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하지않으면답은바뀐다 [427160] · MS 2012 · 쪽지

2017-11-29 12:01:32
조회수 1,132

그런데 대학이 정시를 줄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4130661

매년 이렇게 줄여나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요즘 각종 고시및 준고시급 시험에서 서연고 밑에 대학들과 격차가 줄어드는 이유 중 하나로


정시 비중의 축소라고 저번에 어떤 글을 한번 봤었는데요.


정시의 비중이 줄어드니 sky갈 사람들이 중경외시 가게되고


중경외시갈 사람들이 sky가게 되어서 


이런 시험들에서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거라고,


어찌되었던 저런 시험들은 수능시험과 다른 시험들이지만


어찌되었던 우리나라의 시험중 하나이기에 수능에서 성과를 낸 사람들이 잘볼 확률도 높은거 같은데


그러면 아웃풋을 위해서 대학은 정시를 적어도 축소하는건 아닌것 같은데


왜 축소하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fweir · 745277 · 17/11/29 12:02 · MS 2017

    자기 자식 명문대 입학시켜야죠.그러기엔 학종이 딱임

  • Loco · 524237 · 17/11/29 12:02 · MS 2014

    일단 정부 정책이니까 따라야 되겠죠...
    입김이 젤 쎄니 그리고 지들 입맛에 맞게 주관적으로 뽑을 수도 있고...

  • 어버베 · 745395 · 17/11/29 12:03 · MS 2017

    정부가 시키니까..?
    수시가 돈벌기 쉬운감..

  • 이분최소수석 · 627541 · 17/11/29 12:04 · MS 2015

    정시는 돈벌이가 안됨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2:17 · MS 2017

    정시출신보다 수시출신이 적응 잘해요. 수시출신은 충분히 숙고해서 과를 골랐고 자기소개서 쓰면서 알아보기도 많이 해서 적응을 잘하는데, 정시출신은 배치표 보고 적절한과 고르는경우가 많아서 전과나 반수를 많이 해요

  • 도널드 J. 트럼프 · 650436 · 17/11/29 12:19 · MS 2016

    기초적인 학업능력은 정시가 우수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수시생들도 반수 하긴 합니다.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2:20 · MS 2017

    첫번째질문: 아니던데요 딱히 통계 찾아보세요
    두번째질문: 정시생 반수비율이 훨씬 높습니다

  • QkdU78xM6F9SRN · 758446 · 17/11/29 12:21 · MS 2017

    학업능력은 헬정시느낌상 그럴수있다고 생각은 되는데
    확실히 반수가 많으니깐 학교입장에선 짜증나긴할듯

  • 도널드 J. 트럼프 · 650436 · 17/11/29 12:24 · MS 2016

    그런대 그 숙고해서 과를 골랐다는 아닌 것 같아요..

    고미디 가고싶던 우리학교 전교1등 점수나 이런거 때문에 인문쓰고 그래요

    수시로 가고싶은과 쓰지는 않습니다.

    그것도 점수 맞춰 써요. 취지가 무색하게..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2:27 · MS 2017

    제가 말하는 숙고하면서 수시가 과 선택에 시간이 좀더 많다는 뜻이에요. 그리고 자기소개서 쓰면서 많이 생각해보는게 큽니다. 당연히 수시나 정시나 점수맞춰쓰고, 점수 맞춰 쓴다고 생각을 안하고 쓰는건 아닙니다.

  • 도널드 J. 트럼프 · 650436 · 17/11/29 12:27 · MS 2016

    아 그렇다면 그것은 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 XiaWVing · 423222 · 17/11/29 12:25 · MS 2012

    역으로 생각해보면
    정시를 늘려야 제 분수에 만족하는 사람들이 그나마 늘어나지않을까요?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2:27 · MS 2017

    정시가 많던시절이 재수삼수 더많이했어요

  • XiaWVing · 423222 · 17/11/29 12:33 · MS 2012

    그러면 학교생활 열심히 하다 라는 수식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전 정부가 수시 확대 당위성을 주장할거면 그 수식어좀 안썼으면 좋겠어요. 내신도 최상위권 싸움에서 한두문제 차이는 태도 차이가 아니라 단순히 그 시험에서의 순발력, 직감차이가 대부분이거든요. 수능이나 내신이나 시험이기에 유사한면이 있는데 언론은 내신에 유독 쓸데없는 도덕적 성격을 결부하는것같습니다.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2:37 · MS 2017

    열심히한거 맞지않나 싶긴한데요

  • XiaWVing · 423222 · 17/11/29 12:51 · MS 2012

    똑같이 수업 열심히 잘 듣고 과제 할거 다 하고 출결봉사비교과 감점되는거 없을때 A는 내신공부를 장기적으로 별 도움이 안되는 암기방식의 비중을 더 크게 해와서 내신 평균 1.12 B는 수능에 더 도움되는 방식으로 이해위주의 비중을 더 크게 했더니 내신 평균 1.6
    B가 A보다 덜 성실하다 라는 소리를 들을 상황은 아닐텐데요.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3:11 · MS 2017

    결국 수능제일주의 아닙니까?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3:11 · MS 2017

    수능에 맞는 공부만이 옳은 공부법은 아닐텐데요

  • 올비좀한다 · 749607 · 17/11/29 13:12 · MS 2017

    수능형 공부만이 옳은 공부법은 아닐텐데요

  • XiaWVing · 423222 · 17/11/29 14:51 · MS 2012

    수능제일주의얘기가 왜 나옵니까
    수능잘하는거나 내신잘하는거나 차이가 있을뿐 동등하니까 둘 중 뭐가 더 성실한지 가치판단하는게 잘못되었다고요.
    전 수능잘보는 능력이 더 우월하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내신잘하는사람만 공식적으로 성실하다는 수식어가 붙는게 불만입니다.

  • 아아하라이 · 774806 · 17/11/29 13:34 · MS 2017

    수시가 당연히 학점이 좋을수밖에 ㅋㅋ 대학이라고 뭐 다른가 교수말 받아적어서 외우고 똥꼬빠는건데 이건 수시하는애들이면 도가 텄음

  • 아아하라이 · 774806 · 17/11/29 13:37 · MS 2017

    그리고 솔직히 수시준비하는 애들이 더 성실하긴함

  • XiaWVing · 423222 · 17/11/29 14:59 · MS 2012

    말로만 정신올인이라면서 쳐노는애들이 많아서 그렇지 그런사람들 때문에 성실하게 정시올인하는 사람마저 평가절하당할 이유는 없습니다.

  • XiaWVing · 423222 · 17/11/29 12:25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냠!!@@ · 1111968 · 22/04/18 22:01 · MS 2021

    수시 정시 둘 다 제대로 준비해본 제가 말하는게 제일 적절할 듯.
    3년 수시 준비해서 2.2+생기부 22장/정시 2년 준비해서 올2 받은 사람임.
    수시는 3년 내내 성실하지 못하면 곧바로 정시파이터가 됨. 솔직히 일반고 기준 1.5 이하는 성실하다? 전혀x
    0.1, 0.2 성적에도 민감한 1.0-1.5 이 사이 애들이 진심 성실한거임. 생각해보셈. 3.2학기 제외 3년 내내 치뤄지는 10번의 커다란 시험에서 0.5등급의 격차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이건 성실한게 맞음. 그렇다고 정시파이터가 성실함에서 밀리냐? 그건 허수들이나 그런거지 실수들은 ㄹㅇ 존나 성실함. 위에 정시파이터가 성실하냐 수시파이터가 성실하냐는 수시1.5/정시 올2등급 이정도에서나 해당되는거지 수시 정시를 나눠서 성실함을 따질 필요가 없다는 거임.
    정시파이터들은 국어와 영어에서의 기본적인 독해력, 수학 실력 측면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이룰 것이고
    수시파이터들은 전공적합성, 발표, 토론 등에서 높은 학업성취를 보임. 그냥 분야가 전혀 다름.
    수시3년 준비하다가 정시 파봤는데 그냥 성격이 완전히 다름..
    근데 여기서 중요한건 어떤 전형이 대학에 잘 적응하고 학업성취능력이 있냐는 그냥 기득권층이 정책을 유지하기 위한 말장난일 뿐임.
    위에 댓글에도 언급했지만 기득권층이 자녀를 최상위권 대학에 입학 시키기 위해서가 정답임. 내가 국회의원인데 내 자녀의 앞길을 막기 위해 법을 개정한다? 말도 안되는 거고
    대학에서도 수시를 선호하는 이유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위해서다”?ㅋㅋㅋㅋㅋ웃기는 소리 하지마.
    니들 학종전형료로 건물 올리잖아?
    실제로 가천대 학종전형과 적성전형료로 건물 2개를 올린다는 얘기가 있음.
    이건 대학의 목숨줄과 돈줄에 관련된 일임.
    높으신 분들도 반대! 대학에서도 반대! 이런데 무슨 정시를 많이 올리려 하겠습니까?
    그놈의 학업성취도는 그냥 입발린 간사한 소리고 다 지들 배불리 먹고 사려고 하는 거죠..뭘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