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교과서 분석중.. 1단원 : 행렬과 연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37460
웬만큼할꺼다하고 쭉 보고 있는데 정리가 되는느낌이네요
--------------------------1.행렬과 그 연산----------------------
1)행렬의 뜻을 알 수 있다
2)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의 뜻을 알고, 그 연산을 알수있다
3)행렬의 곱셈의 뜻과 성질을 알고, 그 연산을 할 수 있다
[1]단원을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
1.항등원과 역원 ( 행렬에서 곱셈의 항등원은 E , 역원은 역행렬 , 덧셈의 항등원은 0행렬, 덧셈의 역원은 -행렬 )
사실상 모든 개념은 여기와 연관되죠.
2.행렬의 곱셈법칙과 결합법칙[덧셈,곱셈에서의.]
3.행렬에서의 곱셈공식 연산[ 단 , 일반적으로 교환법칙 성립X기에, 차례대로 써보는것이 중요 ]
[2]교과서에서 발견 및 확인할수 있는 모든 행렬의 사실
1.행렬은 표와의 연관성에서 시작함[이게 첨나온게 2010.6평인가 그럴꺼에요..교육청은 잘 기억이안나네요]
2.행렬전체적 식과 성분을 구하는 문제로 행렬 모든문제를 구분가능하다
3.m x n 행렬에 대해 이해한다. 그리고 행렬의 행과 열을 식으로써 정의할수 있다
ex)A=aij (i=1,2 j=1,2,3) => 2x3 행렬 [기출문제에 이미존재]
4.A=B같다는것의 의미는 1.행렬의 행과 열이 같다 2. 각각 대응하는 성분이 같다
5.행렬의 덧셈은 '같은꼴'[즉, 행과열의 개수가같다] 에서만 정의된다 [3월교육청^^]
6.행렬의 덧셈에서 교환법칙/결합법칙 둘다 성립한다.
7.행렬의 실수배에서 중요한것은 모든성분에 실수배를 곱해준다는 사실이다[실수하지 않아야한다]
8.행렬의 곱셈은 단순히 식을 외우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머리속에 곱해지는 '형식' 이 구현되있어야한다
이를통해 앞에곱해지는 행렬의 열과 뒤에 곱해지는 행렬의 행이 같아야지만 곱셈이 정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화시키면 mxl 곱하기 lxn 행렬은 mxn 행렬이다
8.행렬 곱셈 예제문제를 유사히 살펴본후 발견적추론을하면 일반적 계산명제 도출가능하다 [지학사 23쪽 2번문제]
9.행렬은 일반적으로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산시 주의한다
그리고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경우를 잘알아둔다[역행렬관계,단위행렬관계,특수한 행렬]
교환법칙이 성립하면 인수분해공식과 곱셈공식에따라 전개가 가능하다
10.행렬의 일반적 명제를 잘 익힌후, '영인자의 존재'를 잘 익힌다[교과서에 직접적으로 명시X but 증명과정존재]
11.위의 일반적 명제 중 교과서에서 도출할수 있는 사실들
A=0 B=0 -->AB=0[X] A≠0,B≠0 --> AB≠0 [X] [즉 AB=0이 되는 반례를 기억한다]
A≠0, AB=AC ---> B=C[X]
but If, A역행렬 존재 -> AB=AC -> B=C
그리고 놀랍게도
제가 위에써논 11가지 항목들이 모두 기출문제에 존재한다는 사실! WOW!
그중에서 중단원 확인하기에 떡하니 나와있는 5번문제 : 행렬과 표와의 관계분석
잘알아두시길..
그리고 4번: 케일리헤밀턴 정리의 꼴도 익혀두는것이 나으실듯
분석완료 ㅋ
교과서는 고3때 합해서 10독정도 해봤는데
분석은 어떻게하는지 몰라서 마음대로 써봣어요
혹시나 관심가져주시는분 아무나 평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열공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딩의대는 나이가 좀 많이 적고 수학을 좀 많이 잘하네인데 25살 개원? 와 ㅋㅋㅋㅋㅋㅋㅋㅋ
-
둘중 택하라면? 전자는 60억 당첨
-
어떤 개병신년이 8
새터에 또 한시간 넘게 지각하냐 하...... 알람이 안울렸어요 ㅅㅂ
-
병원가는길 1
아픈거 아님 정기 스케줄임
-
좀만자고.. 생윤문제 풀어야지..
-
백수됨 5
과외생두명은윈터스쿨가서과외쉬고있고한명은오늘그만둠 비상이다비상
-
오늘 옯만추하기로함 16
초미소녀로 유명한 오르비언임
-
일반고 입시 이거 맞음? 1등-의대 ~3등-서울대 ~5등-연고대 ~10등-서성한
-
뀨뀨 8
뀨우
-
강기분 작년교재 발췌수강하면서 비문학 풀었을 때는 읽은 내용이 문제랑 잘 연결 되는...
-
논술이면 최저도 맞췄을텐데…그저 goat ㄷㄷ 경외심이 드네요
-
원래 카의는 휘문고-시대인재-가톨릭대 루트를 밟는게 정석이거늘
-
난 공대도 1년 다녔는데 시간표도 다 다르고 동아리도 중앙동아리고 관심사도 다...
-
얼버기 6
-
의사 유일한 단점이 돈벌때까지 시간걸린다는건데 개원해도 30살이겠노 ㅋㅋ 삼수한형님...
-
24수능 언매 백분위 96 (1) 25수능 화작 백분위 98 (1) (1틀)...
-
스블 강의 4
스블 듣는 통통이인데요...! 원래 강의가 많이 늦게 올라오나요...? 분명 1월...
-
이거 힘든 이유가 일 때문도 있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체력부족 같음 다음 달엔...
-
보법이 다르네
-
우옹애 0
-
강의평가 보는법 0
학교 변경하려고 에타 탈퇴후 재가입 반복했더니 한달 정지돼버림… 에타 말고는...
-
2026 수능 국어 극상위권은 누구?..니가..뭔데..? 1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저는 오르비에서 약국쌤이라는 닉으로 활동하는 국어...
-
전화추합으로 뒤늦게 들어가 에타에 합격자 인증을 못하는데 0
에타 안 쓰고 시간표 같은 거 짜면 많이 어렵나요...? 그리고 건국대생이시면 추천...
-
'최연소' 15살 의대생 탄생…"의과학자 되고파" 19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 = 15살 소년이 복수의 의과대학에 합격했다. 22일...
-
각자 불가피한 사연들을 가지고 검정고시를 봤을 수도 있을텐데 검고를 싫어하는 분들도 있더라고요...
-
흠...
-
휴식
-
다크모드 끄니까 현생이 밝아졌어요
-
기출 해강듣다가 그냥만든거라 퀄은 잘모르겠음
-
공복몸무게 47 냉라면 1그릇 포카리 큰거 1병 추가예정
-
서울대 붙여놓고 휴학하고 한번 더 할건ㅔ 수강신청을 꼭 해야 되나요?
-
공복몸무게 47 치즈스틱 4개 먹태 많이 마녀스프 세그릇 화요 1병 양주 2병 펩시 1병
-
ㅇㅇ...
-
ㅈㄴ 부럽다
-
전 국수영탐12 순서로 2시간 3시간 0시간 1.5시간 1시간인듯
-
수학의바이블 개념on 책이 기존꺼랑 많이 달라졌나요? 0
그니까 개정전 수학의바이블이랑 개정후 수학의바이블이랑 아예 책 자체가...
-
이걸살까말까 0
있으면 잘 쓸 것 같고 갖고 싶은데 가격이 30만원임 비슷한 짝퉁 사면 10만원...
-
진짜 재능충들 부러우면 7ㅐ추 ㅋㅋ
-
??? : 다들 군대는 언제쯤 가실 예정이세요? ??? : 예비군 2년차입니다......
-
오늘따라 피곤하네 11
한대만 때려줘요
-
시나몬맛, 달고나맛 이거 뭔데 ㅅㅂ
-
얼마나 되나요? 고3 모고 한두개, 많으면 세개 틀리는데 작년 이감 파이널 풀어보니...
-
이래서 어설픈 병원 가면 안되는데 ㅆ
-
제목그대로 21학점 들으면서 수능공부 할 생각입니다 시간활용이나 공강 활용 조언 좀...
-
연대 내신반영 2.5점 감점이면 의대 넣을때는 영향이 클까요? 0
연세대 내신반영이 그렇게 유의미하다고 듣지는 않았는데 의대 넣을때도 그럴까요?
-
글리젠 0
역대급이네
-
BB가 AA에 밀려 떨어지는 경우도 있겠지?
-
생중계된 국정원 직제·요원명…국정원 “안보 심대한 악영향” 1
[앵커] 그런데 오늘(21일) 청문회에선 기밀 사항인 국정원 직원의 이름과 직제가...
-
2xl 상태좋음 얼마안입음 오늘중에 거래해주면 3.5에 해드림
-
글 읽어서 완전이해하는건 진짜 어려운데 문제는 나름대로 잘풀리는느낌
열심히하셨네요 ㅋㅋ
이제 행렬은 안틀리시겟네여
WoW...기대하지도 않던 추천이...
시간이 나면 전단원 분석해서 올려볼까요 'ㅅ' ...ㅎㅎ 감사합니다
ㄷㄷㄷ..
댓글 감샤해용... ㅎ
덧붙이자면, '행렬'을 배우게 되는 의의는 이런 것입니다.
처음에는 쓸데없이 왜 숫자를 여러 개 묶어서 더하고 빼고 곱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것을 생각해 내니까 나중에 연립방정식의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겁니다. 자연계열에서는 이에 추가하여 대칭이동, 회전이동에 활용할 수 있고요.
사실, 수학이라는 게 그래요. 순간변화율이니 미분계수니 도함수니 이런 걸 왜 만드는지 싶다가도, 결국 최댓값을 구하는 데 활용이 되죠. 여기에 이런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죠. 어떤 반에서 언어 모의고사를 쳤다고 해 보죠. 그 반이 딱히 특별히 언어를 잘 하거나 못 하는 것도 아니고, 상위권이나 하위권이 없는 것도 아니라던지 하는 식으로, 완전히 '전국 수험생의 축소판' 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경우라고 해 볼게요. 그러면, 반 평균으로 전국 평균의 값을 짐작할 수 있고, 반 평균과 전국 평균이 차이나는 정도는 반의 표준편차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게, '통계적 추정'이에요.
그렇군요 ^^ 저도 이부분에 관해 좀더 생각을 자주해보게 되더군요 ㅎㅎ..
즉 관점을 바꾸면 행렬을 준다 = 방정식을 준다
라고 생각하는것도 어떠한 측면으로써는 괜찮을것 같더라구요
다만! 여기서의 가장중요한점은 연립방정식의 해를 역행렬을 통해 구할수 있고
이를 기하적으로도 볼수있다! 는측면 또한 중요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