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은아 [750352] · MS 2017 · 쪽지

2018-07-01 00:00:52
조회수 1,428

사회문화 도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617703


답이랑 풀이도 해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09 · MS 2017

    ㄱㄷ 노력해 봄요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10 · MS 2016

    일단 사진이요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18 · MS 2016

    계층 구조에서 종류별로 가장 많은 비율이 어딘지 생각해보면 c가 피라미드일 때, c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하층일텐데 그래프에서 (가)의 비율이 가장 많으므로 (가)=하층
    그 다음으로 중층이 많을텐데 그래프에서 (다)기 두번째로 많으므로 (다)=중층
    나머지 (나)=상층
    따라서 나머지도 계층 구조마다 어느 계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구분해보면 A:모래시계, B:다이아 네요.

    이제 (가), (나), (다)를 알앗으니 밑에 표대로 바둑판 그리면 돼요.
    밑에 표에서는 부모 계층이 (가)이면서 자녀에서 (가)인 것은 계층 대물림일테고, 나머지는 상승 or 하강 이동이겟네요...! 이렇게 전부 정리해주면 표가 완성됫습니당.

    ㄱ. 부모 피라미드에서 자녀 다이아로-> o
    ㄴ. 상승이동 더 많음(32하나만으로도 게임끝)->o
    ㄷ. 사회안정도 더 높은 건 다이아인 자녀->x
    ㄹ. 부모계층 대비 대물림 비율이 가장 심한 곳이 하층이냐인데 중층에서 50%넘고 나머진 아니므로->x

    도움이 되었으면 좋겟어요ㅎㅎ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18 · MS 2017

    고착화는 절대량이 아닌 비율로 따지는 건가요?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19 · MS 2016

    분모를 부모로 두고 분자에 대물림 비율두면 중층이 50%를 넘지 않나요....?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20 · MS 2017

    그건 맞는데, '세대 간 계층 고착화'는 비율로 계산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거예요. 절대량만 보면 하층이 가장 높아서 어라 싶어서요.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25 · MS 2016

    대물림된 절대수치, 즉 숫자만 따지면(저기에서 조건으로 부모 당 자녀는 1명이라 준다면요) 말씀해주신대로 하층이 가장 크긴 해요. 근데 '세대 간 계층 고착화'는 세대 별로 대물림(부모계층에서 얼마나 달라졋는가)된 비율을 비교하는 것이니 변화량을 따지는 것이므로 비율로 따지는 게 맞아요ㅎㅎ 세대 '간'->'앞에게 분모 뒤에게 분자'이니 세대별로 분모에 두시고 세대별 대물림 비율을 분자로 두시면 돼요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27 · MS 2017

    킹 짱 능 수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28 · MS 2016

    감사합니다ㅠㅠㅠㅠ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27 · MS 2017

    좋아요 오지게 박고 갑니다!!!

  • 권은아 · 750352 · 18/07/01 00:27 · MS 2017

    감사합니당 많이도움됐어용

  • 출기능수 · 655203 · 18/07/01 00:28 · MS 2016

    오옷..다행이에요. 감사합니다ㅎㅎ
  • 강대 저녁 · 781919 · 18/07/01 00:15 · MS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