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미잡 · 817249 · 18/08/05 18:51 · MS 2018

    서양철학 동양철학

  • Dealings · 807229 · 18/08/05 18:54 · MS 2018

    그냥 되는대로 배우나요?
    시간 흐름대로 배운다든지 그런거없이

  • souvenir · 781763 · 18/08/05 18:52 · MS 2017

    인문학과는 대학에 따라서 개설되는 강의가 편차가 좀 있는 걸루 알고 있어여

  • Dealings · 807229 · 18/08/05 18:54 · MS 2018

    대학마다 편차가 좀 있다는건가요

  • souvenir · 781763 · 18/08/05 18:57 · MS 2017

    아마 그럴 거에요. 예를 들면 경영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재무관리 투자론 등등 좀 어디서나 다 열리는 강의들이 있져. 경제도 미시 거시 재정학 등등 마찬가지고 통계쪽도 확률론 수리통계학 회귀분석 등등... 반면 철학이나 역사나 이런 학과들은, 뭐랄까 어느 학교나 반드시 개설하는 강의가 있다기보다는 교수님이 재량껏 강의 주제를 정하시는 경우가 많은 걸로 알고, 아마 제가 잘못 알고 있는게 아니라면 역사보다도 철학이 그런 경향이 더 강할 거에여.

  • Dealings · 807229 · 18/08/05 19:03 · MS 2018

    ㅇㅎ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함
    철학과 다니시는건가요?그러면 뭐 좀 물어봐도 돼요?

  • souvenir · 781763 · 18/08/05 19:04 · MS 2017

    저는 철학과가 아니지만 저희 학교 철학과에 어떤 강의들이 열리는지 대충 말씀드릴 수는 있어여.

  • souvenir · 781763 · 18/08/05 18:59 · MS 2017

    그런지라 제일 좋은 건 지망하시는 대학 개설강의 목록 및 강의계획서를 한 번 확인해보시는게 좋져

  • 철학과와철학과가아닌과 · 762548 · 18/08/05 19:21 · MS 2017

    논리학 형이상학 철학사 인식론 이런거 배웁니다.

  • 자다깨다 · 744788 · 18/08/06 14:44 · MS 2017

    저 철학 복전자임. 질문 물어봐요

  • 자다깨다 · 744788 · 18/08/06 14:49 · MS 2017

    시대별로 나눠서 열리는 강의(서양고대철학, 서양중세철학, 서양근대철학, 중국고대철학.....)도 있고 주제별로 나눠서 열리는 강의(언어철학, 사회철학, 형이상학, 논리학, 인식론, 과학철학...)도 있습니다. 전자는 철학사를 배우는 느낌이고, 후자는 현대철학을 배우는 느낌입니다.
    그외에 철학사의 특정 학파나 학자에 대해 배우기도 합니다(아퀴나스철학, 제자백가철학, 현상학, 화엄철학, 헤겔철학, 영국경험론...)

  • 자다깨다 · 744788 · 18/08/06 14:51 · MS 2017

    연세대는 다소 교수님들 맘대로 자유롭게 강의를 여시는 경향이 있고, 서울대는 커리큘럼이 딱 짜여있는 걸로 앎. 난 전자가 더 좋음

  • Dealings · 807229 · 18/08/06 15:28 · MS 2018

    감사합니다 근데 이미 궁금증이 해소돼서...

  • 설대19가즈아 · 815709 · 18/08/12 22:44 · MS 2018

    철학 복전 하신 이유 여쭤봐도 되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