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엉대 [343295] · MS 2010 · 쪽지

2011-07-29 01:20:18
조회수 867

교수가 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 알려주세요~부탁드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19530

고2 인데요. 원래는 고등학교 교사가 꿈이였는데요. 큰형과 둘쨰형이 둘 다 미국에 있는 로펌회사에서 일하고 있어서요 . 저도 미국으로 유학을 갈 수 있는 상황이 되어서

대학교는 한국에서 다니고 , 대학원을 코넬 혹은 벤더빌트 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한국에서 명문대 교수를 하는게 저의 생각이였는데요.

저가 대충 알아보니 대학교 4년 대학원 3년 (석사과정) 대학원 3년 (박사과정) 이렇게 총 10년이라는 시간을 학문에 쏟아야 교수를 할 수 있다고 해서

이게 정말 맞는지가 너무 궁금해졌어요.그리고 저가 남자여서 군복무 2년까지 합치면 최소 33세부터 직장을 얻는것이라; 좀 그러네요;;교수는 정말로 하고 싶거든요.

그리고 큰형 말로는 33세부터 교수를 하게 되면 엄청 빠른 거라고 했어요. 아마도 더 걸릴 수도 있을 거라고 했는데요. 왜냐하면 저희 집안이 부유한 집안이 아니라 대학원부터는 제가 직접 학비마련해서

대학원을 다녀야해서요. 학비 마련하는 것도 엄청 오래 걸릴 것 같은데요. 

최소 10년은 공부해야하나요? 그리고 국내에서 교수 할려면 한국에 있을 떄 다니던 대학교도 중요한가요? ( 설대 사회교육과, 고대 교육학과 목표로 공부 중입니다!)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만족 · 374458 · 11/07/29 01:23

    박사 따도 시간강사 하는사람 태반임

    33세면 진짜 빠른거

    교수는 일단 TO가 없어서...

  • royoswalt · 351892 · 11/07/29 01:54 · MS 2010

    최종학력도중요하지만 교수가되려면 서울대출신이라는게 엄청난 영향력으로작용합니다. 그리고 유학갔다온다고 교수되는것도아니구요.오히려 한국에서 정석적인 테크 탄사람들한테 밀립니다.인맥이 별로없으니까요. 한국에서교수하시려면 라인잘타는게 제일중요해요. 아버지가 지방대 교수셔서 많이이야기들었는데 신임교수채용하는거 이력서봤는데 대학원아이비리그에 쟁쟁한주립대 나온사람들도 다 떨어졌습니다. 서울대도 수없이 떨어지구요. 제가 지금드리고싶은말씀은 무조건 서울대를 가라 이거네요

  • 후니 · 114036 · 11/07/29 01:57 · MS 2005

    교수는 인맥+이 있어야 되고
    없으면 노력을 거하게 해야 하는데 스펙이 보통 스펙으론 힘들다고 하네요.

    궁금하시면 아무 대학교 홈페이지에 교수소개 보세요
    학력이랑 논문이나 업적들이 줄줄이 나와있습니다.

  • 여엉대 · 343295 · 11/07/29 17:42 · MS 2010

    어느정도 알아봤는데요,
    학력 장난 아니네요;......그리고 인맥이라는게;;..열심히만 하면 할 수있는거 아닌가요?

  • Vermut · 370782 · 11/07/29 02:01 · MS 2011

    대부분 서울대를 거쳐서 석박사를 외국에서 하는경우가 많죠 교수분들은..

    물론 연고대나 기타 대학을 나오시는분들도 많이계시지만요

    한국계 교포 이런분도 아니고 순수 한국인이면서 학사를 외국에서 하면(물론 하버드나 진짜 대단한 학교에서 학사를 받으시면 말이달라지겠지만) 조금 불리하지않을까요? 서울대 출신에 비해..

  • Zizou. · 347638 · 11/07/29 02:02

    우리나라 대학들 교수임용하는거 보면 보통 학력이 서울대 아니면 자교출신들을 많이 뽑죠
    제친구도 한양대갔는데 교수가 하고싶다고 서울대 대학원을 갔네요

  • 내일을위해 · 345501 · 11/07/29 02:47 · MS 2010

    33세대 교수라는것은 꿈과같은일

    그리고 10년 공부하는걸 두려워 하시는데
    10년 공부한다고 다 교수되면 저라면 100% 하겠습니다.

  • coffee♡ · 64521 · 11/07/29 04:18 · MS 2017

    그냥 꿈 쫒아서 뭐든 열심히 하세요 벌써부터 그런 걱정은 좀 이른듯 싶어요 ;;

  • 왜벌써가 · 357267 · 11/07/29 10:00 · MS 2010

    우선 석사에서 교수하는 경우는 거의없고요(학교레벨이 밑으로갈수록 종종 보임)

    박사까지 하는데 박사학력도 중요합니다.

    저희학과의 경우 국내박사 교수님은 현직교수님 기준 5명도 안되고(3명)

    석사는 종종 국내에서 해도 대부분이 해외박사입니다.

    박사따고 오면 자기가 박사근무 한곳이나 혹은 재직하고 싶은 학교의 대학원 연구실에서 포닥하다가

    강사로 채용되면 강의하다가 조교수,부교수,정교수 이렇게 가죠 이과정은 존.나 빡세다고 할수있음

    전문대 교수 이런데는 쉽습니다 솔직히.

  • 미래파 · 40344 · 11/07/29 10:02 · MS 2003

    교수 임용은 문과냐 이과냐에 따라 하늘과 땅차이로 갈립니다. 분위기가 전혀 달라요.
    위에 보니 문과시군요. 한국에서 공부열심히하세요

  • 포카칩 · 240191 · 11/07/29 10:13 · MS 2008

    그래도 갈수록 국내박사 비중이 늘고 있는 편이긴 합니다. (이과기준)

  • 내일을위해 · 345501 · 11/07/29 10:29 · MS 2010

    참고로 말씀 드리자면..
    오르비니까 이정도만 이야기 나온 겁니다;;

  • 발로텔리멘탈 · 317568 · 11/07/29 11:14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一切唯我造 · 92531 · 11/07/29 13:07 · MS 2005

    문과신거 같은데.....
    아예 미국대학으로 가는것도
    한 방법입니다

    미국 명문대는 서울대서도 날고 길지 않으면
    문과로는 가기가 매우 힘들어요
    차라리 학부부터 미국서 하는걸 추천해요

  • 여엉대 · 343295 · 11/07/29 17:40 · MS 2010

    큰형 , 둘쨰형 둘다 미국에 있어서 저까지 미국대학으로 가는 건 부모님한테 미안해서; 대학은 한국에서 다닐려구요.
    저도 대학교는 한국에서 다니고 싶어요.
    저가 대학졸업할떄쯤 큰형은 아마도 한국으로 올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