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ㅗㅜㅑ 매끈한 거 보소ㄷㄷ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251625

휘는 모습이 후덜덜하네요
그래프 이야기인데요...합성함수 극한 관련해서 질문 좀 드릴게요.
왜 g(f(x))의 극한에서 x->a일 때, 1번 그래프의 좌극한처럼 상수(함숫값)로 대입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 반면, 우극한처럼 점점 가까워지는 값으로 대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럼 2번 그래프가 f(x)라면 x->a에서 점점 가까워지는 값으로 생각하는 것이 맞나요, 아님 주변 값이 상수라고 생각해서 그냥 함숫값을 대입하는 것이 맞나요?? 수학황분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까였다 ㅈ살
-
쥬륵 0
ㅜㅜ
-
선생님들중에 한번도 안적어주셔서..;; 제가 활발하고 발표도 많이하는편인데...
-
이제 함부로 거리도 못 다니시는데 어쩔거에여
어허! 조회수 유도 차단~
제성합니다ㅠㅠ
좋아요 누르지 말고 도움 좀 부탁드려요ㅋㅋ
각가워지는값이오
오오옷 감사합니다!!!
가까워지는거요
감사드려요오!!!
2
그냥 대입하는 게 맞나요???
그럼 2번이라는 부분에서 개조식으로 글 쓴줄 알았네요 죄송합니다 저도 윗분들 같은 의견이에요
아녜요! 신경써서 답변해주신거 감사드려요ㅎㅎ
이게 왜 추천글ㅋㅋㅋㅋㅋㅌㅋㅋㅋㅋ
아 미친ㅋㅋㅋㅋㅋ
어
우
야
퍄퍄
님 머리를 매끈하게만들고싶을정도로 매끌매끌한 그래프네요
머머리 대머리 맨들맨들 빡빡이 (?)
석원이형?
형!! 형맞아??
ㅋㅋㅋㅋㅌㅋㅋ
이게 왜 맨 위에 있음ㅋㅋㅋ
오우~질문 좀 할줄 아는놈인가?

ㅋㅋㅋㅋㅋㅌㅋㅋㅋ고란이 프사달고 이딴 낚시하시면 아니됨

이상한 상상한 건 님이에여!!오늘은 이거다.
형....안돼...그러지마..
저거 기울기만 0인거지 좌우에서 상수함수처럼 행동하는 구간 없어요
오오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질문을 바꿔보아도 될까요?
“동그라미1에 그려진 함수를 f(x)라고 하고
f(x)는 x가 a보다 작을 때 b고 x가 a보다 크거나 같을 때 루트(x-a)다.
라고 정의합시다.
lim x->a- g(f(x))는 g(b)입니다.
그런데,
lim x->a+ g(f(x))는 g(b)가 아니잖아요?
즉, ‘g( )’에서 요 괄호 안에 있는 놈을 상수로 보면 안 되잖아요?
(음 쉽게 말하자면 g(0.000001)정도의 느낌일까요!? 사실 잘 모르겠어요 ㅠㅠ)
그러면
동그라미2에 그려진 함수를 f(x)라고 했을 때
lim x->a g(f(x))를 lim f(x)->0 g(f(x))로 보는 게 맞나요?
아니면 g(f(a))로 보는 게 맞나요?
결론적으로
lim x->a- g(f(x))=g(f(b))같은 게 되는데
lim x->a+ g(f(x))=g(f(b))가 안 되고, lim x->a+ g(f(x))로 풀어야 하던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잘 설명해주세요.”
이런 느낌일까요?
답변을 드리자면
(1)lim x->a는 x는 a가 아니라는 뜻을 내포합니다.
(2)x의 값이 a보다 작으면서 a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lim x->a-라고 표현합니다.
lim x->a g(f(x)) 즉, lim x->a g((x-a)^3)의 값은 g(0)이 아닙니다.
(단, g(x)가 x=0에서 연속이 아닐 때)
왜냐하면 lim x->a인 순간, x는 a가 아니기 때문이죠.
그러면 답은 뭘까요?
lim x->a g(f(x))의 값을 구하라는 게 문제라면
lim x->a g(f(x))는
lim x->a+ g(f(x))와 같을 것이고
lim x->a- g(f(x))와 같을 것입니다.
따라서 lim x->0+ g(x)가 답입니다.
lim x->0- g(x)를 구해도 같은 값이구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됐을까요?
-참고
음 유튜브나 이런 데서 합성함수 문제 푸시는 강사 분들 중에 종종
lim x->3- g(f(x)) = g(f(3-0))
lim x->3+ g(f(x)) = g(f(3+0))
이런식으로 풀라고 가르치는 분도 계시고...
이런식으로 푸는 방법때문에 헷갈리신 것 같아서 얘기를 드리자면
저렇게 특정 강사가 무한소 개념을 도입한 이유는
"출제자가 그래프가 주어진 함수 극한 문제를 주면서
그 함수에 불연속점이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im x->3 g(f(x))를 묻는 문제인데 g(f(3))이나 lim x->3- g(f(x))나
lim x->3+ g(f(x))나 같은 값이라면 이렇게 안 풀어도 됩니다.)
뭐 저 방법도 어찌됐든 lim x->a- f(x)를 물어보면
함수 f(x)를 바라볼 때 x=a에서 머리를 살짝 왼쪽으로 튼 다음에
x=a직전을 관찰한다는 공통점이 있긴 합니다.
서술한게 약간 맘에 안 드는 부분, 기출문제 등을 통해 더 이해가 쉽도록 하고싶었던 부분 등이 있었으나 졸리기도 하고 오르비에는 수학 잘 하는 사람 많으니까 보완해줄 부분이 있다고 생각되면 누군가가 댓글로 보완해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자러 가겠습니다. 댓글 쓰고 몇 번 더 읽어봤는데 수학적으로 틀리다던지 한 건 안 보이는 것 같고 본인 작문 실력의 모자름만 보이기 때문에 자러 가겠습니다 ㅃㅃ
-참고
작성자께서 기출을 보았으면 상관없지만,
사실 개념을 처음 배우면서 기출(단순 계산 말고)을 섞어 가르치는게 하는 게
과연 수험생한테 도움이 되느냐는 논란이 있기 때문에
몇 년도 몇 월 몇 번 문항 참고해달라 이런 말은 안 해도 될 것 같긴합니다 ㅎㅎ
우오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려요!!!
고란고란
라니 좋아
엌ㅋㅋㅋ
ㅋㅋㅋㅋㅋㅌ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