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 [정시전략]도입 2년째 자유전공학부를 파헤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6859
![]() |
[아시아경제 황석연 기자]"학문 분야가 전문화되면서 '소통'에 장벽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문제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 이것을 해결하려면 융합의 공간을 들여다보아야 한단다. 통신과 카메라가 결합하고 미디어플레이어가 뒤섞인 아이폰의 성공은 오히려 이런 위기의 상황을 꿰뚫어본 통찰력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과학과 과학이 만나고 과학과 인문학이 공생하는 그런 학문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는 한때 서울대 문리대가 지성의 상징이었듯이 전문대학원과 대학원을 뺀 나머지 '학부 대학'이던 전통을 자유전공학부가 물려받았다고 이야기한다.
학과별 경계가 없이 자유롭고 포괄적으로 여러 학문을 통합할 수 있는 '통섭(Consilience)'으로 21세기가 원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겠다는 것이다. 현재 전국적으로 자유전공학부를 개설한 대학은 서울대를 비롯하여 연세대와 고려대를 포함해 무려 30개가 넘는다.
◆서울·연세·고려대 등 30곳 통섭교육 통한 인재 육성
지난 2008년부터 서울법대가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고, 서울의대가 의학전문대학원으로 변신하면서 소위 성적우수 학생들이 눈길을 돌린 대표적인 학과가 바로 자유전공이다.
지난해(2010학년도) 서울대 및 연ㆍ고대 정시모집에서 자유전공학부는 인문계의 경우 경영대, 사회과학 계열과 함께 빅 3를 형성했다. 자연계에서도 이런 현상은 마찬가지였다. 치ㆍ의예과와 물리천문학부, 생명과학부 등과 빅 3를 형성할 만큼 자유전공학부의 인기는 하늘 높이 치솟았다. 문ㆍ이과를 막론하고 우수한 성적을 올린 학생들이 어느 학교에서나 너나없이 자유전공학부의 문을 두드린 것이다.
서울대 최고 커트라인을 자유전공학부가 차지하면서 인문계열 중심으로 자유전공학부를 두고 있는 연세대와 고려대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졌다. 건국대학교를 비롯해 강원대와 경희대 등은 자율전공학부라 부르고, 이화여대는 스크랜튼 학부라고 지칭했다.
중앙대는 행정학과와 통합하면서 공공인재학부라고 부른다. 경북대를 비롯해 서울여대, 성신여대, 성균관대, 영남대, 한국외대 등은 이공계를 위한 자유전공학부를 따로 두고 있고, 홍익대는 미술대에 자율전공을 도입해 실기고사 없이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경영·경제학과 신청 최다...로스쿨·고시준비반 우려도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은 1년 동안 인문학과 과학을 묶는 통합 학문 강좌를 들으며 소통의 시대, 통섭의 시대에 걸 맞는 교육을 받고 있지만 정작 1년이 지난 뒤 서울대 신입생들은 2학년이 되면서 전공 선택을 어떻게 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2010학년도 1학기 전공 신청 결과를 살펴보자. 전체 학생의 64.5%인 60명이 인문계열에서 1개의 전공을 선택했다. 그 다음은 인문계와 자연계의 2개 복수 전공을 선택한 학생이 12.9%인 12명으로 큰 격차를 보여줬다. 자연계열 1개 전공을 선택한 비율이 8.6%(8명), 인문계열에서 복수전공을 선택한 학생이 7.5%(7명)로 그 다음을 이었다.
개별 학과로 들어가면 경영학과나 경제학과로 전공 신청을 한 학생이 각각 35명으로 제일 많았다. 다음은 생명과학부 9명, 수리과학부 6명, 정치학과 5명, 외교학과 3명 등의 순이었다. 학생 스스로 전공을 설계해 나가는 설계전공은 3명에 불과했다.
서울대 자유전공학부의 이런 전공 신청 결과는 자유전공학부가 개척해나가야 할 길이 얼마나 험난한 것인지 보여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설립 취지가 무색하게 경영ㆍ경제학에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학문의 경계를 허물자는 취지와 달리 커리큘럼이 법과 행정 및 경제에 치중하고 일부는 로스쿨과 고시 준비반으로 전락했다는 비아냥을 들어야 하는 현상을 두고 대학 1학년생들이 1년간 다양한 학문을 접한 뒤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도록 한 자유전공학부의 운영이 자리를 잡기에는 아직 시간이 부족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한양대 정책과학대 초대학장을 맡고 있는 조태제 교수는 자유로운 선택으로 전공학과가 없는 '통섭 교과'로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당초 취지에 변함이 없다며 21세기 국가와 기업이 원하는 미래 키워드인 '통섭'을 통해 넓고 깊이 사고하는 인재를 길러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증권방송오픈] 제대로된 기법전수! 고수들의 특급 주식방송 AsiaeTV.com
[주식투자대회] 고수20人 매매내역 실시간 공개! 고수익 매매비법 제시!
황석연 기자 skyn11@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돌 vs 남돌 0
선호도 조사
-
침대최고 1
-
님들 근데 경희대 의대 올라온 bl웹툰 제목 뭐임? 4
빨리.급함
-
재수생임 생윤사문으로 가려고 1 2월에 개념했는데 사문은 할 만 하고 재밌는데...
-
그 구간안에서 극대거나 극소일수는 있으니까 되나
-
두고두고 누군가의 술안주가 될듯
-
이제 새학기도 시작하고 과외를 구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 뻘글같은 정보글을...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에휴 ㅅ람들 오르비 들어오지도 않는데 현생 살아야지 1
근데 이게 현생임
-
심심해
-
화학하고있어서도망쳤어
-
어
-
반수 가능? 0
미적과탐으로 건동홍 라인 나오는데 확통사탐으로 바꿔서 반수하면 어디까지 갈수...
-
[5→1등급] 모르면 손해보는 비문학 구조 5가지 (1) 0
안녕하세요 국어 5등급 국포자가 수능에서 1등급 받은 비법을 알려주는 국어행동강령...
-
알바생이 열심히 일할때,ktx옆자리에 앉아있는모르는 여자,코스프레할때, 미용실에서...
-
훠훠 8
저녁은 얼큰한 햬물쨤뽕 먹으러가야지
-
자퇴하고왔다 13
근데 자퇴하러 갔는데 A에선 B로 가라그러고 B에서는 C로 가라그러고 C로 갔더니...
-
모든 항이 0인 수열은 등비수열이다 O/X
-
의대는 고점일까 9
흠 그렇다고 의대버리고 다른 곳을 갈만한 메리트가 있으려나
-
책에다 풀이하고 있다보니, 복습할 때 문제를 다시 풀기가 불편합니다.. 뉴런에 나온...
-
ㅇㅇ
-
가형 vs 통합 0
통합에서 1컷이면 가형에서 몇등급임?
-
제목 그대로입니다... 이번에 학교다니면서 준비할거같은데 수능은 22수능 치고...
-
뒷사람 안와서 잠시 그분걸로 충전 이정면 옯창 ㄱㄴ?
-
재수때 물지 했는데 물리는 무조건 버리고 지구는 어떡할지 고민중입니다 재수때 지구...
-
드론 사고 싶다 0
릴스에서 드론 쓴 광고 보는데 존나 멋지다.... 드론 사고 싶어진다
-
4전부를 다 바7게 4눈빛 흔들리지 않게 널 바라보며 서 있을게
-
오르비언 과외중 15
진짜임ㅋㅋ
-
씻고와야겠군
-
25 수능에서 확통 낮3을 받고 26수능은 1등급을 목표로 한번 더 보려고 합니다....
-
수2 문제 푸는데 22번급 깔려있는거 개당황스럽네 뭐임…
-
고민이뇨
-
난 으이으이 이렇게 발음하는거같음
-
시대인재 0
시대인재 부엉이 라이브러리 문자로 신청했다가 안하려는데 메시지 다시 보내야하나요?...
-
미적이들 모여봐 17
고3이고 시발점 들은후 현재 스블 현강 듣고있는데 시즌2부터 허들링은 공통만 듣고...
-
홍장원 전 국정원 차장 메모 필체검정결과 민주당 박선원의원과 필체 동일...
-
힘들지않은 공부는 실력 유지만 시켜줄뿐이다. 의구심이 들어도 그냥해야한다. 가본적...
-
…손풀이작성중… 6
내일 중으로는 올려 보겠습니다…!
-
배고파
-
취침 0
이따 보자
-
아오
-
약사(약대)한테는 호재에요 악재에요? 대충 슥 보면 호재같은데 약사들 여론은 별로...
-
나이로 따지면 5년한건데 웬만한 수시 웨이팅보다 훨씬 길게 한 것 같으니까 좀 봐주라 ㅋㅋ
-
경희대 의대 가기로 했다 ㅇㅇ
-
1000점 중 수능950 교과50 교과50중에 기본점수40 나머지10점이 쌩...
-
그냥 스카 다니니깐 뭔가 별로야...
-
으흐흐 0
기분이 좋아짐
-
용사 구합니다
-
작수 미적 69점 4등급 뜸 근데 미적에서 30 29 28 27 틀려서 15점...
-
분리안돼잇은거같은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