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확대를 바라는 사람은 저희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4066915
빨간색은 하이라이트
파란색은 제 생각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이틀 뒤인 25일 서울 성동구 한 북카페.
대학입시라는 인생의 큰 고개를 이미 넘은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모의 수능'이 진행됐다. 시험감독관은 올해 수능을 본 고등학교 3학년생이었다.
대학생들이 생각만 해도 지긋지긋할 수능을 다시 치른 이유는 무엇일까.
이날 모의 수능은 학생들이 직접 교육개혁을 주도하겠다는 취지로 2014년 결성된 단체 '프로젝트 위기'의 주관으로 열렸다.
대학에서 공부할 능력, 즉 '수학능력'을 갖췄는지 평가한다는 수능의 처음 취지가 현재도 잘 지켜지는지 대학생들이 다시 시험을 치러봄으로써 확인해보겠다는 게 모의 수능을 준비한 이유다.
모의 수능은 참가자들이 국어·수학·영어영역 중 한 과목을 정해 올해 수능 문제를 풀어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공정성'을 위해 자신이 과외를 해본 경험이 있는 과목 응시는 제한했다.
결국 공부하나도 안하고 시험 봤다 이 소리 아닌가? 수험생들도 공부안하면 당연히 잘 못보는데...
이날 총 11명이 모의 수능을 봤다. 국어영역 응시자는 5명, 영어는 4명이었고 수학 도전에 나선 학생도 2명 있었다.
표본이 너무 작다고 봄...
국어 응시자 평균점수는 68.25점, 영어는 60.5점이었다. 올해 절대평가로 전환된 영어는 60점이면 4등급에 해당한다.
국어를 본 양동규(23)씨는 "생소한 분야에서 지문이 나와 고등학교 3학년생 수준에 맞는 시험인지 의문이 들었다"면서 "시간이 없어서 문제를 먼저 보고 지문을 발췌해 읽은 '꼼수'를 발휘해야 했다"고 혀를 내둘렀다.
올해 국어 지문으로 환율·금리 등이 단기적으로는 급등락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평균에 수렴한다는 '오버슈팅' 이론, 디지털통신 부호화 기술 등을 다룬 글이 나와 '국어시험인지 경제·과학시험인지 모르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왔다.
여러 참가자들은 수능이 인생을 결정하는 '한방'처럼 여겨지는 것에 회의를 나타냈다.
양씨는 "수능은 효율성이 좋은 시험일 뿐"이라면서 "각자 개성이 다 다른데 문제 몇 개를 풀게 해서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럼 각자의 개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있나요? 모든 제도는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함.
학창시절 사교육을 많이 받았다는 정해나(25)씨는 "고등학생 때는 '테크닉'을 이용해 글을 이해하지 않고 문제를 풀었다"면서 "지금은 문학작품을 읽듯이 '주인공이 참 불쌍하다' 같은 생각을 하며 문제를 푸니 재미도 있고 성적도 더 잘 나왔다"고 밝혔다.
모의 수능 후에는 초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지내며 수능을 만든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와 대담도 진행됐다.
박 명예교수는 "수능을 보고 몇 년 후 다시 수능을 봤을 때 과거 공부한 내용을 잊어버렸다면 '잊어버릴 것'을 공부했다는 것"이라면서 "잊어버릴 만한 것을 왜 공부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수능을 자격고사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미 일부 대학에서는 수능을 (입시에) 거의 반영하지 않는다"면서 "아직도 수능을 중점적으로 보는 대학들이 남은 것은 수능이 학생들을 전국단위로 서열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 명예교수는 "교육은 '못 하는 사람'을 데려다가 가르치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학생들을 서열화해 뽑겠다는 것은 교육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능은 원래 적성고사가 취지지만 현재는 전국단위 서열화에 쓰인다"면서 학력고사처럼 변한 수능이 원래 취지대로 돌아갈 수 있을지에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정시 준비하는 예비 고3의 입장입니다. 그래도 빨간색과 검정색글씨는 네이버 메인에 떳던 기사 원문 그대로입니다.
이렇게 정시에 부정적인 입장이 가진 기사가 네이버 메인에 나오고 정시확대에 대한 이야기는 찾아 볼수도 없었습니다.( 물론 댓글에는 정시확대주장글이 몇개 보이더라고요) 제 생각에는 이 기사가 오르비 및 입시커뮤니티 외부의 입장을 잘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부는 파도같아서 한번 공부하면 파도가 왔다가 쓸어내려가는것처럼 까먹는게 당연하다고...
-
씨발좆같은련이
-
음 나 논술로 어케 왔지
-
재종흡연자특 5
이미 다 아는 사람임 같은 반 애들 얼굴은 기억 안 나는데 같이 담배피던 애들...
-
나는암것도못하는병신인것만같음....걍뒤져야되는데왜꾸역꾸역사나싶을정도
-
고대 자전 4
사실상 법대 아니에요? 전공 하나 자유선택 가능한 거 빼고 왜 이름을 이따구로 지어놔;;
-
잡생각이 안나서 좋군
-
마침 카이로스에 아는애들도 많겠다 흐흐 술빨고 1시귀가
-
수험생활할때 누가 이런거 올렸었는데 보고 소름이 쫙 돋더라 한 발 늦었지만 작년에...
-
얼굴 ㄹㅇ 새하얗고 ㅈㄴ 귀여웠는데
-
질감 너무 이상하고 막 오류 있는 학평문제들 그대로 실어놓고 맘에 진짜 안드는데...
-
오뎅탕하고 아이스크림이 땡김
-
3주가나??
-
버드와이저랑 같이 먹고싶다
-
생존 가능한가요?
-
저는 의사
-
ㅇㅈ 13
거북이나 보고가라
-
안녕하세요 예비 고 2입니다 2023학년도 고3 7모 난이도 어땠나요? 1컷이...
-
4일만인가 모르겠네..
-
얼마하려나
-
칸예 며칠전에 지 마누라 트위터에 전라 공개한 거 개웃기네 3
찌찌 다처보임 ㅅㅂㅋㅋ 이시대의 진짜 알파?알빠노메일은 맞는듯
-
기숙 재수해서 지방의 붙었는데 예전에 나 재수한다고 꼽줬던 지인이 나를 본받아 기숙...
-
친추 하셈 7
다 받음
-
아효.. 내가 뭘 할 수 있지 능력에 대한 회의만 드네 그냥
-
의대합격현실반응 17
와 진짜 올해 못 갔으면 대참사였을텐데 다행이다.. 행복하다 기쁘다보단 다행이다가...
-
서울 라이프 살아볼래
-
유전이나 역학이나 거기서 거기 아님? 어차피 뚫어야 한다면 연습으로 확실하게 고득점...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본바탕 추천해요 10
생각보다 꽤 정갈하다고 느꼈어요 근데 문제가 아쉽..
-
처음 가입했던 때와는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과거에 비해 뭔가 많이...
-
행복한가요?
-
뭐하면서 쉬시는지궁금합니다
-
쌈무 4
test
-
나도 국어 푼 거 17
고1때 매삼비 현역 피램 생각의전개 이감10회 재수 강케이전회차+이감456 간쓸개는...
-
중대 이대 11
중대 상경, 이대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 ㅈㄴ고민중 공대가 좋긴하겠지만 문과성향이기도...
-
야 수학 30번 답 17임? 나 17로 찍었는데 ㅋㅋ
-
사탐런하라는 사람 왜이리 많음? 다 사탐런 한 사람들인가? 바이럴인지 찐인지 모르겟다
-
여자들아 3
기죽지마라
-
기생충 명대사 "수능은 기세야" << 이거 맞는말임?
-
정법 기출 5
몇년도까지 보는게 좋을까요?
-
새터 때 가방 0
그냥 운동할 때 쓰는 더플백 가져가도 괜찮겠져?
-
근처에 고등학교(남고2 여고1) 있어서 ㄹㅇ 모든 거리에 싹 다 수험생이랑...
-
현역 39 93 4 61 78 재수 61 96 3 89 71 쌩삼수 하려는 건...
-
겨울방학 내내 개똥꼬쇼를 벌인 생1보다 잘나오면 어떡하자는걸까
-
화1은 학실히 망했다는 인식이 있어서 애들이 안하는데 물1은 뭔가 만만해 보이나봄...
-
주식으로 부자 되서 12
놀고 먹는 개백수 되고 싶다
원래 적성고사가 취지? 이건 무슨 말이져?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