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공간도형과 벡터는 교과서를 봐도 도저히 모르겠다구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07003
학습동에 쓰기에는 글이 좀 가볍습니다만, 그냥 커피 한 잔 마시면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팁 정도라고 생각해 주세요. 의외로 이런 마인드가 없는 학생들을 많이 보기 때문에, 그냥 넘길 수 없다 싶어 몇 자 적습니다.
A. 당연합니다.
# 1
예를 들어 봅시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만 알아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나요? 미분과 적분은 일종의 도구에 불과합니다. 삼차함수, 사차함수, 지수/로그함수, 삼각함수 같은 다양한 '소재'들을 해석하고 연산하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거죠. 미적분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다양한 함수의 성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 점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미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함수들의 성질은 고등수학이나 수학 I에 이미 제시가 되어 있기 때문이죠.
# 2
교과서의 공간도형과 벡터 단원에서 얻은 지식은 삼각형과 원이라는 소재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공간도형은 삼차원인데 무슨 삼각형과 원이야? 라고 질문하실 수험생들이 분명히 있을텐데, 99%의 공간도형 문제의 핵심은 평면화입니다. 평면화한 후 삼각형과 원을 이용해 분석할 뿐이죠.
기하와 벡터에서 새로 배우는 소재가 하나 있기는 합니다. 구죠. 그렇지만 기하와 벡터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구에 대한 설명은 무척 심플합니다. 원의 방정식 배웠지? 그러면 좌표축 하나 추가해봐. 그러면 구네. 끝. 교과서 집필진들이 귀찮아서 구는 대충 쓴 게 아닙니다. 원으로부터 구의 모든 성질을 추론할 수 있기에 구를 공간좌표의 관점에서 유도하는 것만 써주고 끝낸 것이죠. 다시 말해, 구도 자르면 원이라는 사실에서 모든 풀이가 출발합니다.
결국에는 중학과정과 10-나에서 배우는 원과 삼각형에 대한 성질을 활용하지 못한다면, 공간도형과 벡터 파트에서 출제되는 어떤 문제도 풀 수 없게 됩니다. 아무리 기하와 벡터 교과서를 들여다보고 있어도, 소재에 대한 이해가 전무한 상태로 도구만 알고 있어서는 문제가 풀리지 않게 되는 거죠.
#3
결론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안 나온다고 등한시하지 말고 중학기하 과정을 좀 튼튼하게 공부하세요. 09수능과 11수능에서 중학기하 지식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킬러문제가 나왔던 사실은 기억하실 겁니다. (2009-30, 2011-22) 킬러는 아니어도 중학기하 지식이 필요했던 문제도 있습니다. (2010-14, 2011-5)
원주각의 주요성질(2011-5, 2011-22에 출제됨)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그 응용
삼각형의 내심(2009-30에 출제됨. 좀 쉽기는 하지만 2008-28도...), 외심, 무게중심의 성질
같은 것들은 필수적으로 알아두고, 관련된 내용들도 정리해두는 게 좋겠죠. 본격적으로 보려면 중학교 교과서를 참고하는 것이 좋고, 간단하게 보려면 소동(sodong)님이 집필하신 숨마쿰라우데 고등수학(하)의 첫 파트인 논증기하 부분을 참고하시는 게 좋습니다.
# 4
사실 그래서 공간도형과 벡터 교과서에서 알아가야 할 지식은 정말 적습니다. 몇 가지 관점만 습득하고 유도과정을 정밀하게 가다듬은 후에 - 결론만을 아는 건 중요한 게 아닙니다. 결코. - 나머지는 이 관점을 이용해 원과 삼각형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를 실제로 연습하는 데 올인하세요.
1.
삼수선의 정리와 이면각
평면의 결정조건
정사영한 도형의 모습
주어진 상황의 좌표화, 또는 평면화 후 좌표화
(* 3개의 점에서 출발해, 직선과 직선 바깥의 1개의 점, 2개의 평행하거나 한 점에서 만나는 직선, 법선벡터와 한 점과 같은 다양한 평면의 결정조건에 대해 + 그것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생략된 것을 복원해내고 있는 것을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벡터의 평행이동
벡터의 분해, 정사영과 내적
(* 정사영한 벡터의 구체적인 식을 구하는 것은 교과과정 외에 속하지만 직교하는 성분과 평행한 성분으로 분리한 후 내적하는 관점은 2011-22 문제의 풀이과정에서 중요한 관건이 됐습니다. 내적의 정의를 가르칠 때도 기하학적인 정의와 대수적 정의를 같이 가르치고 있구요.)
p.s. 노파심에 덧붙이지만 이런 관점으로 내신공부했다가 털리는 건 이 글을 읽는 사람의 책임입니다. 내신에서는 기하와 벡터의 잡스러운 연산과정까지도 시험에 출제되고 있죠. 이 글은 어디까지나 수능을 타겟으로 쓰여진 글이라는 점, 미리 명심해 두시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벙쪄서 끔 내일 다시 들어야지..
-
영어 변형문제 사이트 좋은데 있나요?? 추천 해주세요 ㅜㅜ
-
강e분 <-- 0
문학 연계 전문으로 다뤄주시나여? 아님 수특에 있는 지문만?
-
경영 복전이 아니라 심리 복전을 하고싶어하는 문과가 있다 9
그게 나야 움빠둠빠두비두밥
-
수학8시간하고옴
-
ㅈㄴ 헷갈리고 오개념 생길거 같은데 너무 딥하게 들어가진 말아야하나 문화변동 파트가 진짜 헷갈림
-
[칼럼] 국어 문제 푸는 순서 알려드립니다.(For 시간단축 행동강령) 3
안녕하세요. 국어를 가르치는 성현입니다. 얼마 전 오르비에서 집모와 실모 사이의...
-
작년 간쓸개 한정승인인가 뭔가 내가 봤던 법 지문중에 가장 어려운듯
-
개념 기출에 있는 내용 2주 정도 안보다가 다시 보면 헷갈리고 까먹는데 그냥...
-
123페이지가 무난하고 4페이지가 어려운 식센모 블랙같은 구성에서는 점수 잘...
-
또 또 나만 모르지
-
인생진짜 3
솔직히 수학문제 풀때마다 여기서 대체 왜 판별식을 써야하는지 왜 이렇게 풀어야...
-
인문논술 준비하려는데 프로세스 민시영T , 로고스 (선생님은 아직 미정), 김백현...
-
디시발이면 그냥 거르는게 나음 저번에 3더프도 막 화1 무보정 1컷 48이라고...
-
ㅈㄴ어렵노 6
이게 정답률 25퍼인가 그럼
-
먼가 다른거 고려하는게 더 있나
-
처음사봐서 모르겠음
-
어드밴스드 책값 ㅅㅂ ㅋㅋ 하
-
이거 진짜에요?
-
좀 야매같은 얘기긴한데 13
평가원 수학은 의외로 아주 처음 나오는 스타일은 평가원이 일부러 약간 야매같이...
-
강기원 t 질문 3
수업 따라가기 많이 빡쎄나요? 4덮 81입니다
-
상대적 관계 물어보는 선지나 ~하지 않은 것은 or 한 것은 나오는 거 잘못 읽어서...
-
모기씨발 8
왜벌써부터지랄이야
-
깔깔 유머(자작) 러시아 사람들이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이유는? 2
러시아어(러시아워)를 쓰니까 ㅋㅋㅋㅋㅋㅋㅋ
-
푸하하
-
평균 2초중반입니다 이성적으로 중경외시 갈수있나요...?
-
전교 1등 선배 하나가 경희대 갔단 말을 엄마한테 듣고 지망에 쓰지도 않고 끌려간...
-
수학 고민 4
작수 미적 백분위 97이였고 올해 더프나 3모는 92-96 쯤이였습니다 반수하면서...
-
버블정렬이뭔데 13
비교 횟수를 못세겠음 사칙연산이 안됨 아 지능딸려ㅠ
-
이감 0
지금 연계대비 하려는데 무낙은 강e분 듣고 있고 독서는 수특이나 풀 생각인데...
-
제발 1월의 나야 제발좀병신새끼야
-
빅리그 수직상승 3
하지만 4덮때 또 수직하락..
-
슬슬 시작해볼까 10
전공 시험 슈발럼.... 나한텐 지피티,퀴즐렛 그리고 전공책이있다. 덤벼라...
-
대충 점옮겨가면서 어떻게 될지 관찰하는거 하다가 안되면 그냥 일단 넘김 아니면 식으로 비벼봄?
-
https://orbi.kr/00033782826 바로 진짜 신은 유대종임 본인...
-
곧 중간 기간이구나
-
당장 화학 중간고사가 2일 뒤인데, 완자기출픽자이스토리 다 풀고 족보 좀 풀다가...
-
지금이니? 10
아닌가
-
수학하는땅우 5
잘가르쳣는데 헬스터디가 노베여서 못따라 간거다 vs 잘 못가르쳐서 그런거다 혹은...
-
현재 김기현t 아이디어 듣고 있는 미적 선택 학생인데용 기본개념을 김기현t...
-
짧은 자작시 4
물리 수행평가였슴
-
경희대 정시 1
3모 평균 4정도 나오는데 지금 정시준비 하면 경희대 갈수 있나요
-
알 왜 새는 나온 적 없는 세상을 그리워 하는가? 알 속의 하루 가득찬 날개...
-
부동산 가격을 타노스 시켜서 기득권들 팔다리를 자르는 게 아닌 이상 회생 불가능할듯
-
님들 국어 이럴땐 문학 문제인가요 독서 문제인가요? 9
올오카 3회독 하고 tmi,허슬테스트 1회 봤는데 문학 1틀(24분) 독서...
-
ㅎㅇㅋㅋ 6
ㅋ
-
의반의 시선에서 관조하는 수능이라... 수시충이라 평생 못이룰 꿈이지만 말이다
-
컨디션 좀만 안좋아도 감기걸리거나 구내염 나거나 입술 터지거나 난리도 아님 어디...
-
결국 저질렀음 0
결국엔 화작런을 하고말았음... 살기위한 선택이였다... 언매하다간 표점이고 뭐고...
깨알가튼 태그설정 !
잘읽었습니다.
진심으로 추천합니다..
하나하나 처음부터 끝까지 공감하면서 읽었네요
zzzzzzzzzzzz
진짜 글도 공감이지만
ps도 공감ㅋㅋㅋ
공감x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