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랑쿠르트 · 691422 · 17/11/08 11:47 · MS 2016

    한번 봤었는데 이과기준 어려운거 3개도 없어요 수학은 1갠가 틀렸고 과학은 물화생지 5문제씩 개념만 나와서 수능과탐보단 25배정도 쉬움

  • ABCDEF · 606481 · 17/11/08 11:49 · MS 2015

    근데 사람들 수학과학 선택하는걸 본적이 없는듯

    행정어쩌구만 보임 ㅋㅋ
  • 올해끝 · 747748 · 17/11/08 11:51 · MS 2017

    다 까먹어서 그럼 갠적으로 탐구는 개념만 돌려도 15분안으로 가능 수학은 연습하면 빨리풀듯 둘다 표점인가? 그거 개높아서 수과잘하면 합격쉬움

  • ❇헤랑쿠르트 · 691422 · 17/11/08 12:07 · MS 2016

    조정점수도 수과가 다 씹어먹고 이과면 걍 수과하는게 나음 과탐문제들 수능과탐 1~10번대 난이도로만 나와서 엔간하면 10분안에 20문제 끝남 수학도 한두개 계산 좀 길고 나머지는 진짜 산수

  • 시베리안 냥 · 526597 · 17/11/08 11:51 · MS 2014

    수학 과학 만점받는다 해도 영어 풀때 시간 개딸릴걸요

    수능 수학 한과목 푸는 시간에 9급은 5과목 다풀어야댐 ㅋㅋ
    수학과학 합쳐서 20분 내로 푸실 수 있으면 ㄱㅊㄱㅊ
  • ABCDEF · 606481 · 17/11/08 11:55 · MS 2015

    그럼 행정 어쩌구가 진입장벽은 수학과학보다 훨씬 높지만 푸는시간이 적어서 고르는건가요?

  • 시베리안 냥 · 526597 · 17/11/08 11:58 · MS 2014

    네 그렇대요
    겁나 암기해놓으면 각 과목당 10분 잡고 푸는게 가능하니까

  • unveiling · 630239 · 17/11/08 11:59 · MS 2015

    저 작년에 준비했고 수학 사회 봤는데 시간 크게 안부족해요 9급 보시는분들이 다 수학 과학한지 오래되기도 하고 시장에 강사가 없어서 잘 안하는거지 나쁘지 않아요 수학사회 둘다 다맞기도 했고요

  • ABCDEF · 606481 · 17/11/08 12:22 · MS 2015

    아하..

  • 콩도리 · 769926 · 17/11/08 12:20 · MS 2017

    제가 지방직 공무원하다가 그만두고 수능보는데요,
    제가 이과쪽이라 수과 선택하고 그냥 날림으로 막풀었는데도
    마킹하고 시간 5분이상 남았어요 공무원시험은 난이도가 되게 낮아서
    수능 2점or 어려운문제가 수능어렵지않은3점문제 난이도입니다
    수학100 과학은 85인데 화학 공부안하고 5문제 찍고 나머지 다맞아서 85나왔습니다

  • ABCDEF · 606481 · 17/11/08 12:21 · MS 2015

    국어 영어 한국사로 거의 당락결정 인가요?

  • 콩도리 · 769926 · 17/11/08 12:24 · MS 2017

    네 수학과학 이런거 100점맞아도 원점수환산하면 60점밖에안되요
    수학과학 과목 2개틀린 점수랑 국영국사 과목 1문제 틀린점수랑 거의 비슷하구요

  • Raibelt · 106652 · 18/09/01 06:29 · MS 2005

    전에는 공무원 과학으로 검색하면 안 보이던 글이.. 구글 검색으로 나왔군요 ㅎㅎ;;
    현재 공무원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대다수가 고교 현역이던 시절에는 문과 출신인
    분들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던 시절이라 과학, 수학 선택자가 적을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성별에 따라서도 문, 이과 비율이 달랐기 때문에 성별도 영향을 받습니다)

    게다가 고교 과목이 도입된 것은 2013년부터이고, 선택자도 적어 시장이 커질 수 없던
    과학, 수학과 달리 행정학, 행정법은 기존 과목이었어서 (어쩔 수 없이) 이를 유지하는
    선택자가 많았고, 9급 타 직렬 시험 및 7급에는 그대로 있다는 점과 예전부터 있어서
    시장이 크다보니 강의와 교재를 구하기가 쉽다는 점도 한몫 작용했죠.

    사회는 초기에는 많지 않았으나, 타 과목에 비해 공부양이 적다는 점이 아주 크게
    작용하여 요즘은 행정학, 행정법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상황이 나오기도 합니다.
    (이과 출신이 사회를 선택하는 경우도 자주 나옵니다)

    수학이 과학보다 많은 것은 수학 범위가 문과 범위라는 점 때문일 수도 있고,
    과학에 비해 포기자가 적어서일 수도 있습니다.

    과학 선택자가 적은 것은 이과 한정이라는 점과 이과생이어도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4과목을 다 해야 한다는 압박 때문으로 봅니다.
    (물리, 화학 과목을 싫어해서 과학 자체를 기피하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여기서 수학, 과학 선택자가 전반적으로 적은 이유에는 문제 풀이 시간이
    행정학, 행정법에 비해 길다는 점도 작용합니다.
    (물론 행정학, 행정법이 그렇게 빨리 풀리는 정도의 실력이 되려면 그만큼 회독을
    많이 해서 어느 정도 경지에 올라 있어야 가능해요)

  • Raibelt · 106652 · 18/09/01 06:37 · MS 2005

    (참고로 위에 무언가 어려워한다거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등의 내용은
    개인 의견이 아닌, 실제 응시생 집단을 기준으로 두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오르비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집단이 아닙니다. (일부는 있을지라도)
    그래서 오르비에서는 체감이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아직까지 공공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선택자 비율이라든지 절대적인 숫자를
    발표한 적은 없으나, 언론에서 통계를 내는 자료와 학원에서 통계를 내는 자료를
    보면 선택자 비율이 저렇게 나오는 편이죠.

    선택자가 적으니 과학, 수학은 공무원 카페에서는 언급되는 것도 보기 힘들고
    합격자 수기에서도 찾기 힘들어요. (다른 이유는 없고, 선택자가 적으니까
    합격자도 그만큼 적어서요)

    아무튼 잘 할 수 있는 과목이면서 시간 조절을 잘 한다면 불리한 요소는 없습니다.
    (어느 과목이든 개인 역량 차이는 나기 마련이니 개인 차는 감안해야겠죠)

  • Raibelt · 106652 · 18/09/01 06:40 · MS 2005

    흠.. 그리고 공무원 과학과 조정점수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보니
    (공무원 선택과목 조정점수 자료는 제가 다 작성하고 있었습니다)

    위 댓글들을 보다가 하나 잘못된 게 있어서 적자면

    조정점수에 사실 어느 과목이 월등히 높고 낮음이라는 것이 존재하지는 않으나
    어떤 경향으로 보게 된다면...
    그래서 같은 원점수상에서 수치로만 비교할 때 (원래 이런 논리로 나온 개념은 아니에요)
    수학은 조정점수가 다른 과목보다 낮습니다.
    과학은 조정점수가 다른 과목보다 높거나 비슷하죠.

    같은 원점수로 비교할 문제는 아닌데... 어쨌든 숫자로 비교한다고 치면...
    수학이 조정점수가 높다는 것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조정점수표를 작성하려면, 실제 공개되는 조정점수를 제공받아야 해서
    제가 매번 조정점수를 받아 작성해 오고 있는데, 요근래 수학 조정점수가 높았던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걸 모아 작성한 조정점수표를 보면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