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ox선지 13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941072
1. 왈쳐 : 인권 침해에 대한 인도주의적 개입은 언제나 정당화된다. (O/X)
2.싱어 : 원조의 의무는 효울적 이타주의의 원리에 따라서 실시되어야 한다. (O/X)
3.루소 : 범죄자는 응분의 보복을 의욕했기에 반드시 처벌받아야 하는가? (O/X)
4.도덕적 행위가 개체의 이익관심을 항상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레오폴드 : O/X , 심층 생태주의 : O/X)
5.요나스 : 미래의 불행을 예측하기보다는 미래의 희망을 강조해야 한다.(O/X) [EBS 수완]
6.싱어 : 전인류적 복지 증진의 관점에서 전 세계의 부를 재분배할 필요가 있다. (O/X)
7.플라톤 : 삶과 죽음은 서로 연결된 순환과정이 아니다. (O/X)
8.칸트 : 국제기구의 중재를 통한 갈등 해결은 이상에 불과한가? (O/X)
9.테일러 : 인간은 다른 생명체의 피해를 방지할 적극적인 의무인 불침해의 의무를 갖는다. (O/X)
10.소로 : 시민불복종이 정부 권위의 부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O/X)
11.레오폴드 : 인간에게는 야생동물에 대한 불간섭의 의무가 있다. (O/X)
12.노직 : 개인의 권리는 타인이 행사하려는 권리에 대한 제약사항이 될 수 있다. (O/X)
13. 롤스 : 공정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절차가 공정하면 도덕적 선택이 가능하다. (O/X)
0 XDK (+100)
-
100
답좀 ㅠㅠ
지금 도서관에 짐가지러와서 집가서 올려드릴게요!
출처가 보이네요 껄껄
근데 헷갈린당
ㅎㅈㅇㄷ..
방금 ㅎㅈㅇㄷ 풀고 헷갈렸던것들 정리한거에엽ㅎㅎ!!
x o o o/x x x x x o o o o x
ㅅㅂ 윤리할거없어서 ㅈㄴ안했는데 ㅈ댔네
그리고 소로 저질문x아닌가요??
소로
"나는 대답한다. 수치감 없이는 이 정부와 관계를 가질 수 없노라고 말이다. 나는 노예의 정부이기도 한 이 정치적 조직을 나의 정부로 단 한순간이라도 인정할 수 없다."
"정부의 권위를 고의적으로 또 실제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정부가 그 가능성을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유일한 범죄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소로는 자신의 시민 불복종은 정부의 권위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라고 나와있네영
6번 O 맞아요!
엥 왜댓글이여기에달리지
아 저댓글이랑 다른분이시구나 ㅋㅋㅋ 천천히올려주세요 좋은선지많네요
루소 설명 좀.. 갑자기 헷갈려요
루소는 범죄자가 죄를 저질렀다는 것은 곧 죄에 따르는 벌을 감수하고서 저지른 것이라고 본다.
이라고만 나와있네영
출제근거는 수능특강 131쪽 9번문제래요!
xoo(레오o네스o)x
oxxox
xox
다 현돌2 선지네요! 근데 루소 선지는 논란이 많았던거같아요
엌 9번 x군요 또틀ㄹ려버리기;; 얻어갑니다 총총..
저도 생윤선지는 볼때마다 헷갈리는것같아요ㅋㅋㅋ
답
XOO(O/O)X
OXXXX
OOX
엑 댓글이 왜자꾸 이상한데에달리지...ㅠㅜ
9번 해설지좀 찍어주실수잇을까요!??ㅠㅠ
!
그냥의무로 알고있어서 틀린거엿군요 ㅠㅠ
마지막 11번 설명좀해주세요 ㅠㅠ 덕코인이라도 드릴게요 레오폴드는 자연자원을 이용하라하는학자아닌가요??
덕코인안주셔두 괜찮아요ㅎㅎ
11번 X였네요ㅠㅜ 옮겨쓰면서 실수했나봐요
글쓴이님 근거가 정확해요!
우훗 뭔가뿌듯하네요 ㅋㅋ그래도 심층생리학이랑 플라톤 선지건졋네요 감사합니당
2번 4번 13번 설명해주실수있나요?ㅠㅠ
아니면 출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ㅍ
싱어의 원조는 인도주의적 개입으로(롤스와 공통점) 이타주의적인데요. 항상 이타주의적인게 아니라 본인에게 큰 희생이 없을 때 나의 작은 희생(원조)으로 빈곤으로부터 다른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면 반드시 그렇게 해야한다고봐요.(세계전체의 이익이증가하므로)
따라서 무조건적인 이타주의가아니라 나에게 큰 희생이없을때 원조가 더 큰 이익을 가져올때만 의무가되므로 효율적 이타주의 입니다!
만약 원조가 나에게있어서 큰 희생이라면(예를들어 하루에 1000원버는 노숙자라면) 원조의 의무가 없겠죠?
레오폴드와 심층 생태주의 모두 생태중심주의인데요
생태중심주의의 특징인 전일주의(전체론적)에 따르면 생태계 안정을 위협하는 개체(생명체)가 존재할경우 생태계 안정을위해서 그 개체를 희생시키는게 도덕적 행위가되고
따라서 생태중심주의의 도덕적 행위가 개체(생명체)의 이익관심을 오히려 희생시킬 수 있으므로 항상 보장하진못합니다
그러면 혹시 레오폴드가 생태중심주의한테 비판받는 지점이 어디인지 아시나요?ㅠㅠ 제가 알기로는 레오폴드가 생태계의 안정을 위해 자연을 관리할수있다고 한 부분에서 생태중심주의한테 비판받는다고 들었던것 같아서요ㅠ
심층생태주의(내스)가 올해 새롭게 추가된거라서 작년까지만해도 생태중심주의는 레오폴드(대지윤리)밖에 안배웠는데 레오폴드=생태중심주의라서 생태중심주의한테 비판받을 수가 없어요.
흠.... 그냥 레오폴드의 한계점을 착각하신게 아닐까요?
전일주의 관점에서 전체(생태계)를 위해서라면 개체(생명체)가 희생될 수 있기때문에 환경파시즘(파시즘=전체주의)이 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말곤 다른비판점이 없는 걸로 알고있어요! 물론 이 점은 생태중심주의(레오폴드,내스)의 공통점입니다
13번 해설지에요!
7번 섷명돔요ㅠㅠ
알림이 지금떠서 이제봤네요ㅠ
플라톤에게 죽음이란 육체만 소멸하는 것이기 때문에 영혼은 불멸이에요. 그래서 영혼이 새로운 육체를 부여받고 죽어서 육체소멸하고 다시 새로운육체 부여받고(쉽게말하자면 영혼은 불멸이라 그대로, 육체는 계속바뀜)
라는 사상인데 교육과정 외라서 그냥 영혼불멸이라서 다시태어나서 순환하는구나 정도만 이해하셔도될것같아요!
3번 설명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