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얼이 [553307] · MS 2017 · 쪽지

2018-06-09 12:52:25
조회수 817

국어16번이의있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386640

일단 정답인2번선지에서
(학자들의)서학의수용으로일어난 (학자들의)인체관의변화라고하면인정하겠는데
학자들의라는말이없으니
서학의수용이됐다는거도 틀리고 인체관 즉통용되는 인체관의변화라는말도 납득하지못하겠습니다. 그저 학자들의 인체관에 영향을 줬을뿐이지 이것이 조선에통용되는 시대의 인체관이 아니기때문입니다
또한 최한기는 인체관이 변한게아니라 더 확고해진거라생각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율뉴율뉴 · 815538 · 18/06/09 13:00 · MS 2018

    지문 잘 읽어보세요 예전의 인체관이 변했다는게 나와있어용 저도 16번 1 2 선지 헷갈렸는데 보고 2로 체크했거든요 ㅎㅎ..

  • 시바얼이 · 553307 · 18/06/09 13:06 · MS 2017

    시간되시면
    근거가되는문장 보여주실수있나요

  • 율뉴율뉴 · 815538 · 18/06/09 13:10 · MS 2018

    제가 국어를 잘하는건 아니지만.. 제 판단의 근거가 된 문장은 다음과 같습니당
    1. 1문단 첫번째 문장의 '사상의 변화를 이끌었다'
    2. 3문단 마지막 문장 '인체에 대한 이전 유학자들의 논의가 도덕적 차원에 초점이 있었던 것과는 달리'
    3. 6문단의 첫번째 문장 '종래의 심주지각설을 그대로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저는 이렇게 생각했네요.. 근거가 되기에 논리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저는 현장에서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당

  • 시바얼이 · 553307 · 18/06/09 13:27 · MS 2017

    모두 학자의 인체관을일컫는것이라고생각합니다
    이익때도. 이익이후에도
    서양의학은 조선에받아들여지지않았고
    그중에 주목할만한, 논평을남긴인물
    이익과 최한기를 이지문에서 소개한것이라고생각해요

  • 율뉴율뉴 · 815538 · 18/06/09 13:28 · MS 2018

    음 그렇군요 저는 최대한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하기에 ㅠㅠ 일단 이렇게 생각하고 넘어갔는데 그렇게 생각하실수도 있겠군요 이의제기할만한 내용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화이팅입니다 :)

  • 딸기우유맛있어요 · 775987 · 18/06/09 13:21 · MS 2017

    저도 거기서 좀 많이 걸렸는데 충분히 이의제기 정도는 할만 하다고 생각해요

  • 시노부 · 812280 · 18/06/09 13:22 · MS 2018

    어허 평가원이 알파요 오메가니라 지고의존재들이 하얗다하면 검은것도 하얗다

  • 0310 · 758509 · 18/06/09 14:26 · MS 2017

    그 사람들이 조선 사람이니까 조선 시대의 인체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오렌지트리 · 769636 · 18/06/09 16:51 · MS 2017

    가장...적절한것....

  • 오렌지트리 · 769636 · 18/06/09 16:51 · MS 2017

    이의제기해도 이것땜에 충분히안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