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의 맹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4477063
통계자료를 해석해야 할 때는 t0 t1 간에 증가가 일어났다고 해서 꼭 자신이 생각하는 원인때문이라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는 내적 타당성의 문제와 깊이 연관되기 때문이다.
1. 통계적 회귀
랜덤하게 원래부터 상승할 추세에 있을 수도 있다
2. 호손효과
자기가 노력한다는 것을 스스로 인지하고 더 노력할 수도 있다
3. 위약효과
플라시보효과라고도 한다
4. 이외에도 아주 많은 내적 타당성의 저해요인이 상존한다.
(출처: 에버트 비둥)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님이런거 어디서 배워영 책같은거 읽으시나
전공인데영..ㅎㅎ

몰라뵙씀다..근데 무슨전공이길래 환경관련까지아세여?
허허.. 공수래 공수거
내년 문과 논술 치는 분들 이거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