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신수길 · 570561 · 17/11/21 19:22 · MS 2015

    x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19:31 · MS 2016

    니부어는 현실주의자로 O라고 필기가되어있는데... 이상적으로는 개인윤리처럼 강제력이 필요없는 사회를 원하지만
    현실적으로 그게 불가능해서 강제력 최소화를 주장하고
    고로 비합리적 수단은 일시적 방법이되는건가여..흠

  • 데럽 · 651198 · 17/11/21 19:33 · MS 2016

    개인윤리적인 측면도 같이 키워줘야 진정한정의가 실현되는거로인고있습니다.

  • J.J.Rousseaw · 662188 · 17/11/21 19:26 · MS 2016

    선지출처 좀여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19:30 · MS 2016

    임정환쌤 개념강의 교재입니다

  • J.J.Rousseaw · 662188 · 17/11/21 19:31 · MS 2016

    니부어가 바라본 부정의 발생의 근원적 원인이 개인의 불완전, 무지, 이기적 성향을 고려한다면 O일거같은데 답 뭔가요.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19:31 · MS 2016

    니부어는 현실주의자라고 필기되어있고 답은 O네요

  • J.J.Rousseaw · 662188 · 17/11/21 19:37 · MS 2016

    제 책에는 "현실적으로는 사회적 강제력으로 정의를 달성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강제력을 줄이고, 개인의 양심의 함양을 통한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제 해결을 확충해야 함"이라고 써있는데 흠..............갑자기 동공지진인데..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19:57 · MS 2016

    임정환쌤 qna 게시판에 찾아보니
    안정적 정의와 같은 경우는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같은 방법을 의미하고

    일시적 방법은 강제력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데
    강제력과 같은 방법은 합리적인 수단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집단 간의 문제의 경우에서 쓰이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일시적으로 정의를 위해서 강제력이 쓰이는 것이고 강제력이 없다면 또 다시 전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기때문에
    강제력은 안정적 정의나 영구적인 수단이 아니라 단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인 방편일 뿐이라고하네요

  • 인서울로 · 749002 · 17/11/21 19:39 · MS 2017

    X
    니부어는 평화를 위해선 강제력이 필요하다 했습니다.현실 상황에서 안정적인 상황(충분한 정의가 실현되는 상황)은 강제력이 최소가 되는 사회지,강제력이 없는 사회가 아닙니다.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19:56 · MS 2016

    질문의 맥락이 그게 아닌 것 같습니다.
    임정환쌤 qna 게시판에 찾아보니
    안정적 정의와 같은 경우는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같은 방법을 의미하고

    일시적 방법은 강제력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데
    강제력과 같은 방법은 합리적인 수단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집단 간의 문제의 경우에서 쓰이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일시적으로 정의를 위해서 강제력이 쓰이는 것이고 강제력이 없다면 또 다시 전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기때문에
    강제력은 안정적 정의나 영구적인 수단이 아니라 단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인 방편일 뿐이라고하네요

  • 인서울로 · 749002 · 17/11/21 20:06 · MS 2017

    안정적 정의가 개인의 도덕적 함양이라는 게 이해가 안되네요...

  • 날위한공부 · 660756 · 17/11/21 20:10 · MS 2016

    이렇게 설명해놨네요
    사람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안정적으로 그 사람의 도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
    강제력을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정의가 바로서지만,강제력이 사라진다면 원래 그 상태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