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고수님들 조언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06429
언어 지문 읽을때
전체 다 읽어요 아님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만 찾아서 읽어요??
기출문제는 이미 내용을 알아서 그런지 부분만 찾아서 봐도 바로 답이 나오는데 이게 실전에서 적용이 안되는거 같아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손도 못대겠군
-
넵
-
언매 널 죽이겠다
-
19번 애는 선지 제대로 안 봤다가 틀림... 왜 여기서 손가락 걸기를 한 거야 빡통이...
-
7호선 무슨일 1
ㄷㄷㄷ
-
수학 자작 문제 1개(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0
모의고사 2회 15번이 될 뻔한 문제입니다. 식의 형태에 주목하여 초반 과정만 잘...
-
23313 11232 44554 15454
-
네..
-
8학군 여고에도 3
공부 좆같이 못하면 지잡간호가는 경우 개많은데 ㄹㅇ 비호였던 일진충인 애들 싹다...
-
가형 29번이랑 지금 기하 30이랑 난이도 비슷한가 3
너무 어렵네
-
https://payge.kr/speed?share=refer 글 읽기 속도...
-
개피곤하다 5
ㅅㅂㅅㅂ
-
오늘 저녁은 소고기다
-
https://orbi.kr/00064611040/%EA%B2%B0%EA%B5%AD-...
-
현금 200정도 모였는데 80 쓸까
-
ㄹㅇㄹㅇㄹㅇ.........
-
드럼통 담구면 맛나겠네
-
체감상 느렸던것임
-
너무 허수틱한 질문인가 독재 들어가기 전에 영어 어법만 미리 좀 해놓을까 해서요.....
-
오늘부터 우리 친구하자 안녕
-
tk 투쓰타 쓰리스타… 수업시간에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만 생각남 이게 모노
-
국어 기출 지문 중 의미있다고 할 수 있을 지문이 뭐가 있을까요 0
(국어)과외생 기출 분석을 시킬 예정인데, 최근 3~5개년 기출문제들 중에 문학,...
-
작수 현역때 제일 자신있었던 정법에서 45점으로 백분위88 뜨고 다신 정법 안해야지...
-
가만히 있는 사람 시비터네 할짓 그렇게 없나
-
뇌절하면 점하고 선분이 1대1 대응됨
-
usmle 공부하면서 수능처럼 좆같은 킬러문제나 특정 유형에 집착해야하는 경우가 없는걸보면 ㄹㅇ인듯
-
아구몬 사망 0
고열로 기절
-
201123은 왜 둘 다 라고 하지
-
25시행 중1,고1 국어 시험지 현금 2만원 제공(선착순), 고1 국어, 고2 문학, 고3 특강 분석 문제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고1 공통국어, 고2 문학, 고3 특강 분석 기출...
-
안녕하세요 정말 간절해서 이렇게 어그로를 끌어 봣는데 같은 처지니까 너그러이...
-
문법 다섯문제 다 틀려도 문학독서화작 다 맞추면 1등급 가능하게 ㅇㅇ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D-7 0
복습속도를 좀더 내야하는데
-
뭐 먹지
-
칼럼대회 출마함 1
내용 엠바고
-
김유범 교수님 22 개정 교육과정 수능에서 보여주시는 겁니까? 1
김유범 교수님이 집필진에 참여하신 천재 화법과 언어 교과서. '누ᄫᅥ'를...
-
아 힘들어 3
진자 힘들다
-
이라도 있다면 큰 원동력임 고모집에서 하숙하는데 고모가 시험기간이라고 집 올때마다...
-
이 문제 1번 4번 선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안 되는데요 1번에서 내인성 레트로...
-
반수 마렵네 13
높꽁인데 4년동안 이정도 해야되는줄 알았으면 의대갔지 에휴
-
수학 쌩 노베 1
신발끈 끝내고 수1수2하고있는데 이거끝나면 문제집 뭐 사야해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오늘의 아침밥 8
신칸센에서 에키벤
-
재능 연관검색어 ㅋㅋㅋㅋ
-
ㅎㅇ요 1
오랜만에 와봤습니당
-
드릴 적중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 하예은, 드릴 부동산설
-
이거 하면 어케됨?
저는 시간이 많이 남는 편이라 전체 지문을 다 읽긴 하는데 ..
지문 전체 다 읽습니다 문학에서 심하게 잘 안다 하는 작품 빼곤요
지문 전체 다 읽습니다 문학에서 심하게 잘 안다 하는 작품 빼곤요
6월 언어를 잘 못봐서 제가 고수라고는 못하겠지만, '언어고수'라고 하시는 분들중에 순전히 일부분만 읽으시는 분은 없을 듯하네요.
제가 대학 1년 다니다 수능 다시 준비하는중인데요, 1년동안 놀다가 공부시작하면서 실력측정용으로 11수능 언어 듣기포함 시간맞춰서 풀었을때 98점 나왔어요. 집모의니까 더 잘나온 경향이 있겠죠.
요새 공부를 하면서 느끼는게, 비문학이나 문학이나 전부 글의 흐름을 타서 읽는게 중요하다는 거에요.
그 이유는 글의 흐름을 타서 읽다보면 비문학이나 산문문학의 경우에는 문단과 문단, 운문문학의 경우 연과 연, 행과 행 사이의 개연성이 보이면서
글이 전체적인 맥락에서 쉽게 이해가 되거든요.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보일 뿐만아니라 중심문장이 아닌 경우에도 왜 이 내용이 들어가있는지가 보여요.
아무튼 그렇게 지문 전체를 이해하고나면 문제의 절반정도는 다시 발췌독을 하지 않아도 풀리고요,
그래도 답은 확실히 하는게 좋으니까 나머지 반은 발췌독을 하면서 지문에서 근거를 찾고 푸는 편이에요.
그러니까 결론은 지문을 전체 다 읽고 문제를 풀때 필요한 부분만 빠르게 찾아서 읽는다, 정도가 되겠네요.
열심히 하세요 화이팅
엥? 당연히 다 읽어야죠..;;
외국어 지문도 아니고
다 읽어야죠
그것도 그냥 읽는것도 아니고 이해하면서.....
참 어려운 과목
김동욱 샘이 말하시길.. 지문만 제대로 읽자
당연히 다 읽어야죠
국가가 엄청난 예산과 인력을 들이는데
지문 중 일부만 읽고도 답을 맞출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하게 출제할까요 과연?
그리고
'다 읽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다 이해하는 것'입니다
1등급중에 발췌독하는사람 없을껄요?
지문전체 안읽으면 문제에서 물어보는게 어디있는지는 어떻게압니까
괜히 문제에서 물어보는것만 찾는데만 세번~네번 훑을시간에 한번 정독하고 문제풀죠
한번 정독한후 세세한정보 묻는문제 체크하러 돌아가는건 관계없겠지만 처음부터 문제에서 묻는것만 노린다는건 말도안됩니다.
한번 정독하는게 가장좋다고하던데요 문제풀면서 지문 돌아가는거 한번이면 1등급 두번이면 2등급 세번이면...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이런식으로 생각하고 반성해야된다고 하던데 정말 그렇게 생각하고 하면 확 집중해서 읽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