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산방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108742
왜 현무암질아닌가요? 종상인건 아는데 그러면 종상이라 거기만 유문암질인가요?
그리고 유문암질용암이나 화강암질 용암 같은거죠? 땅속에서 나오기 전까지니까...
그리고 강수량이 많을수록 하천 bod가 감소하는 이유가 뭔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108742
왜 현무암질아닌가요? 종상인건 아는데 그러면 종상이라 거기만 유문암질인가요?
그리고 유문암질용암이나 화강암질 용암 같은거죠? 땅속에서 나오기 전까지니까...
그리고 강수량이 많을수록 하천 bod가 감소하는 이유가 뭔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종상화산은 유문암질임
종상화산이니 유문암이죠.
용암으로 보면 두개는 같은게 맞음
강수량이 많을수록 bod가 감소하는건 너무 당연한거라 뭐라 말 할 수가..
오염물질이 농도가 흐려져서요? 하지만 오염물질 농도는 줄어들지만 오염물질의 양은 그대로니까 bod는 그대로아닐까요?
bod를 물이 오염된 정도라고 생각하면
강수량이 많아지면 하천 물은 많아지는데 오염물질은 그대로니까
당연히 bod는 감소 아닌가요?
bod는 오염도가아니라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라 오염도가 줄어든거랑 필요충분이아니에요 ㅠ
(동격)
bod 값이 클수록 오염물질의 양이 많으니
전 그냥 bod를 물이 오염된 정도라고 생각하고 맨날 문제풀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