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토칩 · 762395 · 18/06/03 10:44 · MS 2017

    김마담님 보실수있게 이륙허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코드네임 · 814908 · 18/06/03 10:45 · MS 2018

    복붙해서 쪽지보내면 볼텐데 굳이 이륙해서 보여줘야됨?

  • 치토칩 · 762395 · 18/06/03 10:46 · MS 2017

    이런 질문 하시는 다른 분들도 계실 수 있으니깐요
    일일이 답변하기가 힘들기도 하구요...

  • Dua Lipa++ · 801328 · 18/06/03 11:01 · MS 2018

    정보글은 닥추야~
  • 치토칩 · 762395 · 18/06/03 11:02 · MS 2017

    고맙쯤니당

  • 스님도아침엔선다 · 782907 · 18/06/03 11:08 · MS 2017

    아 글이 좀만 길어져도 읽기가 싫어;;; ㅠㅠ 수능끝나고 읽 고싶당

  • 치토칩 · 762395 · 18/06/03 11:08 · MS 2017

    화작 연습한다고 읽어주시면 ㄳㄳ

  • 으으으 · 815856 · 18/06/03 11:09 · MS 2018

    ㅇㅇ어제글보고 저도부상생각함..
    어깨정말쟐다치고 다쳐서 운동못하면ㅠ
    맨몸운동을 할생각이여도 집에서 기초만하고 헬스장가서피티받는게 좋음ㅇㅇ

  • 치토칩 · 762395 · 18/06/03 11:14 · MS 2017

    으으으님 진짜 고마워요 일일이 답글 다 해주시고
  • 도희 · 495790 · 18/06/03 11:16 · MS 2014

    지나가는 이의 시각에서 말씀드리면 좋은 정보글이었지만, 운동은 언제나 사바사라고 생각이 드네요. 치토칩님 처럼 타 운동이라도 오래 하신분이야 후면 운동위주로 하면 등판 예쁘게 잡히지만... 이는 몸의 전체적 근육량이 받쳐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치토칩님이 말씀하셨듯이 삼각근을 발달시켜도 이두와 삼두까지 보완이 되어야 밸런스가 맞다는 것 처럼, 후면만 판다고 일반인이 어깨가 벌어지고 후면이 예뻐진다고 보기에는 어려울 것 같네요. 괜히 헬스 초급자에게 3대 운동 시키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데드같은 전신 운동을 통한 밸런스를 맞춘 후에 본인이 근비대를 원하는 부위에 맞춰서 운동을 짜야한다고 생각해요. 물론 저도 치토칩님 말씀처럼 실질적으로 어깨가 '넓어보이고' 싶을 때 시각적 측면에서는 어깨운동보다 후면에 치중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치토칩 · 762395 · 18/06/03 11:18 · MS 2017

    정확하게 이해해주셨네요
  • 부기부기 · 734853 · 18/06/03 14:39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김마담 · 371669 · 18/06/03 20:43 · MS 2017

    음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시 의견을 피력하시면서 강조하신 부분이 큰 근육(대흉근, 이두, 삼두, 광배를 언급하셨네요)을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확실하게 운동에 대한 조언은 지양하시는 것이 어떤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삼각근에 대한 발달은 더디고, 사이즈 자체도 크지 않기 때문에 큰 근육인 등운동을 해라...(?)

    이보다 본인의 주장이 잘못 됨을 뒷받침하는 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운동의 부상중 정말 큰 원인 중에는 근육 간의 불균형과, 근성장 속도 대비 인대의 강화 부족이 있습니다.
    이건 너무 기본적으로 아실테지요. 따라서 정말 철칙같이 지켜야하는 것 중에서 대근육보다 주변의 디테일한 소근육의 발달입니다. 큰 근육이 성장하는 속도를 소근육이 못 따라가고 인대 또한 따라오지 못 하는데 큰 근육 운동에 집중하라고 하신 건가요?... 이 말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습니다. 감히 지금껏 다행스럽게 부상을 당하지 않으신 거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운동을 전문적으로 가르치시는 분들은 대근육 운동에 집중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정반대의 조언을 합니다. 대근육 운동을 하되 명심할 것은 소근육의 발달이라고 강조하겠죠 즉, 삼각근이 님의 말씀대로 발달이 더디므로 더욱더 노력을 해야된다는 뜻이 됩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입장에서 근육 무리군에 대한 이해는 필수겠지요. 작성자님께서는 하체운동은 스쾃이다 스쾃 열심히 해라와 같은 말도 안 되는 조언을 하시지는 않으시는지요? 대퇴 사두를 예로 들겠습니다. 대퇴 사두를 발달시킬 때도 결국 그 근육 무리군을 구성하는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근육의 결에 따른 자극과 운동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마찬가지로 등운동을 언급하실 때에도 등이 큰 근육이라고 하셨으면서 풀다운 계열만??... 로우 계열과 풀다운 계열이 등 근육의 결에 따라 어떤 발달을 이루는지 이해는 되어있는지 궁금했었습니다.

    여기까지만 글을 남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치토칩 · 762395 · 18/06/03 21:53 · MS 2017

    네 정리하면 충고질 하지 말란거죠?
    전 계속 할거니 차단하세요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