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고수분들 입문자인데 개념 하나만 알려주세요! ㅎㅎ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671228
중심별의 질량이 작으면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물 수 있는 기간이 짧다. | |
결과 | 오답입니다! - 정답 X |
해설 | ▶ 중심별의 질량이 작으면 별의 수명이 길기 때문에 행성이 생명 가능 지대에 머물 수 있는 기간이 길다. |
진단
| 생명 가능 지대의 의미와 중심별의 질량과 수명과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
제가 지구과학1을 처음시작해서 너무 과하게 생각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는 중심별의 질량이 작으면 행성의 수명이 길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동시에
중심별의 질량이 작으면 별이 진화하면서 생명가능지대의 폭이 넓어지고 거리가 멀어질텐데
그렇게되면 별 자체가 생명가능지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오히려 증가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중심별의 질량이 작으면 생명가능 지대에 머물수 있는 기간이 길어지나요? 단순히
별의 수명만을 고려하면 되는건가요?
도와주세요 ㅠㅠ
그리고 지학1 처음선택하는데 개념인강 보고 수특 보는게 나은지 그 순서를 바꾸는게 맞는지도 여쭤보고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론 생2를 누가 하나 싶지만…!! 조금조금씩 올려볼게용!
-
힌트 원하면 팍팍 드릴게요
-
자고 일찍 일어나기
-
수시 시험철이라 예민해서 그런걸지도 아니면 그냥 내가 우울증일지도 아니면 진짜...
-
24번에 1-s/c 적분나와서 얼타다가 패스하고 나중에 다시오니까 기억나더라....
-
세 번째 게임입니다. 26
이번 곡은 아까의 곡이랑 조건은 같지만 다른 곡입니다.
-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
공정과 평등이 다르다면 10
우리 사회는 평등을 추구해야 하지 않을까 각자 가치관은 다르겠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
고삐리들이랑 컷 낸 거에서 20대인데 할 수 있겠지... 진짜 극복이 안 되네
-
허수라서 그런지 넘아가고 다시 보면 뭔가 집중력이 떨어짐 이것도 연습을 하면 나아지는건가
-
한국인이 일본어 잘하고 피아노 잘치고 노래 잘부르는거 시간을 얼마나 박아야할까 셋...
-
이상하게 목 한번 쉬거나, 호흡 창나고, 감기 걸리거나 하면 그 뒤에는 여목이 좀 더 잘되는 기분임
-
이게 개 간지네 진짜 이름이가
-
100만덕 가고싶어요
-
5월부터 나는 새로 태어날 거라 인사드림
-
타임어택도 없고 계산도 거의 없고 노가다도 없고 하루에 6실모도 가능함
-
난 오늘 킬캠풀때 16번에서 갑자기 막혀서(왜인진 모름) 그거 넘어감 하물며...
-
지1 질문 3
ㄷ 선지 좀 알려주세요
-
고민이댑니다
-
아침에스벅갈건데 3
스벅에서 몬스터마셔도됨?
-
6모를 못 볼 수가 없음ㅋㅋㅋㅋ 아예 엉망이었기에…
-
사과문입니다 14
-
쉽지않음..............................................
-
[수학(내신)] 강서고 2024 미적 중간고사 후기 3
전체적으로 좀 낯설고 어려웠음 수능 100점 입장에서도 제한시간 내에 한두문제...
-
일단 대만은 1
1. ㅈㄴ더움 2. 중국어 못함 3. 아직은 일본이 더 끌림 이 3개가 가로막고 있음
-
귀요미들 안뇽 26
오랜만이구먼요…!!
-
두 번째 게임부터는 참여비가 없고 참여 횟수 제한이 없으며, 대신 힌트는 게시글에...
-
ㄷㄱㅈㄷㄱㅈ 9
-
엔수한 동기 선배들 다 전적대 하나쯤은 있는데 나만없음 재종반 생활 끝나고 학원에서...
-
그래서 24시간 언매만 함 ㅋㅋ
-
국어3 이번에 1로 올려야댐...
-
아 5모..
-
겨울방학때 기출 하나도 안보고 3모쳣다가 뒤늦게 기출 중요성 깨닫고 6모 전까지...
-
취업 잘된다는디 물론 히라가나도 모름
-
작수 3등급이고 공통 14 20 22 틀렸습니다. 시대라이브로 안가람t 1주차부터...
-
장점: 항공권 및 물가 저렴 단점: 더워 죽을수 있음
-
수능장에 들어갈 때 평가원 코돈은 몇분 안에 풀도록 준비 해야할까요?? 기해분...
-
가래 존나 끼네 진짜 12
싫어하는 새끼한테 가서 뱉어야겟다
-
원서는 썼다,,
-
세상 말세네 ㄹㅇ 나 학교 다닐땐 04 형님들이 든든하게 학교 지켜주셨는데
-
난 그래도 6평 때 뭔짓을 해도 작년 6 9 수능보단 잘 볼 듯 7
수능 끝나고 일이 좀 많았는데 11월 말인가 12월 초에 일정 다 끝나고 희귀질환...
-
눈물이 흘러 5
-
대성 수학 인강 3
원래 이미지 들었는데 잡담이 너무 많아서 다른 사람 들으려는데 개념 좋고 잡담...
-
유대종 선생님 8
제발결혼해주세요 물론전키가작긴한데 나이가깡패잖아요 암튼요
-
옆동네에 올라옴 전 문제 모름ㅁ
-
쌩재수한다고 했는데 지금까지 놀아서 결국 1달 먼저 들어가는 반수생임
-
고2이고 국어가 학력평가에서 평균적으로 높3~낮2정도 뜹니다....
-
https://orbi.kr/00072999887/(%EC%9E%AC%EC%97%85...
-
완. 이제 다시 가요 한동안 휴릅
-
꾸밈정도 1-10중에 어드정도로 꾸밀까여 전 7정도 생각하고잇음 든데 오랜만에...
질량이 작으면 생ㅇㅕㅇ가능지닥에 머무는기간이 길어요
진화를 느리게하기때뮹ㆍ
감사합니당 ㅎㅎ
이게 17수능 지1 문제 중 하나의 핵심 요소 였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생명 가능 지대의 확장 속도와 후퇴 속도는 무시가 가능합니다.
질량이 태양 0.1배인 별과 질량이 태양 100배인 별을 비교하면
전자의 수명은 수천억년 후자의 수명은 수백반년에 불과하여
확장 속도를 고려하더라도 전자의 행성이 생명가능지대에 머물 기간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그리고 ... 교육과정 상 다루지 않은 것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필수 입니다.
지1 교과서 ebs 어디에도 별이 진화함에 따라 생명 가능 지대의 확장 및 후퇴를 다루는 내용은 없습니다.
참고로 대략적으로 질량 대비 별의 수명은 기하급수적인 그래프를 그립니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ㅠㅠ 수능특강 먼저봐야겠네요 교육과정에 뭐가나오는지도 잘 모르고 교과서를 갖구있지도 않아서 어떤게 중요한지를 처음보니 잘 모르겠네요
기출문제 또는 사설자작문제 먼저 풀기 전에 개념 1회독 + 교과서 1회독을 추천드립니다.
개념 1회독은 혼자하기보다는 인강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제가 지구과학 첫 선택자라 이투스 오지훈 선생님 강의를 들었는데 여기서 생명가능지대의 확장 및 후퇴에 관한 이야기를 강의중에 강조하시는거같았거든요. 그런데 작성자분 말을 듣고 생각해보니 개념강의중 뭐가 중요한지 잘 모르겟어서 수능특강을 한번 혼자 보고 가면 괜찮을까 싶어서 여쭤봤습니다. ㅎㅎ 그럼 개념1회독 먼저 하라는것이 개념완성 강좌를 수능기출 ebs문제 풀이 전에 선수강 하는것이 좋을거 같다는 말씀으로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1. 확장 / 후퇴
알아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 교과서나 ebs 어디에도 구체적인 후퇴/확장 속도를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 이 경우는 단순히 별의 진화 단계에서 어느 행성이 생명가능지대에 속하게 되는지를 다루기 위해 알아야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2. 네 ebs 문제는 개인적으로 질적으로 다소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풀 가치가 없을 정도의 문제는 아니지만, 적어도 기출은 다 풀어보고 ebs로 넘어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기출을 풀면서 문제 보는 시각을 조금 기르는 것입니다.
3. 제가 추천하는 커리입니다. 반드시 이것처럼 할 필요는 없고,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개념인강 1회독 ( 지금 듣고 계시는 오지훈 선생님 좋습니다 )
개념 인강을 들을 때 푸는 문제는 오지훈 선생님의 개념 인강의 경우 책에 나와있는 문제 정도만 풀어도 일단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2 기출 1회독 ( 오지훈 수강생이시면 인강 기출문제 책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
3 EBS 1회독 + 오지훈 유형별 자료 분석
유형별 자료 분석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생략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ebs는 2회독 이상의 가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4 기출 2회독 + 오지훈 실전문제
무턱대고 문제를 다시 푸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인강의 도움 없이 기출을 스스로 분석 할 시기입니다.
5 파이널 + 기출 n회독
파이널 기간에는 실전 모의고사 / 파이널 교재를 풀어 보시면서
절대로 기출을 놓아서는 안됩니다.
다만 시간을 고려하여 전체를 풀기보다는 본인이 틀리고, 어렵다고 생각한 문제로 분석하시면 됩니다. 6 / 9 평 분석도 잊으시면 안됩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참고하겠습니다 ㅎㅎ
오지훈 선생님 수강자라고 해서 오지훈 선생님 커리를 기본으로 추천해드렸습니다.
그게 비교대상이 뭐냐에 따라서 답이 달라져요. 같은 별에서 수명 비교할땐 생명가능지대 밀리는거 생각하고 서로 다른별 수명 비교할땐 생명가능지대 밀리는거 생각 안해서 질량 큰게 수명 짧다고 생각해야하는거예요.
감사합니당 ㅠㅠ 문제는 OX로 저거 한줄 있었습니다.
이훈식쌤 개념강의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얼마나 생각해야하는지 설명해주시는데ㅜㅜ 글로만 설명하기 애매하네요ㅠㅠㅠㅠ 지학 공부하다보면 생각 너무 깊이하다보면 저렇게 꼬이는게 가끔 있는데 열심히 하다보시면 어느정도까지 생각해야하는지 감이 오실거예요.
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