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능 언어의 법칙 : 평가원이 말하는 보편 타당한 관점이란? 언어 영역도 수리 처럼 답이 명쾌한 과목이다 by 언어외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42305
안녕하세요 오르비 언어 영역 교재 '수능 출제자 처럼 언어 기출분석 하는법
(부제:수능 비문학은 세가지 원리만 알면 99% 해결가능하다)를 집필한 언어외길이라 합니다.
평가원 해설 모읍집 파일을 다운 받고 싶으신 분이나
언어 공부법이나 수험 생활에 대한 질문이 있는 분은 조언을 해드릴테니
오르비 오른쪽 배너 '수능 출제자처럼 기출분석하는 법'에 들어가면
밑에 질문 답변 게시판이 있는데
매일 들어가서 답변을 드리고 있으니 저 페이지에 질문을 올려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평가원이 말하는 보편 타당한 관점이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올라온 어떤 학생의 질문이다. 시에 대해서 개개인의 감상이
다르고 해석이 다를 수도 있지 않냐고 물어보고 있다.
질문 내용 : ‘항상 언어영역에 시험을 치르게 되면
시에 대해서 평가가 나오는 데요
이 시는 개개인마다 감상이 다르다고 배워왔고 또 저도 다르게 해석하는데요
보기가 주어지지 않은 시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
개개인의 해석이 다른데 보기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잘'못된 것 아닌가요?
이에 대한 평가원의 대답을 들어보자.
‘언어 영역의 경우 수험생의 주관성이 어느 정도 개입하게 마련인데 이를 허용하는지
를 물었습니다. 현행 수능 언어영역의 문제는 '오지선다형'의 객관식 문항으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수험생은 지문을 읽고 가장 적절한 답을 다섯개의 선택지 가운데
선택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유형은 수많은 수험생을 객관적으로 채점하
여 평가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학생이 지적한 것처럼 수험생의 다양한
반응를 수렴하여 평가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집니다. 수능은 한 해 60만명 가까운 수험
생들을 짧은 시간 안에 평가해야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이러한 선다형 문제 유형을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들의 대입 시험도
대부분 선다형 문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시험을 준
비하는 학생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선다형 문제 유형에 알맞은 방식으로 개인의 지나
친 주관보다는 '보편타당한' 관점에서 주어진 문제를 풀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합니다.’
평가원은 학생의 질문에 대해 ‘개인의 주관보다는 보편타당한 관점에서 주어진 문제
를 풀라’고 했다. 평가원의 이 대답은 수능 언어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는 앞으로 문제를 풀 때 주관대로 풀지 말고 ‘보편타당한’
관점에서 문제를 풀어야 정답을 맞출 수 있다. 그렇다면 ‘보편타당한’ 관점이란 무엇
일까?
-보편 타당한 관점에 대해
수능 언어 응시자는 연 60만명이 넘는다. 출제자는 60만 명을 객관적으로 인정시킬
수 있는 정답을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서 ‘60만명이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
답’이 ‘보편타당한’ 관점인 것이다. 60만명이 객관적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조금이
라도 헷갈리게 문제를 내면 안된다. 조금이라도 헷갈리게 문제를 낸다면 60만 명이
기를 쓰고 이의제기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60만 명이 객관적으로 인정하려면
언어도 수학처럼 답이 명쾌할 수 밖에 없다. 오답은 100% 오답, 정답은 100% 정답이
되도록 출제가 되는 것이다. 오답에 대해 정답 가능성이 단 1%라도 없게 출제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분 들은 기출 분석을 통해 맞는 선지가 100%맞고 틀린 선지가
100% 틀린 것이 수학 처럼 눈에 보이도록 보고 또 봐야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ㄹㅇ ㅋㅋ
-
생지 vs 물지 사탐은 하기 싫음. 둘 중에 추천좀 물리는 내신 선택 안해서...
-
그저 슬픔
-
정신나갈거같음 0
범위가죄다말이안됨
-
사실재료역학도xx학도xxxxx실험도
-
잘자요 오르비 0
밤샘롤하다 이제 자러감
-
[스포] 28 수능(예시) 국어 독서 과학·기술 지문 복습시 참조 0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요새 현생이...
-
수특으로 개념 공부하고 기출 풀어도 ㄱㅊ?
-
도대체 사탐 뭐 선택하라는겨… 그냥 내가 끌리는거 한다?? 사문 정법 한다???
-
오르비 사망 3
-
쌩노베고 일단 6모전까진 공통때문에 절대 못할거 같은데 6모쯤 보다 더 늦는건 에바임?? 몇월까지?
-
시즌말 경쟁전 6
-
과제 완료 1
씨발... 물리는 잘 모르는 거 세개 밖에 없으니까 이것만 좀 파면 되겠다
-
4덮 물2화2 0
47 47인데 걍 개어려운데 ㅋㅋ 이게뭐지
-
한손으로풀콤이가능해진다
-
별로 얘기도 안했는데 이 친구 보법이 다르다
-
음 7
공부는자고일어나서
-
중간망쳐도되는이유 16
ㄹㅇㅋㅋ
-
원래 화생했었는데 사문으로 런 치고 하나 더 런치려고 하는데 도버히 못정하겠아요ㅜㅜ...
-
몬스터보다도 두근거림이 심한데 마카인가 이런 거 때문인가..
-
영포티 7
나는 올드트웬티
-
친구 없냐는 나쁜 말은
-
내신 자료 만들어주기 너무 힘드네 아 제발 대중적인 것 좀 쓰라고
-
생화학시작조차안햇는데 14
그냥족보만외울까
-
26학년도(25년 시행) 4덮 화학2 주요문항 손필기 1
헤설 맘에 안 드는 것만 풀어봤어요 플이가 잘못되거나 질문은 댓글 남겨주세요
-
혹시 남한산성에서 겨울을 버틸만큼 충분히 식량이 있었으면 청군은 그냥 돌아가야...
-
풀어볼가 30점대맞으면 어뜨카지
-
자러감 4
ㅇㅋ
-
생윤/윤사 강화 지문인가...철학 모르거나 못하는 사람한테는 너무 까다로운 지문이라...
-
반갑습니다 9
오랜만이에요
-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동안 모든 생기부를 90% 사회복지로 썻는데 사회 학과에...
-
우울글 주의) 26
그런건 없고 다들 우울말고 우웅해요
-
과외를 문제 몇개 추려서 풀게 시키기 + 숙제 확인 + 모르는 문제 질답 + 진도...
-
내일 할 일 3
기영이 숯불치킨먹기
-
둘 다 상위 30퍼 아웃풋으로 알고있음
-
25 본수능 마지막 페이지 가장 반수능적인 문제들..
-
서버가 터졌어
-
머리박기 5
헤드스핀
-
이녀석들아..
-
이거 주인공 중에 죽는 사람 있음?
-
없다 생각하고 풀어도 사실 답은 똑같긴 헐텐데 있어야되는 조건이엇음 허수엿다 내가
-
새르비 맞팔구 0
ㄱㄱ
-
이딴 병신같은 문제 도배해두고 지들이 명품이라고 우김 진지하게 요즘은 서바출제진이...
-
라이브 들을거에요!
-
재수해서 이번에 대학을 왔는데 작년에 1년간 시대인재 재종을 다녔었습니다 삼반수를...
-
컴공 일기277 3
시험 공부 중입니다… 최근 프로그래밍 언어론, 컴퓨터 구조론, 알고리즘, 컴퓨터...
-
난 노래 3년 배웠는데 노래가 늘긴했는데 바리톤 << 이 병신같은 톤이라 발라드...
-
덜-렁 죄송합니다 꾸벅.. 독재학원 다니다가 비싸기만하고 친목질 오져서...
-
세 손가락으로 손등 스윽 쓰다듬음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