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moonn6pence [757912] · MS 2017 · 쪽지

2017-11-11 11:21:17
조회수 1,513

지1 간단한(?) 질문이요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757587


고수님들 올해 7월 학평 문제입니다.


35만년 뒤의 온도 편차가 (-)값이니 그 당시 기온이 현재보다 낮기 때문에 빙설의 증가로

즉 수권 중 육수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알겠는데

궁금한 점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왜 낮은가 입니다.

당시 온도가 낮았다면 해수의 용해도가 높을 것이고 그럼 이산화탄소가 잘녹을테고..

그 물이 증발하여 강수가 되어 얼어 빙설이 될텐데

그럼 그 당시 빙하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야 하는게 아닌가요?

또한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는 대기의 조성 변화 그래프에 맞게 수권의 생성 이후 화석연료의 연소 이전에는 계속 감소한다고 보는게 맞지 않나요?

그렇담 오로지 온도 변화는 지구 외적 요인에 인한 것 뿐일텐데....

1.왜 이산화 탄소의 농도가 주기를 띄고 변하는지

2.왜 기온이 낮은 시기에 남극의 빙하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은지 알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ㄹㅁㅁ · 504403 · 17/11/11 11:31 · MS 2014

    저게 빙하의 co2농도가아니고 당시 대기 조성에서 co2 농도를 추정한거일거에료

  • ㄹㅁㅁ · 504403 · 17/11/11 11:33 · MS 2014

    바닷물에 녹아잇는 빙하에서 뽑아낸게 아니고 공기방울에서 뽑아냈었나 그랬던걸루기억해요 그리구 말씀주신 대기조성비 변화 비율은 찾아보심 알겟지만 저기 그래프에서 나온거보다 훨씬 큰 기간을 가지고 변화해서 그거랑 같이 생각하심 안되여

  • to moonn6pence · 757912 · 17/11/11 16:48 · MS 2017

    그렇군요 정확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