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로 [791632]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8-02-08 23:51:13
조회수 13,480

한양대 정책학과 신입생들을 위한 행정고시 vs 로스쿨 난이도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021835





한양대 정책학과 18학번 신입생들은 선배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행정고시와 로스쿨 진학의 목표를 갖고 있을 것 입니다


대부분 성향 자체가 권력과 명예를 지향하고 사회적 봉사와 헌신을 높은 가지로 삼을 것 입니다


때문에 행정고시를 통해 고위직 관료로서 국가운영에 직접 참여하는 5급공무원 사무관이라는 직업과.. 


로스쿨 진학과 변호사시험을 통해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판사와 검사 그리고 변호사라는 직업 사이에서 고민하게 될 수 있습니다


물론 한양대 정책학과 입학 후 각각의 전공에 대한 이해와 직접경험 이후 진로를 결정 할 수도 있고.. 


목표를 이미 달성한 멘토들과 목표를 향해 가는 선배들의 조언과 간접체험을 통해 각자의 적성과 성향에 맞춰 최종적인 진로를 결정 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한양대 정책학과의 메인 스트림이라 할 수 있는 행정고시와 로스쿨의 합격 난이도를 비교해서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통상 행정고시는 행정고시 행정직과 행정고시 기술직으로 나뉘는데 매년 행정직은 260~280명을 선발하고 기술직은 70~80명을 선발하게 됩니다 (한양대 정책학과는 법과 경제, 정치, 행정, 철학 등을 배우는 문과이기 때문에 행정고시 행정직을 응시하게 됩니다)


반면 로스쿨은 전국의 25개 로스쿨 인가학교에서 매년 2,000여명을 선발하게 되고 이들 중 1,500~1,600명 가량이 매년 변호사시험을 통과하면 법조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즉 수치상 단순비교로는 행정고시 행정직(이하 행정고시) 합격이 로스쿨 진학과 변호사시험 합격에 비해 압도적으로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로스쿨의 정점이라 할 수 있는 서울대 로스쿨의 입학정원이 150명이고 연세대와 고려대 로스쿨이 각각 120명의 정원을 갖고 있으므로 3개교 로스쿨 정원의 합은 총 390명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입학정원 대비) 변호사시험 합격률 75%를 보장 받기 위한 전국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의 ‘법학전문대학원 학사관리 합리화방안’에 따라 엄격한 상대평가를 시행하고 있고.. 통상 입학정원의 10%정도가 자진 휴학 및 유급을 통해 (같은 기수 전원이) 변호사시험에 응시하지 못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3개교 로스쿨 합 350명 정도가 변호사시험에 응시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변호사시험 합격률 75%를 적용하면 260명 정도로 행정고시 최저 선발인원과 거의 비슷한 SKY로스쿨 출신 변호사시험 합격자 수가 나오게 됩니다


물론 SKY로스쿨의 변호사시험 합격률은 75%를 훌쩍 뛰어넘기도 하지만 작년 고려대 로스쿨 처럼 변시 합격률이 80%수준에 머물게 되는 경우도 있는 만큼 매년 총 합격인원은 행정고시에 비해 약간 많은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수치상으로는 행정고시 합격은 SKY로스쿨 합격 이후 변호사시험 합격까지 보장된 경우보다 약간 더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양대 정책학과 선배들의 행정고시와 SKY로스쿨 진학현황을 비교해 보면 극명하게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한양대 정책학과가 2009년 신설된 이후 2013년 2월 첫 졸업생을 배출하면서 발생한 아웃풋 현황은 위표와 같습니다



한양대 정책학과는 행정고시에 24명 합격 할 동안 SKY로스쿨에 25명을 합격 시켰습니다


행정고시는 2017년까지 합격자만 포함되어 있고.. 로스쿨은 2018학년도 선발이 포함되어 있어서 로스쿨이 1년 더 카운트 된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로스쿨 진학을 위한 LEET응시와 로스쿨 응시는 2017년에 모두 이뤄지고.. 최종합격자 선발만 2018학년도 1~2월에 이뤄지므로 사실상 행정고시와 로스쿨은 2017년 같은 해 아웃풋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로스쿨은 합격자 선발년도 기준 2018년으로 표기하지만 실상 2017년 아웃풋 입니다)


결국 한양대 정책학과 입학 이후 행정고시 합격 난이도는 SKY로스쿨 합격+변호사시험 합격 난이도 정도가 되고 IN서울 대형로스쿨인 한양대 로스쿨 합격은 그것 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 되며 이외 기타대 로스쿨 진학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 것은 최근 행정고시 합격인원 평균과 SKY로스쿨 합격인원 평균 그리고 한양대 로스쿨 합격인원 평균의 합이 입학정원의 30%정도가 되고 기타대 로스쿨 합격인원 평균의 합까지 더하면 최대 40%가 넘는다는 사실입니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올해 한양대와 기타대로스쿨 합격인원 평균을 더하면 최대 50%가 넘을 수도 있습니다)


즉 한양대 정책학과 입학 후 상위 40~50% 안에 들어가면 행정고시, SKY로스쿨, 한양대로스쿨, 기타대로스쿨 합격까지 모든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는 것 입니다


가능성이 희박하거나 전혀 없다면 이야기가 다르지만 너 아니면 나 혹은 둘 중에 하나라는 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치열한 경쟁이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학기별 다이아몬드 전액장학금은 평균평점 3.5점을 넘어야 하기에 한양대 정책학과 신입생들은 4년 8학기 동안 열심히 공부 할 수 밖에 없는 명분도 있습니다


자신의 적성과 성향이 어디에 있고, 소망하는 바가 무엇이든 한양대 정책학과 안에서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사실에 희망을 품고 정진 또 정진하시길 바랍니다



청춘의 시간은 생각보다 훨씬 더 짧고 빠르게 지나갑니다


올해 한양대 정책학과에 신입학 하는 여러분들 중 절반은 4년 후 행정고시 합격 후 5급 공무원 사무관이 되거나.. 로스쿨 진학 후 판사/검사/변호사가 되기 위한 초석을 쌓고 있을 것 입니다



*위 표에서 2018학년도 한양대와 기타대 로스쿨 합격현황은 아직 추가합격이 진행중인 관계로 생략했고.. 한양대 커뮤니티에 올라온 SKY로스쿨 합격자 약 10명 중 서울대 로스쿨 2명을 제외한 고려대와 연세대 로스쿨 합격자수는 알려진 8명을 임으로 4명씩 나눈 것임을 밝힙니다 (8명 중 4명 이상이 연고대 로스쿨 중 한 곳에 몰려서 합격했을 수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2/08 23:54 · MS 2014

    행정학과랑 정책학과 목표도 비슷하고 과 정체성도 비슷한데
    그냥 통합하면 좋겠네요

    보면 항상 정책이 메인이고 행정은 2중대 느낌

  • 사시로 · 791632 · 18/02/09 00:02 · MS 2017

    일리있는 말씀이지만.. 그 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습니다
    공개적인 게시판에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정책과 행정은 합치는 시너지 보다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더 유익이 많습니다

  • F81ad9k6r1xc2y0d · 800090 · 18/02/09 00:25 · MS 2018

    한양대는 아니지만 타 대학교 행정학과 학생인데요. 정책학이랑 행정학이랑 상당히 달라요. 외부에서 봤을 때는 비슷한 진로에 비슷한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으니까 합쳐도 괜찮지 않나? 생각하실 수 있는데 행정학과 학부생으로서 정책학은 약간 법에 가까운 쪽이고 행정은 경제에 가까운 쪽이라고 생각해요. 아직 학부라 깊게는 안배워서 잘은 모르지만 궤도를 달리하는 학문들이예요ㅠㅠ

  • 시베리안 냥 · 526597 · 18/02/09 00:31 · MS 2014

    보통 행정학 안에 정책학이 분과학문으로 포함되어 있죠
    행정학은 경제에 가깝다기보단 경제학,정치학,경영학,사회학 등을 짬뽕시켜 만든 정부관리학이고
    정책학은 정책의제설정-정책결정-정책집행-정책환류 순으로 정책의 순환과정과 각 과정의 이론을 배우는건데 법학이랑 가깝다기보단 법학의 요소가 일부 가미되어 있을 뿐이죠

    물론 한양대 정책학과는 정책학을 배우는 과는 아니고...

  • 한양대보내줘 · 751168 · 18/02/09 00:04 · MS 2017

    가고싶어여 제발

  • 사시로 · 791632 · 18/02/09 00:09 · MS 2017

    저도 오시길 기원합니다

  • · 792173 · 18/02/09 00:12 · MS 2017

    김정주 교수님 정책대에서만 강의하시나요?

  • 테트로도톡신 · 585020 · 18/02/09 00:24 · MS 2015

    궁금한데 로스쿨 진학에 있어선 연고대 어문보다 한양대 정책이 낫나요?

  • 사시로 · 791632 · 18/02/09 01:04 · MS 2017

    여기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번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결론만 이야기해서 한정책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SKY로스쿨이든 IN서울대형이든 지거국이든 한정책 보다 더 많이 로스쿨 진학하는 학과 자체가 연고대 인어문에 없습니다(제가 알기로는 그렇습니다)

    SKY인어문에서 SKY로스쿨 진학의 유리함을 이야기 하시는 분들의 주장의 핵심은 저리트/저학점 등 상대적인 스펙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자교라는 이유로 합격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여기에는 몇가지 맹점이 있습니다

    첫째로 그래봐야 각 학과의 1명 수준에 불과하고 많아봐야 2명 수준입니다
    즉 연고대 인어문에서 (로스쿨에서 필요로 하는) 스펙상 수석/차석을 차지해야 자교로 진학이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일례로 연고대 인어문에서 한정책처럼 3년 연속 설로에 2명 이상 합격하는 학과가 있습니까? 제가 알기로는 전혀 없습니다
    인어문이라는 하위학부 특성상 잘 가야 자교로이고 설미니나 지거국, 지사립까지도 내려가야 합니다

    둘째로 위 자료처럼 로스쿨 진학 이후 경쟁력을 담보 할 수 없습니다
    처음부터 자교로 TO나 우대를 생각하고 진학하시는 분들이 과연 로스쿨 진학 이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요?
    위 자료처럼 빅펌에 컨펌 될 만큼 1-1, 1-2, 2-1 3학기간 로스쿨에서 탁월함을 보여주기는 어려울 것 입니다
    만약 그런 경쟁력이 있는 분들이었다면 애초에 자교로 TO에 기대지도 않겠죠(스펙이 좋을테니까..)

    셋째로 로스쿨이 왜? 계속 사시 유경험자와 법대생들을 우대 할까요? 50%대 변시합격률이 갈 수록 더 바닥을 치는 상황에서 각 로스쿨의 변시합격률은 검클빅 못지 않은 로스쿨 평가지표가 되고 있고.. 법학선행이 조금이라도 되어 있거나, 리걸마인드가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고리트 지원자들을 더 우대하고 환영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솔직히 로스쿨 진학을 희망하는 연고대 인어문 졸업예정자 들이.. 로스쿨 진학을 위해 4년 8학기 동안 강하게 훈련(?) 받은 한정책 졸업예정자들과 객관적 스펙 싸움에서 이길 수 있을까요?

    기타등등 이외도 소소한 이유들이 있겠지만 더 언급하지 않아도 한정책이 연고대 인어문 보다는 로스쿨 진학에 있어 훨씬 더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테트로도톡신 · 585020 · 18/02/09 01:45 · MS 2015

    한정책에도 학점관리 안하면 지사로로 내려가야 하지 않나요?

  • 사시로 · 791632 · 18/02/09 02:18 · MS 2017

    네. 내려간적 없습니다

  • 테트로도톡신 · 585020 · 18/02/09 01:47 · MS 2015

    고려대는 일년에 스카이 로스쿨을 90명 정도 보내고 한양대는 일년에 10명 정도밖에 못 보내지 않나요?

  • 사시로 · 791632 · 18/02/09 02:17 · MS 2017

    한양대는 일년에 10명 정도 밖에 못 보내는데 대부분 한정책이고요
    고려대는 일년에 스카이 로스쿨에 80~90명 정도 보내는데 인어문은 학과별로 1~3명 수준입니다
    또 고려대에서 스카이 로스쿨에 10명 이상 보내는 학과를 경영 제외하고 한번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고려대 입학처에 직접 문의해 보세요

  • 사시로 · 791632 · 18/02/09 02:26 · MS 2017

    이 자료도 한번 참고해 보세요

  • §눈뜬봉사§ · 490760 · 18/12/04 02:29 · MS 2014

    좋은 글 감사합니다. 찬찬히 읽고 있는 중인데 알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