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램] 수능 국어 기출 해설 쓰기 프로젝트 - 15. 2011.11 '채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922261
출판될 교재의 내용 중 일부로 파일은 내립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채권'지문을 들고 왔습니다.
이 지문에서는 제가 지문을 읽어가는 과정과 45번 문제를 푸는 사고과정을 유심히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엔 특별히 어려운 선지의 경우 '필연적인 사고 과정'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특히 45번 문제 해설은 제가 봐도 지립니다 ㅎㅎ 많이들 봐주세요.
그럼, 오늘도 내일도 화이팅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볼펜
-
그런데 왜 수능점수는 안 나오나요?
-
반은 틀린거같음 성적 잘받아서 좋은자대가면 아직까지도 꿀통안깨진 개꿀부대들은...
-
다음 새끼 들어오쇼
-
으흐흐
-
그냥 답이 없다 인생 리세마라 못하냐
-
누워잇기 0
흐에
-
이게 진짜 옯평 ㅋㅋ
-
저만 캐리어 아니겠죠
-
패앳디가 워낙 유명하긴 한데 이 하이호프도 좋음뇨
-
지능,외모
-
오늘의 ㅇㅈ 7
새벽에한 ai ㅇㅈ
-
올르비 1
너무 재밋어요
-
넵
-
새대랑 새터가서 9
같은 과 친구는 별로 못 만들고 다른 과 친구만 만들었는데 망한것같음........
-
넵
-
올해 기준 누가 더 이득임?
-
올어바웃미니 2
시대 김연호t 커리 타고 있는데요 비유전(+막전위/근육)만 자투리 시간에 볼 용도로...
-
진짜 ㅇㅈ 39
근데 어디서 많이 본거 같지 않으심?
-
기만옵붕이들의 잔치 예정이구나
-
집안에 너무 안좋은 일이 있어서 우울증,불안장애,공황 등 정신적으로 힘들었습니다....
-
아 진짜 뭐먹지
-
여기 ㄹㅇ 다 기만자들이네
-
잘잇어오루비 4
오르비안뇽
-
커즈 아이갓(천덕) 12
하하이 홉스 포얼 어 리빙 이거 맞히면 천덕 선착순 1
-
등급이 오를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
재작년에 본1까지하고 지금은 군대와있는데 애초에 내가 의대적성도 아닌거같은데...
-
이 사람들 맨날 4
기만기만거리면서 왤케 다들 잘생기고 이쁨
-
넵
-
정시 5
예비 고2 자사고 5.대인데 정시하는게 맞는지... (3.대부터 좋은곳 갈 수...
-
내 입맛특 3
ㄹㅈㄷ 초딩입맛
-
정적분 짧게 말하자면 12
1.범위잘보기 2.범위안으로 평행이동
-
3명이나본다고?
-
흐흐흐흐흐흐
-
인증완료. 5
-
뽀이아가러 1
스몰걸 패너시
-
이걸 왜 몰랐지? 접고싶다(x) 지금이라도 알면 된거지 야호^.^ (0)
-
저만 너무 빠릅니까 1분 이상 초과되는데ㅜㅜ
-
하
-
뱃지신청 4
대학교 뱃지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
이미지 1
적어주세요
-
유튜브로 키시나
-
07인데 제가 3이거든요 ㅋㅋ 개높3이긴한데 뭐 수능가면 더 떨어질거 같아요.....
-
인증하고 올라간 적이없음
-
옯만추 후기 15
재밋엇습니다 노래열창햇습니다 너무춥고사람만습니다
-
제가 cc bb 기준선에 있는 사람인 듯여 내년 입시를 위해 질문 받습니다… 저도...
-
ㅇㅈ좀 해봐 평균 계산좀 하게
-
제곧내
늘 도움많이돼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와 채권지문 딱 필요했는데 올려주시네요...진짜 이 지문은 역대급임...
감사해요....! 피램추!
형님 그런데 중간에 공통점/차이점 이야기하시면서 금리는 현재가치에 영향을 주는데 만기랑 지급불능위험은 미래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는 약간 착각하신 거 같아요. 예컨대 만기의 경우를 놓고 말씀드리면... 만기가 길어지면 가격변동성이 커지고 가격변동성이 커지는건 하나의 risk로 작용해서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률을 원하게 되는 거거든요. 그런데 이거는 다 미래에 받게 될 어떤 고정 금액을 현가로 고쳐 생각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되는지라 현가에 영향을 미치게 돼요.
자세한 이유야 복잡해서 아주 엄밀하게 쓰기는 뭐하지만 지문을 근거로 놓고 보더라도 만기가 미래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뒷받침할 내용은 없거든요. 그런지라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그냥 판단 자체를 보류했어야 하는 부분이고,
실제로도 만기는 미래가치보다는 현가에 영향을 주는게 사실이기도 하고요 (무위험할인율 대신에 위험조정할인율이 반영됨 / 사실 이게 본질은 아니긴 하지만 그래도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그에 앞서 변동성이 커지는 것도 분모에 오는 (1+r)^n에서 n이 커짐에 따라 r의 영향력이 커져서 그런거기도 하고요) . 뭐 지급불능위험이야 100만원을 나중에 못받게 될 가능성이 있으니 100만원이 50만원 0원이 될 가능성이 있으니 미래가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여지도 있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현가에도 영향 미침),
만기같은 경우 만기가 길어지면 risk가 미래에 내가 고정된 돈을 못받는다! 의 측면에서 risk가 생기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내가 100만원이야 받겠지만 그 100만원으론 미래에 꼬깔꼰 하나 못 사먹게 될 수도 있다의 측면에서 리스크가 생기는 것인 바... 이 100만원의 현재가치가 사실은 뭣도 아닐 수도 있다, 하는 측면에서 risk premium이 요구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현가에 영향을 미치는 거져.
글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한 두 달인가 전쯤부터 홍보도 엄청 많이 함
으익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해용 ㅋㅋ 음 저는 그냥 단순하게 만기는 만기가 다가올수록 가격에 영향을 준다->미래에 영향을 준다라고 봤고
지급불능위험이 미래에 커지면 가격이 떨어진다 -> 미래에 영향을 준다라고 단순하게 생각했습니당
뭐 저야 이 분야에는 문외한이다보니 그냥 이렇게 생각했고, 평가원이 관련해서 물어보지도 않은 것으로 보아 그렇게 중요한 부분도 아니라고 생각해서 보이는대료 쓴 건데.. 흑흑 사실 댓글 내용이 잘 이해가 안 가서.. 어쨌든 미래 가치가 아니라 현재 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져? 감사합니다ㅜㅜ 이렇게 하나 배워가네요
제가 하려고 했던 이야기는 (지금 다시 읽어보니깐 이것저것 다듬어서 올리는 과정에서 댓글이 완전히 망했는데 ㅠㅠㅠ) 만기가 현재가치에 영향을 준다! 라기보다는 미래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표현은 잘못되었다는 거. 이론적 의미에서 미래가치는 그냥 나중의 어느 시점에 100마넌받기로 했으면 그냥 그 상태로 고정인거거든여. 저는 그래서 미래가치를 그런 사전적 정의로서의 미래가치를 의도하셧납다 하고 댓글 단 건데 그냥 편의상의 뭉뚱그린 저런 뜻으로 쓰신거면 제가 그냥 쪼잔한 좀생이인거니깐 무시하셔도 돼여 ㅠㅠ
+ 제가 댓글을 아주 멍청하게 썼는데 이 지문을 읽을 때는 만기, 지급불능위험을 엄연히 현재가치랑 구분해서 생각하는게 맞았져. 지문에서 "채권 가격은 현재 가치, 만기, 지급 불능 위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하고 나오니깐 글 읽을 때 제가 말한 거처럼 현재 가치에 영향을 준다 생각해서는 안 되는 거였는데. 제가 현재가치 얘기를 굳이 언급한 건 다른 게 아니라 만기가 미래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건 잘못된 표현이고 굳이? 지문을 떠나서 불필요한 추론을 해보자면 차라리, 오히려 여차저차해서 현재가치에 영향을 주는 쪽에 '가깝다' (구구절절 써논 저것들은 아무 쓸모없으니깐 그냥 무시하세여)는 걸 의도하고 댓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일단 써놓고 막 다듬다보니깐 만기는 현재가치에 영향을 준다! 고 단언하는 완전히 처음 의도한 바와는 다른 엉망진창의 댓글이 된 거 같슴미다 ㅠㅠ
마음에 안들어서 나중에 오르비에 지워달라 해야게써오
ㅋㅋㅋ아닙니당 항상 관심 가져주시고 좋은 댓글 써주셔서 감사해요ㅜㅜ 경잘알들 이야기 듣는거 재밌습니다 헿
엌ㅋ 채권 지문 풀다가 터져서 찾고 있었는데 피램님이 해설을 올려주셨네요 ㅋㅋ 감사합니다. 그런데 45번 문제오답 중에 3번에 대해서 질문드릴 게 있습니다. 3번에서 저는 다른 모든 상황이 같다고 가정하고 액면 이자율이 높을 때 채권 가격은 어떻게 되는가? 에 대해서 생각했어요. 채권 가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 중에 금리를 예로 들면, 액면 이자율이 높고 금리가 높은 상황이랑 액면 이자율이 낮고 금리가 낮은 상황을 동일선상에서 놓을 수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비교를 할려면 액면 이자율 외의 모든 상황은 전부 같다고 해야 할 거 같은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그렇게 봐도 되지만, 문제에서 <보기> 등을 토대로 별다른 제약 조건을 주지 않았는데 반드시 동일한 상황을 가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ㅎㅎ 액면 이자율 외에 다른 조건도 변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맞는 일이지, 오히려 다른 모든 상황은 같다고 가정하는게 더 비논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