댕댕 [745577]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8-07-08 17:14:39
조회수 1,708

6평 법률문제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691868

단속 법규 ( 체결된 계약 내용이 법률에 정해진 내용과 어긋날 때 법적 불이익이 있지만 계약의 효력 자체는 그대로 두는경우)


그리고

강행 법규 ( 체결된 계약 내용이 법률에 정해진 내용과 어긋날 때 법적 불이익이 있을 뿐 아나라 체결된 계약의 효럭자체도 인정되지 않아 급부 의무가 부정되는 경우)


두 가지가 헷갈리고 잘 안 와닿는데...


이거는 판결문을 보고 단속 법규인지 강행 법규인지 구분하고 문제 풀줄 알면 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rush밤 · 815493 · 18/07/08 17:16 · MS 2018

    저는 법적효력 유무 차이정도 보고 풀었어요

  • 댕댕 · 745577 · 18/07/08 17:16 · MS 2017

    단속법규는 계약의 효력이 인정이 되는데 강행 법규는 왜 그렇지 않은지..... (사회적으로 더 심각한 문제라서..??!)

  • 댕댕 · 745577 · 18/07/08 17:17 · MS 2017

    너무 깊이 들어가는건가....

  • Crush밤 · 815493 · 18/07/08 17:18 · MS 2018

    위조지폐같은걸 냅두면 큰일나져ㅋㅋㅋ

  • Crush밤 · 815493 · 18/07/08 17:18 · MS 2018

    예시정도 수준에서 그려려니 하고 넘어가오

  • 댕댕 · 745577 · 18/07/08 17:18 · MS 2017

    아하아하

  • Crush밤 · 815493 · 18/07/08 17:19 · MS 2018

    지금 잘기억안나서 그런데 이따셤지한번더보고 말씀드릴까오

  • 댕댕 · 745577 · 18/07/08 17:21 · MS 2017

    혹시 법정하세오?

  • Crush밤 · 815493 · 18/07/08 17:22 · MS 2018

    혹올법?!안해오 내신으로 민법까진했는디

  • 댕댕 · 745577 · 18/07/08 17:23 · MS 2017

    얏져두 내신으로 법정...ㅋㅋ 그것도 민법까지만! 형법은 애들 어려워할까봐 안하신듯ㅋㅅㅋ

  • 설이 · 463916 · 18/07/08 17:23 · MS 2013

    직접적으로 이유가 제시된 것은 아니지만 마지막 문단에서 '비례 원칙'의 적용으로 인한 효과를 밝힌 부분에서 어느 정도 추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속 법규는 분명 법률로 정한 내용에 어긋난 것이지만 법적 효력까지 소멸시키는 수준의 제한을 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강행 법규는 그 법적 효력의 소멸을 상정하지 않으면 '정당한 입법 목적'을 달성하기에 불충분해서 법적 효력을 소멸시킨다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 댕댕 · 745577 · 18/07/08 17:25 · MS 2017

    아아 감사합니다

  • ✨꽃주✨ · 541907 · 18/07/08 17:16 · MS 2014

    저는 실전에서

    강행이랑 단속 나오는거보고

    아 단속법규니까 어느정도 인정 / but 단속
    인거니까 심멘대로 하면 축자의미 살려서
    단속법규라고 이해했구

    강행법규 같은 경우는 싹다 노인정 / 단속에 비해
    강행적이니까 강행법규라고 이해했어요!

    결론은 그 두개 비교할 줄 알면 아니
    뇌가 이미 그 두개가 다르다는 걸
    느끼고 있었다면 시간을 세이브 할 수 있었던
    지문이라고 분석했어요!

  • 댕댕 · 745577 · 18/07/08 17:21 · MS 2017

    공주! 지금 6평 분석중인데
    분석할 때 한 지문 풀고>채점>분석 하나요
    아님 한 회씩 하나용

    한 지문 씩하는게 덜 휘발된 상태니까 더 나은가...

  • ✨꽃주✨ · 541907 · 18/07/08 17:48 · MS 2014

    저는 그렇게 하고 있어요!
    지문을 분석할 때는 그 지문만 분석하는게
    효율이 더 나오더라구요 ㅎㅎ

    아무래도 지문을 3분보다가 훅 넘기는게 아니라
    길어질 경우는 2시간을 1지문에 투자하는 상황도 있으니까 양보다는 질로 ㅎㅎ

  • 댕댕 · 745577 · 18/07/08 17:49 · MS 2017

    오케오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