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jdjxowpwla12 [774370] · MS 2017 · 쪽지

2017-11-22 16:17:27
조회수 710

지2하는 놈들 ㅋㅋㅋㅋ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960647


오셨습니까 형님

다름이 아니라 킹구갓갓2 질문이 있어서 이렇게 올리옵니다.


침강을 하든 융기를 하든 해수면 (바닷물의 높이)가 왜 변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해수면의 높이가 높아지는게 왜 침강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추가로 다른질문이 있사온데

일반적으로 판 위에 믈질들이 쌓여서 침강할 때

맨틀보다 퇴적물 밀도가 낮아서 

침강하는 높이보다 위에 쌓이는 높이가 더 커서 해수면으로부터의 최고봉의 높이는 높아지는거 맞습니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VEGA00 · 689816 · 17/11/22 16:20 · MS 2016

    해수면의 높이 변화는 원래의 해수면이 맞닿아있는 육지를 기준으로 하므로, 육지가 침강하면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 rjdjxowpwla12 · 774370 · 17/11/22 16:23 · MS 2017

    질문 잘못적은거 있렀는데 대답은 바로 해주셨네요 ㄱㅅ함다

  • VEGA00 · 689816 · 17/11/22 16:21 · MS 2016

    두번째 질문 답 : 네

  • 0859 · 707414 · 17/11/22 16:21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퐁퐁퐁퐁 · 626230 · 17/11/22 16:39 · MS 2015

    해수면은 고도의 절대적인 기준점이에요 그래서 고도 표현할때 해발이라는 기준점을 쓰는거구요 예를들어 현재 해수면이 해발0m이고 해발10m인 육지가 있는 상황에서 해수면이 20m상승하면 상승하기전 해발20m가 이젠 해발0m가 되는거죠 상승전 해발10m에 위치한 육지는 이제 -10m에 위치해있구여 그래서 해수면만 올라가도 침강이라고 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