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머는 안가요 [803618]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8-05-20 16:38:05
조회수 678

국어 공부량 체크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168757

현역에 원점수 3모고: 93점 4모고: 86 ㄸㄹㄹ.. 

인데 음 기출분석을 쭉 하다가 요즘 간쓸개랑 실모 조금씩 풀려고 하는데 일닺 기출분석은 매일매일 2시간씩 할예정이고

간쓸개는 월수금 30분정도 풀고 실모는 토일 2번 풀려고 하는데 이렇게 해도 될까요? 기출이랑 사설 병행할려고하는데 올바른건지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글장이 · 428095 · 18/05/22 00:14 · MS 2017

    기출 분석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어떻게'에 대해서 자세히 말해주시면 좀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겠네요.

  • 의머는 안가요 · 803618 · 18/05/22 02:07 · MS 2018

    비문학의 경우 https://orbi.kr/00016616668/%ED%98%84%EC%97%AD%EC%9D%98%20%EB%B9%84%EB%AC%B8%ED%95%99%20%EA%B8%B0%EC%B6%9C%EB%B6%84%EC%84%9D%203%ED%9A%8C%EC%B0%A8..
    이런식으로 하고있습니다. 지문 볼때마다 새롭게 느끼는 점이나 독서 방법 피드백 할게 너무 많아서 1지문당 1시간씩 사용하는데요, 시간이 많이 걸리다 보니 자연스레 보게 되는 지문수는 적어지구요ㅜ 시간을 너무 많이 쓰는거 같아 걱정이네요. 방법도 맞는것인지 궁금하구요..

    문학의 경우, 현재는 제가 조금 약한 현대시-고전시가 위주로 기출분석하고 있습니다.
    작품의 경우 첫째, 화자-대상의 관계(화자의 대응방식, 정서, 태도)를 정리하고, 둘째는 제가 만든(?) 순서인데요, 시의 팩트 정리입니다. 3점짜리 보기문제에서 단순 일치 문제를 가지고 오답 선지를 만드는 것을 대비한 것입니다. 작품 분석은 이정도 선에서 끝내고, 나머지는 선지분석인데, 모든 선지에 대해서 개념어 체크 + 시 해석의 타당성 범주 체크(이정도는 옳다고 할수 있구나) 정도 하고 있습니다. 사실 비문학 분석은 많이 해봤지만 문학 분석은 조금 밖에 안해봐서요ㅜ ㅜ많이 미숙한것 같기도 하구요..

    음, 요즘 기출분석만 하다보니 아무래도 실전에서 시간이 많이 모자라서(비문학의 경우 당연한 얘기겠지만, 읽으면 다 풉니다. 대신 빠르게 풀지는 못해요. 한 문제당 1분 30초~2분 사이 컷 입니다.오히려 시간부족과 개념부족으로 인해 문학에서 많이 틀려요.), 조금 조급한 감도 없지않아 있어서, n제와 기출분석을 같이 병행할려고 하는데요, 현역이다 보니 시간은 정말 없습니다.ㅜㅜ n제를 병행한다면 어쩔수 없이 기출분석의 양이 많이 줄어들게 될텐데, (매일 비문학 1지문, 문학 1지문 정도) 아직까진 기출분석에 전념해야할때인지.. 궁금합니다. 두서없이 적어서 죄송합니다ㅜㅜ
    선생님께서 제 상태를 진단해주셨으면 합니다!

  • 글장이 · 428095 · 18/05/26 02:12 · MS 2017

    답 늦어서 미안해요~ 이번주 너무 바빠서

    1. 비문학 분석 덧붙일 것이 없을 정도로 아주 잘하고 있습니다.
    2. 화자와 대상의 관계 그리고 화자의 대응방식 및 태도를 정리하는 것 자체가 문학 '독해'를 잘하고 있다는 겁니다.^^
    시의 팩트 정리라는게 "<보기>를 통해서 ~ 감상" 문제에서 지문대응성을 따진다는 걸 의미하는 거죠? 잘하고 있습니다.

    팁을 하나 주자면
    작품을 감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문제와 제목을 먼저 살펴보고, 그 정보들을 토대로 '뭘 찾아야겠다'라는 생각을 갖고 작품을 읽어보려고 노력해보세요.
    도움이 되는 문제의 발문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보기>를 통해서~ 감상
    2.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중에서 선지에 지문 특정 부분이 대응되는 경우. 예) ' '는 어쩌구저쩌구로 이해할 수 있다.
    3. ㄱ~ㅁ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런 것들이 도움이 되는 문제 유형입니다.

    3. 비문학은 시간 단축을 목표로 하는 게 아닌, 정확함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시간 단축은 화작문과 문학에서 해야 합니다. 하지만 학생은 현재 문학에서 정확도가 부족한 상황이니 시간 단축을 우선 목표로 둬선 안돼요. 기출을 분석하면서 문학 풀이 플로우를 정형화하고 이게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나올 때까지(체득될 떄까지) 기출분석을 해야 합니다. 그 다음에 시간을 재면서 n제를 하든 모의고사를 풀던 하는 겁니다.
    그리고 화작도 풀이의 플로우를 정형화시켜서 정확하고 빠르게 10분 컷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화작문 합쳐서 15분 컷을 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