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adphemius [824352] · MS 2018 · 쪽지

2018-08-07 23:46:54
조회수 1,581

황민구는 이렇게 말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010265

《동서문학》 2000년 겨울호에 발표된 성석제의 단편소설이다. 농촌 마을에서 반푼이로 취급받는 가난하고 어리석은 농부 황만근의 일대기를 약간의 과장과 골계를 섞어 재미있으면서도 슬프게 그려낸 작품으로, 각종 부채로 얼룩진 농촌의 현실과 메말라가는 인정을 통해 삶의 어두움을 그리고 있다.

반푼이 황만근은 전쟁 때 아버지가 죽고 유복자로 태어나 편모 밑에서 자라났다. 지능이 모자라 아이들에게까지 놀림의 대상이 되고,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해 늘 넘어지며, 혀도 짧아 발음도 정확하지 않다. 어느 날 자살하려는 처녀를 구해 아들 하나를 얻지만, 여인은 곧 떠나버린다. 이후 그는 어머니를 봉양하고 아들을 부양하면서 마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간다. 염습과 산역, 마을의 똥구덩이를 파는 울력, 가축 도살 등 마을의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대가를 바라지 않고, 그렇다고 공치사를 늘어놓을 재간도 없다.

그러던 황만근이 갑자기 마을에서 사라졌다. 신체검사 받던 날 외에는 단 하루도 마을을 벗어난 적이 없는 황만근이 사라진 것이다. 평소에는 있는 듯 없는 듯 여겨지던 마을 사람들에게 반푼이 황만근의 부재는 곧 자신들의 불편으로 다가오기 시작한다. 농가부채 탕감 촉구를 위한 전국 농민 총궐기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모두들 버스나 트럭·승용차를 타고 대회에 나가지만, 황만근만은 이장의 지시대로 백리 길을 경운기를 끌고 갔다가 궐기대회에는 참가하지도 못하고 돌아오던 길에 그만 경운기가 차에 부딪쳐서 논바닥에 처박혀 동사(凍死)하고 만 것이다. 결국 황만근은 없어진 지 일주일 만에 뼈로 돌아온다는 내용인데, 해학적이면서도 구슬프다.

2001년 이효석 문학상 수상 작품으로, 2002년 출간된 같은 제목의 소설집에도 실려 있다. 성석제는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외 6편의 단편소설이 들어 있는 이 소설집으로 제33회 동인문학상을 받았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