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6 최한기지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878816
12분씩이나 걸리는데 장문독해 시간 어떻게 줄여야할까요 ㅠㅠㅠ
마지막 문단쯤가면 정보가 버거워집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갈바닉 부식으로 실험 하려고하는데 부식이 얼마나 오래걸릴지 모르겠어서 바로 확인 할...
-
오르비 안녕 14
-
새벽4시 리그경기를 위해~~
-
군대에서 생활과윤리 2주 공부하고 백분위 93나온 썰 (현자의 돌 활용법) 0
생활과윤리는 놀랍게도 2주만에 2등급이 나올 수 있는 과목이다 (필자의 경험담)...
-
오늘공부 0
국어:ebs고전시가4개복습 고전소설2개학습 수학:스탠주간지 풀기, 25강기원모2회,...
-
이번 과탐 무슨 과목이 젤 ㄱㅊ을거같은지 선택 ㄱㄱ 9
나는 일단 생지
-
엔티켓 이해원 빅포텐 지인선 커넥션풀고 하사십풀고있는데 양이 부족해서 같이 병행해서...
-
근데 듣기 3개 틀림 ㅋㅋㅋㅋㅋ
-
더프제외 현역때 국어실모 한번도 안풀어봄 ㅎㅎ나 성장했겠지? 기대가된다 기대가 내...
-
1.인강 듣고 나서 문풀하고 안풀리는거 다시 보는거 2.문풀하고 논리에 허점있거나...
-
작수 쉬고 올해 참전하려는데 왜 작년 6평 29번에 난데없이 해석을 요구하는 선지가 있는거죠...
-
철학지문 시러 11
극혐;;
-
공통은 22번 말고 너무 쉬웠고 미적도 28번 말고는 어려운게 없었음 근데 22번...
-
님들 전문 다 외우고 다님? 아니면 걍 시함장에서 일일이 다 해석함? 전문 ㅈㄴ...
-
존나 맛도리
-
확통사탐 대학교 0
국어 89 수학 98 영어2 탐구 96 96 정도면 공대로 어디까지갈수있나요?
-
표지 디게 예쁘다 근데 문제수가 너무 적네
-
생각보다 오르비에 언급량이 적어서...
-
야옹 3
냥~~
-
생윤하다가 개화나서 작년에 찍먹 했던 동사로 돌아가려는데 어떨까여..역사 제대로...
-
국어 지문은 27
복잡하고 정보량이 많은 거보다 단순한데 생각을 요하는 게 훨씬 나음요. 제가...
-
. . . 7
하버드대학교 맘스터치 학과 26학번 오로라
-
안녕히주무세요 8
오늘은 7시에 일어날래요
-
몇인가요
-
와 젖탱이봐라 침고이네 17
하 진짜 ㅈㄴ 피곤하네 다들 오늘 하루 고생하셨어요
-
강하영 29번 풀이법 이거 왜 작년 평가원부터 안 먹힘? 제가 작수 참전 안 해서...
-
나도씨발그냥확통할걸 왜깝쳤지 아씨발진짜
-
저능해지는거같은데 기분탓임?
-
수열시러 2511의 전문항 풀이가 궁금하다면 https://orbi.kr/00072290349
-
제가 모의고사 풀 때 문학이랑 화작에 65분 정도 쓰는데 화작,문학 합해서 3-4개...
-
머임 현우진 12
올해 킬캠 해강으로 첨 듣는데 상당히 빠져드네..
-
최저용으로 수학 할 생각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하게됬습니다 3등급이 목표입니다...
-
이 개 지리는 가성비를 이해 못한단 말인가 아쉽구나
-
더프 다들 화이팅입니다 오노추 너에게 - 성시경
-
결국은 물을 많이 부어봐야 알 수 있음 생각보다 공부하는거에 비해서 항아리에 물이...
-
알림창이랑 설정창 왔다갔다하기 개빡셈
-
그러니 목동러들은 눈물을 그치도록
-
없으려나 연세대같은곳은 거의 만점이던데
-
3합6 최저를 맞추려면 국어, 수학 둘 중 하나를 4등급 맞아야 하는데 머가 더...
-
어이가 없네 2
어삼은 있네
-
목동도 쫌 와봐라ㅠ
-
개재밌다 ㄹㅇ
-
후기좀
-
엠스킬 0
불후의 개념 완강 햇는데 기출이랑 병행 하는게 좋나요 엠스킬 먼저 하는게 좋나요
-
정시 수시 고민 0
외곤데 수시로 3.극초 나와서 설대 종교학과 쓸거 같은데 설대 자전이 너무 가고...
-
기하인강 둘 중에서 하나 들으려는데 뭐가 더 괜찮나요
-
요즘 현우진이랑 옛날 현우진 너무 다르네 ..ㅋㅋ 요즘엔 그냥 로봇같은데 옛날엔...
-
재미도 없는데 깨작깨작 할말은 다하고 수업도 졸라 느긋하게 나가다가 오버하는건 좀...
제가 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1. 어휘문제가 있다면 떨궈낸다.
2. 1문단을 통해 글의 전체적인 방향을 파악한다.
(보통 '어떤 사상가'가 나오고, '무슨 사상'을 펼침)
3. 문제를 본다.
대충 나오는 문제는 이렇습니다.
(a. 글의 전개 방식: 본문 읽고 푼다.
b. 글의 내용 확인: 선지의 주어를 동그라미 친다. 몇 문단에 걸쳐서 나오기 때문에 부분적 독해는 아님.
c. 중심 사상가의 '사상': 그 사상의 특징에 대하여 O X 퀴즈하면 됩니다.
d. [A]부분이나 '가' 문장의 문맥적 의미: 말 그대로 그 부분 앞뒤, 즉 그 문단을 읽고 푼다.
e. 여러 사상가들의 의견 비교: 여기서 본문에 어떤 학자들이 나올지 선지에서 동그라미를 쳐서 상기시킵니다. (인문 특)
f. <보기>상황에 적용, <보기>학자의 견해:
본문 읽고 푼다.)
4. 본문을 읽기 시작한다.
(글의 내용 문제에서 나온 주어들을 찾고
여러 사상가들을 찾아준다.(중심 인물의 사상만 빡세게 다루고 다른 사상가들은 가볍게 비교나 공통의 대상으로 쓸 때도 있음.))
문맥을 묻는 부분적인 곳에서는 빡시게 읽는다.)
문제는 와리가리 털면서 풀지말고
어느정도 진득이 읽었다 싶으면 몇 개 처리해 주고 다시 돌아가서 다 읽음.
5. 문제를 다 풀고 채점한다.
6. 다 맞은 것을 자축하며 크록하를 춘다.
이상입니다.
확실히 장문독해의 경우엔 문제를 먼저 보는것도 도움이 될거같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