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님❤️공주님 [714248]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8-04-11 21:02:49
조회수 7,259

직업의 미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801606


4차 산업 혁명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4차 산업 혁명의 키워드는 통합과 자동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을 통해 인간의 많은 정신적인 노동도 기계가 대신 하게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경제학자들은 일자리가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4차 산업 혁명이 오면 일자리가 줄어들지만, 3차 산업 혁명 때 그러했듯이 새로운 일자리가 더 많이 생겨 일자리가 결과적으로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긴 걸까요?

 먼저, 미래 예측에 대해 이해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진처럼 인간은 미래를 선형적으로 예측합니다. 인간은 과거에 일어났던, 혹은 현재에 일어나는 일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합니다. 그러나 인류의 발전은 선형적이지 않고 지수적으로 일어납니다. 즉 일반적인 사람의 미래의 예측은 1980~90년대에만 해도 SF라고 생각했던 기술들이 이미 실용화 돼서 21세기에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많은 오류를 가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미래에 대해 생각할 때 과거를 기준으로 삼되 더 급진적으로 변해 있는 미래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물론 과거의 산업 혁명 때처럼 일자리의 수가 늘어날 수도 있지만, 그 근거가 과거에도 그러했기 때문에 지금도 그러하다 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의사를 예시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대를 넘어 의사는 안정적인 전문직이라는 생각이 많습니다. 의사들은 전통적으로 의학에 대한 전문 지식을 독점함으로서 그 권위와 직업을 유지해 왔습니다. 의학은 너무 방대하여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화된 의사라는 직업이 필요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로 의학 정보에 우리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공지능 의사인 왓슨 같은 기술이 생겨났습니다. 더 이상 의사들은 독점적으로 의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게 되었습니다. 의사는 그 역할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물론 인류의 시작과 함께 생겨난 직업 중 하나인 의사가 한 순간에 사라진다는 주장은 아닙니다. 그러나 의사는 마치 비행기 조종사처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인공지능의 지시를 따르고 특수한 상황에서만 자의적인 판단을 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치료를 할 때 의사와 환자 간에 관계도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인간 의사는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그 수가 많이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른 예시로 컴퓨터 공학을 예시로 들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가 인간 대신 일을 한다면 그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일은 안전하지 않은가? 라는 생각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일 역시 그렇게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현재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인 딥러닝은 ‘블랙박스’ 식 프로그램으로서 프로그래머는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이 낸 결과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또한 인공지능의 최대 목적은 컴퓨터를 스스로 컴퓨터 공학자로 만들어 스스로를 발전시키게 만드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이 이 정도 수준에 오르기 전까지는 인간 프로그래머가 필요하겠지만 사실 이런 핵심적인 알고리즘을 만드는 프로그래머는 소수의 엘리트 프로그래머이고 그 수가 아주 적습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는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며 다른 사람이 만들어 노은 틀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합니다. 흔히 ‘코더‘라고 불리는 이 프로그래머들은 낮은 수준의 인공지능 프로그래머에게 대체 될 것이며 인공지능이 발달하면 할수록 인간 프로그래머는 줄어들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직업이 인공지능에 대체될 가능성이 높으며, 대체되지 않더라고 그 분야를 선도하는 소수의 일자리만 남을 것입니다. 

 그러나 일자리의 감소가 꼭 암울한 미래로 이어지는 것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미래에 대한 예측이 크게 벗어나 생각하지도 못한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경각심을 일깨워 사회의 변화에 주목하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생각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미래는 이미 사라져버렸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살 미래는 혼란이고 아무도 확신할 수 없는 곳일 겁니다. 두려워하지 말고 미래를 받아드리고 그 속으로 걸어 들어갑시다.


한 번 써 봤는데 읽어주세요...

0 XDK (+100)

  1. 100

  • Art149 · 488828 · 18/04/11 21:03 · MS 2014

  • 출기능수 · 655203 · 18/04/11 21:04 · MS 2016

    읽기 쉽고 좋은 글이네요. 잘 읽엇어요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04 · MS 2016

    감사합니다ㅎㅎ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4/11 21:06 · MS 2014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럼 사람이 하는일을 인공지능이 상당부분 대체하니까
    점차 인구도 줄여나가는게 바람직할까요?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24 · MS 2016

    감사합니다! 음... 저는 인구 수가 현재는 많다고 생각합니다. 지구는 현재의 인구를 수용하기에는 너무 작다고 생각이 들지만 인구 수를 줄어야 한다는 관점에는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류는 여태껏 큰 힘을 들이지 못했던 새로운 분야를 연구 (예를 들면 우주기술) 할 여유를 가질 것이고, 조금 먼 미래지만 우주기술의 발달로 다른 행성에서 거주할 수 있게 된다면 인류는 전 우주로 뻗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가상현실의 발달로 컴퓨터에 의식을 업로드할 수 있는 미래가 올지도 모릅니다. 어쨋든 인류는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해 살아 왔습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노인 인구 수 증가 등 문제를 겪을 수는 있지만 다양한 기술 혁신을 통해 다른 환경에 적응하며 인구 수를 늘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인류의 발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4/11 21:28 · MS 2014

    그럼 인공지능으로 인한 대량 실업이 발생할텐데
    이 많은 실업자들은 어떤 일을 하며 사는게 바람직할까요?
    단순직무는 인공지능이 대체해버릴텐데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58 · MS 2016

    그것이 인류가 마주한 가장 큰 문제점인 것 같습니다.
    과거로부터 노동과 이익은 땔 수 없는 관계였습니다. “일하지 않은자 먹지도 말라”라는 말은 만고불변의 진리였죠. 그러나 이 진리가 흔들릴려고 합니다. 인류가 생긴 이래로, 할 일이 없는데 배부른 시기가 오는 것이죠. 인류가 처음 가는 길인데 제가 어떻게 될 것 같다, 단정지어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몇가지 예상을 해보면 일단 해결책으로는 기본소득제를 얘기하고 싶습니다. 지금도 세계의 일부분에서는 기본소득제가 논의되고 있지만 실현한 나라는 적습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인간의 대부분의 노동을 대체할 정도로는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술이 조금 더 발달해서 실업이 특이한 상태가 아니라 일반적인 상황이 된다면 논의는 달라질 것입니다. 지금처럼 경제가 운영되려면 소비가 필요하고, 노동하지 않고 소득을 얻을 수 있게 해야만 합니다. 물론 쉽지 않고 문제점이 너무 많습니다. 억지로 지금의 경제 체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역시 뾰족한 해결책은 없습니다. 만약 뾰족한 해결책 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한체 미래를 맞이 하면 극소수의 권력자들만 모든 부를 독점하는 양극화가 심화될 것입니다. 그것이 우리가 지금 머리를 맞대어 미래를 고민해 봐야하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 ㆍ후즈ㆍ · 761705 · 18/04/11 21:17 · MS 2017

    특이점은.......온다!!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24 · MS 2016

    레이 커즈와일! 많은 영향을 받긴 했죠ㅎㅎ

  • 폭☆8 · 746810 · 18/04/11 21:25 · MS 2017

    인문학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기계가 인문학도 하게 될까요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48 · MS 2016

    저는 개인적으로는 인문학을 좋아합니다ㅎㅎ
    인공지능이 인문학을 하게 되면 결과물의 형식이나 내용에서는 인간의 그것과는 차이가 없을 수도 있을 것 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정말 의미가 있는 지는 조금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인문학이란 그 결과물도 물론 중요하지만 결과물을 내기 위한 사유의 과정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문학 작품을 읽고 느끼는 감동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 했던 인간의 사유가 진정한 인문학의 발전을 이끌어 내는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의 인문학은 알맹이는 버리고 껍데기만 취하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물론 공학처럼 결과의 효율성만을 중시한다면 인공지능의 인문학은 인간에게 행복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인간의 인문학과 다를 바가 없겠지만 인문학은 성질이 다른 것 같습니다.
    인문학은 정말 인간이 했기에 의미있는 학문인 것 같습니다. 인간이 했다는 이유 만으로 가치 있는 학문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인간의 생각의 과정이 담겨 있기에 중요하고 결과보단 과정이 중요한 학문인 것 같습니다. 이 곳에 인공지능이 끼어들 만한 자리는 별로 많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결과를 중요시 하는 사회의 풍조 때문에 인문학의 이러한 가치가 인정 받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것은 과학기술의 발전 뿐 만이 아니라 인문학 같은 학문의 발전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긍정적으로 생각되는 전망이라면, 인공지능의 발달로 노동으로 부터 조금씩 사회가 해방되어 나간다면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 같습니다.
    문사철이라 무시 당해도, 월화수목금금금 쳇바퀴 돌듯 사는 공대생들의 삶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도 정신적으로는 풍요롭지 못한 것 같습니다. 문사철 여러분 부디 자부심을 가지고 인문학의 발전에 힘 써 주시기를 바랍니다! :)

  • 폭☆8 · 746810 · 18/04/11 21:55 · MS 2017

    인문학은 인간이 하기에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저랑 같으시네요. 님 덕분에 문과는 오늘도 힘냅니다.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1:59 · MS 2016

    문과 파이팅입니다...!

  • 폭☆8 · 746810 · 18/04/11 22:05 · MS 2017

    문과붐은 온다....!

  • Snake Doctor · 9680 · 18/04/11 23:16 · MS 2003

    요샌 굳이 저렇게 발전해서 뭐하나~싶더군요.
    행복? 풍요?
    어차피 기술이 발전할수록 소수가 독점하게 될텐데요.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1 23:21 · MS 2016

    비관적이지만 일부는 동의합니다...

  • KISA_ · 808950 · 18/04/12 00:12 · MS 2018

    잘읽었습니다~

  • 왕자님❤️공주님 · 714248 · 18/04/12 00:13 · MS 20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