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교과 [341017] · 쪽지

2011-09-16 17:22:03
조회수 619

생2 고수분들 생2폭풍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42224

1.무산소 배양액속에 미생물 넣은후에
거기서 젖산발효가일어나면 왜 배양액의 ph가 낮아지죠??
NADH2에서 H는 분리됬다가 피루브산에 결합되는거아닌가요??
2004년 9월 17번문제 ㄷ보기입니다


2.틸라코이드 내막이랑 엽록체내막이랑 어디선구분하고 어디선구분안하던데
기출문제에서는 구분해야되더라고요,,엄연히 다른건가요??

3.이건문제를 아예쓸게욤..

엽록체 현탁액을 이용한 광합성 장치에서 안에 KOH용액을넣고 고무마개로 비커를 실험장치를 막은상태에서

어두운곳에 이장치를 일정시간 방치하여 CO2를 제거한후 빛을쪼였을때 엽록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ㄷ.산소 방출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이선지가 너무애매해서요,,암반응이 지속되지않더라도 물의 광분해는 계속될수있지않나요??
그럼 O2가 계속방출되는거라고생각했는데 답지에는 암반응이 되야 물의광분해도 다시될수있다고하더라구요...


4.비순환적 광인산화에 비해 순환적 광인산화가 증가할떄
엽록체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타당한것은??
ㄷ.광계1에서 흡수하는 빛에너지가 감소한다.

저선지가 틀린이유가 빛에너지가 감소하는게 아니고 증가하는거라고 마더텅답지에나와있는데요
광계1에서는 순환적광인산화랑 비순환적 광인산화 둘다하니까 하나증가하고 하나감소하면
모르는거아닌가요??
틀린선지인건 알겠는데 왜 증가하는건지 도무지 납득이안가네요..
답지:비순환적 광인산화는 광계1과 광계2가 모두이용되지만 순환적 광인산화는 광계1만 이용되는 반응이다 .따라서 순환적 광인산화가 증가하면 광계1에서 흡수하는 빛에너지는 증가할것이다.
이렇게되있네요


대충이정도인데 진짜독학하니까 물어볼사람도없고해서요 ㅠㅠ
진짜생2가 발목을잡네요...이시점에서 어케공부해야할지모르겠어요
기출을 계속반복할지 아니면 하이탑도 1회독할까생각중인데 1회독해서 뭔가얻을거없을거같기도하고..
ebs는 수능완성만풀어보려고합니다 1등급맞으려면 도대채어케공부해야되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ewbie · 383141 · 11/09/16 17:33

    1. 젖'산'
    2. 당연하죠..
    틸라코이드는 엽록체 안에 들어있는 거고 엽록체 내막은 엽록체 자체의 막이니까요..
    3. 암반응에서 NADP랑 ADP가 돌아와야 명반응이 계속 일어날수 있겠죠?
    4. 비순환적 광인산화는 그대로 일어나면서 순환적 광인산화가 증가하는거면 광계1에서 흡수하는 빛에너지는 당연히 증가하고 비순환적 광인산화는 감소하면서 순환적 광인산화가 증가하면 모르는거죠..

  • 수교과 · 341017 · 11/09/16 17:40

    감사합니다
    2번은 제가어디서착각한거같네요 죄송해요 ㅠ
    그런데 3번에서요 NADP랑 ADP가 돌아와야 명반응이 계속일어나는건알겠는데요
    산소는 물의광분해만 되도 발생하는거아닌가요?
    물의광분해는 딴거 필요없고 그냥 빛으로 물비추면되는거아닌가요??

    그리고 1번은 그 이온같은걸로는 못따지고 젖산이라는거때문에 산성이라서 그런건가욤??

  • Newbie · 383141 · 11/09/16 17:44

    물의 광분해에서 H+랑 O2랑 전자가 나오죠?
    H+랑 전자가 NADP에 붙어야하는데 붙을 데가 없으니까 반응이 안일어나겠죠?

    1번은 간단하게 그냥 산이라서 그렇다 생각하시면 되요.. 젖산이 카르복시기 가지고 있으니..

  • 수교과 · 341017 · 11/09/16 17:48

    아정말감사합니다 근데 3번이너무햇갈려요 ㅠ
    물의광분해는 그냥 빛이 물쏴서 H+O2나오고 끝아니에요? 그담 H가 NADP랑반응하는거구요
    반응안했는데도 계속 물에다가 빛쏘면 물이 H랑 O2로 분해되는거아닌가요??그래서 전 계속 O2가 발생한다고생각했거든요..

    그리고 지금 기출은 작년에 2회정도 올해 2회정도 돌린거같은데 어떻게공부해야할까요 ...
    하이탑으로혼자볼지 인강을 한번빠르게볼지 기출하고 EBS만 디립따할지 모르겠어욤..

  • Newbie · 383141 · 11/09/16 17:50

    음 제가 방금 검색해봤는데 그거 그대로 긁어올게요

    2. 명반응의 비순환적 광인산화 과정에서
    물(H2O)의 광분해 과정에 생성되는 산소의 기원, 전자 수, NADPH2 수 에 대하여

    (1) 제2광계(P680)에서 흡수된 빛에너지에 의해 초기 이탈된 전자(24e-)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12ATP를 형성하고 최종전자수용체인 12NADP에 수용된다.

    (2) 빛에너지에 의해 (24H2O) 이 광분해되어 ⇒ (24H+) + (24OH-)로 되고, 이들은 다시
    ① (24H+ ) 는 ⇒ 12NADP와 (24e-)를 만나 12NADPH2 로 되고,
    ② (24OH- ) 는 ⇒ 다시 (24OH) 와 (24e-) 로 나누어지는데, 다시
    (24OH) 는 ⇒ 12H2O + 6O2를 형성 함(물의 광분해로 산소가 생성됨)
    (24e-) 는 ⇒ P680 으로 이동하여, 초기 P680에서 전자전달계로 이탈된 전자의 공간을 채워준다

    ( 초기 P680에서 이탈된 전자와 물분해시 P680을 채워주는 전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비순환적 이라고 한다).

    (3) 비순환적 광인산화 과정을 식으로 정리하면
    24H2O + 12(ADP+Pi)+ 12NADP + 빛E ⇒ 12ATP + 12NADP H2 + 12H2O + 6O2

    즉, 위의 (3)식을 알짜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기 때문에 광합성식에는 12H2O를 씁니다.
    12H2O + 12(ADP+Pi) + 12 NADP + 빛E ⇒ 12ATP + 12 NADP H2 + 6O2




    과탐은 개념이 제일 중요해요.. 문제만 계속 풀다보면 개념이 무너져요..
    기출이랑 듄 어느정도 하셨으면 개념 한번 더 돌려요..
    하이탑까진 필요없고 인강교재같은걸로..

  • 수교과 · 341017 · 11/09/16 19:01

    감사합니다
    아근데 인강들었었는데 그거진짜마니읽었는데 맨날다시볼때마다 똑같은것만봐서 얻는게없는거같아서욤...

  • 수교과 · 341017 · 11/09/16 19:04

    아그리고 이건 진짜이해안가서 네이버에쳐봤는데 일케나왔네요
    광합성에서 명반응의 광계2에서는 전자가

    계속 빠져 나간다고 배우셧을 겁니다.

    그러면 환원이란 말이 전자를 얻는 것입니다.

    즉 광계2가 모두 환원 되었다는 의미는 광계2에 부족한 전자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물의 광분해의 이유가 광계2의 부족한

    전자를 보충하기 위해서 하는 것인데 광계2의 전자가 포화상태다면

    당연히 물이 분해될 이유가 없겠죠



    그리고 NADPH2는 원래 NADP의 상태에서 물이 광분해된 H를

    자기에게 붙여서 NADPH2가 됩니다 그런데 NADPH2가 없다는 소리는

    NADP가 없다는 의미 같은데 이러면 물의 광분해 산물인 H가 갈데가

    없으니까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