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곱하기 0이 0이되는 이유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708795
모든 숫자를 유지하는 1 vs 곱하면 무조건 0되는 0때문
쿼라에 물어봤더니 공리를 배우면 알 수 있다는데 영어라서 더 이해안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험생들 카페인 8
하루에 얼마나 마심 지금 몬스터 하루 두 캔(200mg) 마시는데 두배로 늘려야 하나..
-
차단 한명 추가 1
-
작년 9모 3번 난이도 자체는 쉬운데 이걸 빌미로 나중에 저기 도시들이 각각 바다랑...
-
ㅈㄱㄴ
-
보통 몇회분정도 푸시나요???
-
기출풀때 안배운 내용들이 좀 많이 나오는데ㅠ 어쩌죠
-
과일이 하나도 안들어가있다
-
미적은 고1수학, 수1 , 수2에 빵꾸가 뚫려있으면 성적 올리기가 상당히 힘들어진다...
-
말씀드리니까 마음편해짐
-
방 빼! 0
그 민주누님이 부패한거 아닙니다
-
매매도 쉬고 일도 쉬고 아예 환기시킬수 있는 곳으로 가고싶당
-
나 팔로잉 360인데 혼자서 몇개를 쓰길래 연속으로 이리 되는 거야 ㅋㅋㅋㅋㅋㅋ
-
순간 깝칠뻔 1
나랑 국어 문제 비슷하게 푸는 사람 글보고 먼가에 통달한 거 마냥 이론 펼치다가 잘...
-
몇임
-
ㅈㄱㄴ
-
고대는 걍 3수박으니까 들어간거고 여기서 안 오름 ㅜㅜ
-
개추좀 근하하하
-
되는 시간 경기가 죄다 두산이네
-
친구들이 교사인데 이런겁니다 수험생 인구가 갑툭 주저앉는게 2010년부터죠? 하지만...
-
왜 초선들을 방패로 세우냐
-
미소녀 11
똥
-
??? : 저는 인생을 배웠습니다
-
할 수 있겠지? 글아 잘 이해돼라
-
그냥 제 생각
-
투과목 해서 4뜬 사람이 원과목 하면 메이저의 감? 8
투과목 수능 날 4등급까지도 미끄러진다는데 그럼 투과목 해서 과탐 4뜬 사람이...
-
2뜰땐 공통에서 13 15 22틀 4뜰땐 12 13 14 15 21 22틀 인데 조언부탁드려요
-
pn 접합 다이오드가 양단의 전위 중 Anode 쪽이 Cathode 쪽보다 더...
-
작년에 솔직히 공부 너무 안하긴 했습니다 공통과목 세젤쉬 미친개념 원솔멀텍 파이널...
-
생1 뉴비입니다 0
오늘 수특을 다 끝 냈습니다 환영식이 거하더군요 기출 들어 가겠습니다.
-
군대에서의 1년 반을 사회에서의 시간으로 치환하면 어느 정도 길이로 느껴짐??
-
또 30점대네…. 요즘 안풀다가 풀어서 감이 떨어진건가
-
요즘 살짝 늘어져서 내일은 가야할듯
-
과목별로 몇 권 정도 푸세여??
-
농담반 진담반인데 제가 풀던 수능 국어 시험문제지와 지금 시험문제지가...
-
안 풀리던 문제 동료 강사에게 물어봤는 데 그 분은 금방 풀고 그 풀이가...
-
전역이 진짜 오긴 오나요?? 안 믿기는데
-
수학 n제는 보통 몇월부터 하나요? 이제 곧 뉴런 끝나는데 뉴런 끝난다음에 뭐하는게 좋을까요??
-
본인은 보수 짓거리에 환멸느껴서 진작에 현역수능 끝나고 성인되자마자 개혁신당 가입함...
-
탈퇴합니당..ㅎㅎ 18
가입한지 한달쫌넘은거같은데 별로 공부에 도움이 안되는거같아서 탈퇴합니당ㅠㅅㅠ
-
제곧내 이제 곧 시발점 다 끝나서 뉴런 들어가려 했는데 누가 일단 기출 끝내고...
-
근데나작수개잘봤네 11
뭔데77임 미적세문제날린거다맞추고 20번그쉬운문제틀려버리고 이거다맞춘다고가정하면...
-
ㅈㄱㄴ
-
저 프로필 사진 오리 싫은데 다른 것도 고르게 해주세요 그리고 유머라든가 다른 탭도...
-
진짜 노래방에서 목 찢길뻔 했누 심심하신분들 불러보세여
-
왜 오르비 반응은 전부 엔티켓이 더 어렵다고하지... 4규 시즌1 풀고 엔티켓...
-
강기분 종강인사 1
봤는데 민철쌤 되게 멋있네
-
안녕하세요! 과외용으로 제작한 수능특강 연계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 판매나...
-
친구들이 편지줌 지금 호ㅡ장실와서 울고잇어 재수 힘내라고 아 씌랑…눈물ㅇ나 아 제발...
1×2=2에 대해서
모든 숫자를 유지하는 1 vs 모든 숫자를 2배 시켜주는 2
누구때문에 2가될까요랑 같은 질문인듯..
당연히 둘 다 때문임
그렇군요...이런 답변이 오긴 했는데, 잘은 모르겠네요ㅠㅠ
The context we will assume is that of a ring. A ring is a set with two operations: addition (+) and multiplication (×) that satisfy a set of axioms. (see Ring -- from Wolfram MathWorld) for the full list.
One of these axioms is the existence of a unique additive identity, commonly represented by 0. This is defined to be an element such that when you add it to any other you get that other element back. (ie x+0=x)
Another of these axioms is the existence of a unique multiplicative identity, commonly represented by 1. This is defined as the element that “maintains the number” x under multiplication. (ie 1\timesx=x) In particular 1×0=0.
The fact that x×0=0 is always true but is not an axiom, but rather is derived from the axioms as follows.
0x=0x
Since 0+0=0,
0x=(0+0)x
Then by distributivity (another axiom),
0x=0x+0x
Then we see that 0x has the property that when you add it to something (in this case, itself) you get the same thing back. So it must be the zero element 0. Thus 0x=0.
Therefore, 0×1=0, is directly due to the axiomatic property of 1, but can be derived from the properties of 0 and distributivity. So I would say its more due to 1.
Quora에 있는거 따왔구요.
Multiplication is basically addition, done over and over again. Multiplying a number n by 2 means adding n twice --> n + n
Multiplying a number by 7 means adding it seven times --> n + n + n + n + n + n + n
Multiplying a number a gazillion times means n + n + n ... (a gazillion n's)
So what you multiply 'n' by tells you the number of n you have to add together. If you multiply n by 0, then there are no n's in the picture. Since you are not adding anything, you are left with nothing, aka 0. So:
2*n = n + n (two n's on this side)
7*n = n + n + n + n + n + n + n (seven n's on this side)
0*n = (how many n's do you see on this side? That's right--none!)
이렇게 되어있네요. 간단히 의역해보면 결국 곱셈이라고 하는 것은 더하기의 연속입니다 예를 들어 7곱하기 2는 7을 두번 더한것이며, 7곱하기 5는 7을 다섯번 더한것이죠. 그런데 7곱하기 0은 7을 0번 더한겁니다. 7을 0번 더했다는 의미는 아무것도 더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되구요. 숫자 7을 한번만 더하면 7이죠? 숫자 7을 '0번' 더하면 0이 된다는겁니다. 왜냐하면 '0'이 의미하는 것은 '아무것도 더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이니까요. 이해가 되셨나요?^^
첨부해 놓으신 부분을 의역하면 "0과 다른 숫자를 곱해서 0이 되는 것은 Axiom(명제:이미 증명되어서 따질 것 조차 없는 경우)은 아닙니다. 하지만 Axiom으로서 이미 증명된 <0x=0x, 0+0=0, 0x=(0+0)x, 0x=0x+0x : 이 순서대로 공식이 증명되었음> 부분에 대입해 봅시다. 결국 0을 1번 더해봐야 0인 것은 당연히 알 수 있죠. 그러면 이 후 위에서 증명된 명제인 Axiom(0x1)을 통해서, 물론 0도 작용을 했지만 언급했던 Axiom의 작용이 있었으므로 0이 되는 이유는 결국 1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라는 겁니다. 결국 0이라는 숫자를 여러번 더해봐야 0 이 되는데 이것은 Axiom은 아니지만 상식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이고 공식적으로 증명된 부분에 대입하는 과정은 1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Axiom의 의거해서 Quora는 0보다는 1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즉 여기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표한 결과인 '0 때문이다'와 상반된 정답이 되겠네요^^

대단하십니다....! 영어도 수학도 둘 다 잘하시나보네요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