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포밍 [732836] · MS 2017 · 쪽지

2018-02-20 02:48:47
조회수 662

독재생 공부 인증 49~50일차 :: 공리주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223767

1. 여러분들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를 추구하는 공리주의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공리주의 대로라면 효율적인 것을 위해 도덕, 환경 등을 경시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예를 들어, 만만한 아이를 다수가 괴롭히면 혼자만 힘들고 다수는 즐겁겠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 부합합니다.


과거 어떤 학부생이 이런 실험을 한적이 있습니다.

인류에 치명적인 전염병이 퍼진 상황에서 최소한의 자금을 이용해

최대한 많은 사람을 살리려면 어떻게 하는지

컴퓨터로 계산하는 실험이였습니다.


여러 세팅을 놓고 시뮬레이션을 했었는데

이경우가 가장 공리주의적으로 이상적이였대요.

전염병 발생 직후 3개월동안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고

인구의 60~70%정도가 사망한 후에

치료 및 격리정책을 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경우 였다 합니다.

사회 전체의 최대 이득을 위해 최소 60%이상의 사람이 사망해야한다는 겨죠..


공리주의는 분명 장점도 있겠지만, 정말 무서운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순간의절정 · 767018 · 18/02/20 02:58 · MS 2017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단적인 주장으로 보자면 다수의 아이들이 소수의 아이를 괴롭히는게 공리를 위해 이득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사실 공리주의 학자들 중 저 상황을 공리에 부합한다고 보는 학자는 없을거에요
    소수의 아이가 입는 지속성있는 고통이 다수의 아이가 얻는 순간의 행복보다 더 크다고 볼것같아요
    다만 그 고통과 행복을 구체적으로는 산정하기 어렵다는게 공리주의의 큰 문제점이겠죠

  • 고3포밍 · 732836 · 18/02/20 13:27 · MS 2017

    엇.. 이과생이라 한계가 있었던가 ㅋㅋ
    덕분에 공리주의에 대해 더 깊게 알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 순간의절정 · 767018 · 18/02/20 21:54 · MS 2017

    쪼끔은 얕을 수 있겠지만 넓은지식 가진 님이 부러워요 저는 과학 하나도몰라서ㅋㅋㅋㅋㅋ

  • 고3포밍 · 732836 · 18/02/21 02:00 · MS 2017

    ㅋㅋㅋ ㅜㅜ
    저도 아는거 별로 없어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