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50점 [819140]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8-06-30 17:36:41
조회수 6,823

수능완성 화2 75페이지 상평형 11번 문제오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613225


11번 문제에 외부압력이 1기압이고 고정장치로 피스톤을 고정시킨 실린더에 고체X가 t1온도에서 증기압 0.5 기압으로 고체 기체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ㄴ선지에 온도를 그대로 t1이라하고 고정장치를 풀면 고체 기체 두 상태가 실린더에 내에 평형을 이룬다는 선지가 맞다고 나와있는데 무조건 틀린거 아닌가여? 당연히 고체상태로만 존재해야되는거 아닌가여?  답지에는 아무런 이유 없이 맞다고만 되어있고 .. 혹시 그림에서 고체가 구 모양으로 되어있어 고체x가 비압축성 고체라서 피스톤이 끝까지 내려가지 못해 실린더 내부에 공간이 존재해서 두 상태가 공존해서 맞다면 화학2문제로서 말도 안되는 치졸한 걸 묻는 선지일테고 답지에는 그런말도 없고 문제조건에는 고체가 비압축성이라는 말도 없는데 .. 아니면 혹시 피스톤을 풀면 대기압이 실린더 내부에 일을 해줘서 기체의 내부에너지가 증가해서 승화곡선을 타고 올라가 고체 기체 상태가 공존하는건가여..? 물론 단열된 실린더라는 말도 없어서 t1의 온도로 다시 열평형이 되어 말이 안되고 그냥 문제오류이져? 혹시 사진 안보이면 첨부파일로 

투표 주제를 입력하세요.

최대 1개 선택 / ~2018-07-07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UDO · 629259 · 18/06/30 17:58 · MS 2015

    사진을

  • Qurrent · 818180 · 18/06/30 18:17 · MS 2018

    그러게요.. 저렇게되려면 실린더내에 다른기체가 있어야하는데 그런말은 없네요

  • 화2 50점 · 819140 · 18/06/30 18:20 · MS 2018

    가장 가능성있는게 고체가 압축성이라면 성립하는데 그림상보면 피스톤이 고체윗면에 접하면서 걸리면 공간이 생기니깐여 .. 오르비 안하는데 화2러중 이런거 논할 수준 찾기가 힘들어서 .. 심지어 윤도영 제외하고는 화2선생들 조차도..

  • Qurrent · 818180 · 18/06/30 18:25 · MS 2018

    제생각에도 걍 오류인거같아요 윤도영이 화2출제자 수준이 낮다고그랬는데 ㄹㅇ인듯

  • 화2 50점 · 819140 · 18/06/30 21:23 · MS 2018

    비압축성

  • 한국외대아랍어공학과 · 578279 · 18/07/01 08:49 · MS 2015

    정말 치졸하게 생각하고 출제했거나 별 생각없이 출제했거나 둘 중 하나겠죠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긴 하겠네요

  • 변화의시간 · 723166 · 18/07/04 00:38 · MS 2016

    온도가 일정하단 말은 없으니까 1기압에서 평형이 되기는 하지 않나요? 별생각없이출제한거같긴한데..ㅋㅋ

  • 화2 50점 · 819140 · 18/07/07 15:46 · MS 2018

    저도 그 생각은 해봤는데 문제에 있는 상평형곡선상의 1기압일떄의 곡선상의 온도를 알려줬다면 출제자가 문제 발문에 온도가 1기압일떄의 온도로 정확히 변했다라는 말을 누락했을 가능성은 있긴하겟지만 문제 상평형곡선상의 t1제외하고는 다른온도에 대한 상평형곡선상점의 압력값이 없는걸로봐서는 그건아닌거같구 온도가 일정하다는 말이 없다고해서 물론 1기압으로 평형이 되지만 물질상태는 고체만 존재하고 고체와 피스톤이 접촉한상태로 1기압에 피스톤 면적 곱한 값의 힘의 크기로 힘의 평형을 이루겠져 두상태가 공존할수 없는 설사 온도가 변했다고 쳐도 1기압일떄의 상평형곡선상의 온도값으로 정확히 온도가 변했는지 알 수 가 없잖습니까ㅋㅋ 곡선상의 정보도 없는걸로 봐서는 온도변화를 의도로 문제를 냈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 같아요.

  • 디와이디엑스 · 555566 · 18/07/04 13:12 · MS 2015

    오류 맞는 듯 ebs에 정정신청하세요

  • 화2 50점 · 819140 · 18/07/07 15:50 · MS 2018

    뭐 정정신청해봤자 뭐하겠습니까 ㅋㅋ 어처피 왠만한 화2선택자들은 ebs가 또 오류만들었구나하고 알텐데요. 다만 혹시 수완 풀다 문제가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고민하지 않도록 그냥 먼저 찾아서 올린거 뿐이에여. 시간 버리지 말라고

  • 똑닮 · 810161 · 18/07/10 19:06 · MS 2018

    이게왜오류임? 잘만풀었는데

  • 화2 50점 · 819140 · 18/07/12 01:20 · MS 2018

    ㄴ오류 맞는데여 글 읽긴하셨나여?

  • 19재림조교 · 746173 · 18/07/12 22:26 · MS 2017

    윤도영선생님의 상평형곡선재해석부분과 정확히위배되네요ㅎㅎ 님말이 맞습니다 저도 이거 못풀고있었는데ㅠㅠ 수완이라는곳에서까지 이러면 참..답답합니다

  • 화2 50점 · 819140 · 18/07/21 22:45 · MS 2018

    작년 윤도영선생 현강생으로서 솔직히 윤도영 6개월 다니면 화2 개념적인 부분에서 오류인지 아닌지 오개념인지 아닌지 다 구분할 정도 수준으로 오를수 밖에 없죠. 화2가 특히 대부분 강사들 조차도 오개념이 가장 넘치는 과목이라.. 더 빛을 보죠ㅎ

  • jhseo · 792724 · 18/08/21 16:56 · MS 2017

    저도 이의 제기해보고 오류인줄 알았는데 아닙니다.
    저 문제에 대해서 좀 더 연구해보고 조사해본 결과
    온도가 고정이라는 말이 없다는 것이 우선 출제의도라는 답변을 받은 상태이며 윤도영T 조교님한테 물어보았는데 온도, 압력이 고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평형은 항상 곡선상에 존재한다고합니다. 왜냐하면 승화곡선이 평형점들의 집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도의 경우 압력, 부피, 몰 수가 다 변하므로 온도도 1기압 직선과의 교점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 그리고 올어바웃 교재에 나온 예시들은 모두 온도가 고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가열 제외)

  • 화2 50점 · 819140 · 18/09/01 17:59 · MS 2018

    오랜만에 들어왔는데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오류맞습니다. 온도고정이라는 말이 없다는 것을 의도로 열역학적으로보아 당신 말대로 순간적인 압력상승으로 인한 실린더 수축으로 즉, 델타 압력을 줄어든 부피만큼으로 적분한 값인 받은 일의양만큼 내부에너지 증가, 온도상승이 발생합니다만, 정말 출제의도가 온도변화이라면 단열 실린더와 피스톤이라는 조건이 제시되어야합니다. 위에 문제에서 ㄴ선지에 평형에 도달했다는 것을 동적평형이라고 생각하여 충분한 시간이 지났다고 되어있기 때문에 압력변화로 인한 실린더 내부의 온도 상승은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온도에 다시 수렴되기 때문에 온도변화자체가 성립될 수 없습니다. 주위의 열용량은 무한대에 가깝기 때문에 고작 실린더 수축으로 인한 온도상승은 무시되어집니다. 저는 ebs가 치졸한 변명을 하고 있다고 봅니다. 상평형에서 님 말대로 그동안 평가원에서는 온도고정이라는 전제가 있는체로 압력변화를 갖고 묻는 문제만 출제 되었는데 온도고정이 아닌 상태에서의 압력변화로인한 상평형문제는 고교과정 밖일 뿐더러 그과정을 출제의도로 냈다면 제대로 알고 문제를 만들어라라고 욕하고싶네여. 즉 실린더내부가 고립계여야만 출제의도에 맞는 문제가 성립함으로 ebs가 문제오류만든게 명백합니다 &^

  • 화2 50점 · 819140 · 18/09/01 23:43 · MS 2018

    그리고 윤도영선생 조교의 말은 실린더가아닌 강철용기에서의 상평형을 말한겁니다. 고정장치를 푼 지 얼마안되서는 압력이 변화합니다만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실린더는 외부기압 1기압으로 압력이 고정입니다. 만약 상평형곡선상에 존재하려면 압력이 1기압에 대응하는 온도로 평형이 되어야하는데 그래서 제가 첫 답변에서 그에 대한 설명을 한겁니다. 실린더 내부기체가 압력상승으로인한 일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긴합니다만 충분한시간이 지나면 단열실린더가 아님으로 외부온도와 같은온도로 수렴하기때문에 절 대 로 상평형곡선상의 점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두 상태가 공존할 수 없습니다. ebs의 명백한 출제오류이고 이의 제기를 수용안하는거에서 ebs의 화학2제작자의 수준이 들어나네요.

  • jhseo · 792724 · 18/09/02 09:55 · MS 2017

    윤도영쌤의 말투를 쓰시네요 ㅋㅋ 근데 지금까지 출제된 적도 없고 출제될 거 같지도 않지만 왜 온도 변화가 교과과정 외인가요??? 아 참고로 조교님께는 문제 전체에 대한 조건을 제시해서 질문드렸습니다. 처음부터 실린더 상태에 대한 답변을 받은 것입니다. 설마 제가 올어바웃에 그대로 있는 강철용기를 물어봤겠습니까. 뭐 저는 전공자도 아닌 일개 수험생이기 때문에 자세한 일막은 모르겠으나 저 문제에서는 실린더를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단열용기로 봐야할 것 같네요. 고립계인순간 문제는 성립합니다. 출제자는 일단 온도변화에 대한 조건을 주면 출제의도가 그대로 드러나는 것이기에 일부로 저렇게 출제했다고합니다. 그리고 저런 상황이 비일비재한게 화2인데요 뭘 세삼스레 ㅇㅅㅇ

  • 화2 50점 · 819140 · 18/09/02 15:32 · MS 2018

    온도변화가 고교과정밖이 아니라 압력변화로인한 온도변화를 통해 상평형이 유지되는 문제는 물리화학 대학과정에 나오는겁니다. 그냥 열원을 가해서 온도를 변화시키는것말고요 그래서 평가원도 항상 온도고정이라는 조건을 준거고요. 애초에 고립계로 출제해도 부피가 일정한 강철용기에 한하여 화학2는 다루지 피스톤이 달려있는 고립계를 상평형곡선에서 다루는 것은 고교과정밖입니다. 단열압축같은 열역학적 과정이 가미되기 때문이고요. 상평형곡선에서 지금까지 피스톤이 달린 단열용기에관한 상황을 준 문제는 1도 없기 때문에 이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을 누락한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네요 조교님이 실린더상태에서도 상평형이 유지된다라고 한 것은 더욱이 잘못알고 계신거같은데요. 단열조건을 말하지도 않고말이죠. 뭐 제 친구놈도 이의 제기 철회됬다고해서 걍 안할려다가 걍 방금 이의제기했습니다. 답변오면 알게되겠져 뭐

  • jhseo · 792724 · 18/09/03 08:14 · MS 2017

    조교님께서는
    항상 평형은 승화곡선 상에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승화곡선이 평형점들을 모아놓은 곡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평형으로 이동하는 것이 자연스럽기에 이동하는데,

    평형이 못되는 상황은 온도와 압력이 모두 고정된 상황입니다.

    온도는 부피가 줄며 오를 수 있습니다.
    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차피 이의 제기해봤자 똑같은 답변달릴걸요 ㅇㅅㅇ

  • 화2 50점 · 819140 · 18/09/04 00:12 · MS 2018

    몇번을 말합니까 이 문제가 압력 온도가 고정이라니깐요.. 화2에서 단열된 실린더를 다루는 문제는 교과외라서 안다룹니다. 누가 평형점으로 도달하는것에 부정합니까 온도 압력이 변할 수 있으면. 델타G=0인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점가는거는 누구나 아는 사실인데여.

  • jhseo · 792724 · 18/09/04 01:27 · MS 2017

    몇번 말씀드릴 필요없이 님이 말씀하시는건 이미 다 이해하고 있구요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출제자가 문제에 초기 온도만 적혀있지 온도 고정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며(답변을 그렇게 받았습니다) 교과 외라고 말씀하시는 부분은 화2 교육과정 자체가 이미 엉망인 이상 제 알 바가 아닙니다. 또한 출제자는 답변 내용에 의하면 지금까지 출제된적이 없다는 것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교과 외인가는 대학에서 배운다는 점만으로는 근거가 불분명하며 화2 교과서와 교육과정 지침서에서는 애초에 자세히 서술해놓지 않았기에 교과의 범주에 대해 정확히 선을 긋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대학과정이겠죠. 화2 내용의 연장선인데... 또한 저 문제는 출제자 의도대로 해석하면 고립계 조건만 들어가면 문제가 없습니다. 일단 단열용기 조건이 없으므로 과학적 오류는 맞습니다. 글고 제가 설마 명색이 화2 1등급인데 생노베도 아니고 님이 하시는 말 이해도 못하겠습니까... 글고 조교님 답변을 보여드린건 설마해서 보여드린겁니다. 결국 저는 단열용기 조건만 들어가면 문제없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온도고정으로 내면 문제가 너무 쉬워지구요. 아무리봐도 교과 외라는 명확한 근거를 못찾겠네요.

  • 화2 50점 · 819140 · 18/09/18 21:02 · MS 2018

    안녕하세요. 회원님의 의견에 대한 답변을 드립니다.

    교재 심의를 통하여 보기 ㄴ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기로 하였습니다. '(나)에서 고정 장치를 풀고 X(g)와 X(s)가 평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t1보다 온도를 높여야 한다.'

    이에 대한 해설도 다음과 같이 수정하기로 하였습니다. "(가)의 승화 곡선에서 X(s)와 X(g)가 평형을 이루는 압력이 커지면 온도가 높아진다. (나)에서 고정 장치를 풀어 압력이 0.5기압에서 1기압으로 커지면 X(s)와 X(g)가 평형을 이루는 온도는 t1℃보다 높다. 따라서 (나)에서 고정 장치를 풀고 X(g)와 X(s)가 평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t1℃보다 온도를 높여야 한다."

    -수능교재기획부 과학과 드림-
    라고 답변왔네여

  • jhseo · 792724 · 18/09/18 23:52 · MS 2017

    저도 요번 신청은 그렇게 왔네요
    하도 신청해대서 결국 받아들인거같은데
    온도를 임의로 올려야 평형도달된다고 수정한거보니 교과 외를 인정하는 느낌이 강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