합성이 진행되는데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로 될 것이며 항성과의 가까운 거리, 고온, 고압 등이 그 조건을 해결해줄것으로 보인다.



이정도로 예상할 수 있을까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lfn · 338222 · 11/10/02 10:34 · MS 2010

    아맞다............ 질소고정ㅋ..........전 생성물인 불포화탄화수소가 물에안녹으니깐 포도당이랑다르게 세포액이 유기용매같은걸로 채워져잇을거라고씀ㅋ...................... 개소리엿군

  • 신속포션 · 373016 · 11/10/02 12:51

    하버법은 질소+수소 반응이라 이경우랑 다르지 않나요?
    쓸까하다 안썼는데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