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누맨 [367998] · MS 2011 · 쪽지

2011-07-10 23:20:12
조회수 666

전문가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설대 특기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94526

안녕하세요 저는 설대를 노리는 고3학생입니다.

서울대가 올해부터 입학사정관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잖아요

그런데 전형요강을 보면 특기자 전형에서는 자유전공학부에만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이 말은 즉슨, 학생부 내신 성적을 점수화하지 않고 학생부, 교 내외 활동과 기타 학생의 특성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결국 자기소개서의 위력이 그 어느때보다도 강력할 것이라는 말이 되겠지요.

제 말이 맞나요?

그렇다면 자전말고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지 않는 다른 과들, 즉 자연대와 공대 같은 경우에는 예년처럼 여전히 학생부의 내신을 점수화한다는 소리인가요?

제가 이런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현재 어떤 과를 써야 할지 많이 고민되서입니다.(아 물론 자전을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입학사정관제를 적용하는 과가 자전밖에 없어서 예를 든 것일 뿐)

제가 쓰고 싶은 학과는 화학부이지만 화학부를 쓰기에는 내신이 많이 부족한 편입니다. 대신 화학올림피아드를 국가대표 선발시험때까지 준비했었구요(겨울학교 수료했구요, 물론 국대는 떨어졌습니다만) 만약 소신지원을 하게 된다면 화학올림피아드 와 여러가지 경시를 준비했던 활동을 바탕으로 자소서를 써 볼 계획입니다. 결국 제가 화학부를 뚫을 수 있는 방법은 저의 화학 인생(?)을 잘 표현한 진솔한 자기소개서의 위력이겠지요. 물론 자기소개서의 위력을 기대한다는 것은 크나큰 도박이라는 걸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화올 스펙 이외에 시경시 화학 동상, 서울시 과학전람회 화학부문 우수상 교내경시 화학 수상 2회 교내 주체 과제연구 화학부문 논문우수상(전교1팀) 수상 등이 있습니다. 자소서 쓸때 소중하게 활용될 재료들이겠죠)

그런데 문득 입학사정관제가 자유전공에만 적용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니 내신점수가 수치화 된다는 점이 다시 한번 저를 망설이게 합니다. 결국 스펙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생의 성실성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내신이니까요. 그 점이 저의 발목을 계속 잡고 있고 내신 좀 더 잘챙길걸 하는 후회 정말 자주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입학사정관제가 적용되지 않는 자연대, 공대에서 자기소개서의 위력이 과연 있을까 의문이 듭니다.

물론 저의 짧은 생각에서 비롯된 말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기자로 쇼부를 봐야 하는 저는(참고로 저는 특목고생입니다, 저희 학교는 학교 특성상 정시로 거의 가지 않습니다.) 당장 과를 선택해야 하고 지금부터 약 한달간 심층면접을 준비하면서 자기소개서를 공들여서 준비해야 할 시기입니다. 이 시점에서 어떤 과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도 하게 되고 제 대학생활에 대한 정체성의 혼란(?)도 조금 오게 되네요.

입시철이 다가오니까 이전에 화학부만 제 눈에 보였던 것과 달리 화생공, 심지어 농생공(응용생물화학부)도 고민하고 되었습니다. 이 과들은 화학부보다는 낮지만 이렇게 되면 제 올림피아드 실적이 힘을 잃을 것 같아 고민됩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1. 입학사정관제가 적용 안되는 특기자 자연대 공대의 경우 여전히 내신점수가 수치화되나요?
(아니면 올해부터 다른 과들도 내신 점수 수치화를 안하나요?)
2. 입학사정관제가 적용되지 않는 특기자 과의 경우 자기소개서의 위력이 과연 예년에 비해 커질까요?

3. 저의 상황에서 과를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까요? 화학올림피아드 및 화학경시 스펙과 진솔한 자소서를 앞세워 속는 셈 치고 도박 쳐서 화학과를 쓰는게 옳을까요? 아니면 하향지원을 하는 것이 옳을까요?

4. 올림피아드의 위력은 자연대에서 가장 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올림피아드(화학)의 힘이 농생대(농생공:응용생물화학부)에서도 발휘할 수 있을까요? 사실 제 내신만 보면 농생대를 쓰는게 맞다고 봅니다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