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2 증기압력내림?그쪽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96973
기출문제를 풀다보면 수증기로 포화된 밀폐된용기에 두 농도가 다른 수용액을 넣는문제가 자주나오잖아요 그런데 농도가 낮은쪽은 물의양이 줄어들고 높은쪽은 물의양이 늘어나는건 알고 있는데 자세하게 어떤과정으로 일어나는지 모르겟네요 설명좀 해주실분 있으세요? 맨날 증발속도 묻는 문제로 나오던데 개념서봐도 잘 모르겟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vOTE 4 인낭 22
ㅇㅅㅇ
-
전 친목러아니죠?? 22
제가볼땐아닌데 타의시선이 궁금
A의 증발속도와 응축속도 B의 증발속도와 응축속도가 모두 같을때 동적 평형이 일어납니다.
즉, 초기 용질의 몰수는 다른데, 증발속도와 응축속도가 같아지려면, 몰랄농도가 같아져야 하죠, 그러기 위해서는 변수가 물의 양인데 물의 변화는 두 비커의 몰랄농도가 같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겁니다.
이해가 되셨는지요?
아 그러면요 A,B가 있다고 쳐볼게요
상대적으로 A가 처음에 농도가 더 높다고 하면
몰랄농도가 같아지는쪽으로 이동해야되니까
A는 응축속도>증발속도고 B는 증발속도>응축속도이런식인가요?
또 A는 점점 처음보다 농도가 낮아지는 과정이니까 증발속도는
점점 증가, 응축속도는 점점 감소하는거 맞죠? 아닌가..
제가 말한것중에 틀린것좀 바로잡아주세요 ㅠㅠ
이제 봤네요 죄송 ㅠ
응축속도는 항상 일정합니다. 왜냐면 공통 계에서 수증기는 항상 포화상태이기 때문이죠 (물론 가정이 보통 이렇게 주어질겁니다)
증발속도만 변화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증발속도는 몰분율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농도가 낮아지면, 몰분율도 낮아집니다. 그래서 증발속도가 상승하는것이죠.
--------------------------------- 아마 맞을겁니다. 저도 배우는 입장이라 오류가 있을수도 있어요 ㅎㅎ 그리고 저도 1단원 어려워해서 ㅠㅠ 도움되셨으면 좋겠네요
아 예 이해됬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