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자 나새끼 [692228]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7-11-06 16:46:42
조회수 1,492

사문 헷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710522

ㅇㅇ고등학교 동창회


이거 비공식 조직 아님. 기계적 키워드 풀이 ㄴㄴ해.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과정을 미시적, 개인적 관점에서 세밀하게 분석한다.


낙인 이론만! 차교론 아님!


그럼,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을 개인 / 개인적 차원 / 개인적 요인에서 파악한다?


ㄴㄴㄴㄴ 개인의 병리성이 아님. 이건 어떤 이론이든.




사회와 개인 간의 상호 영향력을 강조하는 이론은?


ㄴㄴ 나띵


단, 이론마다 사회화가 개인의 의식 형성에 대한 해석 차이는 ㅇ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경제하는교대지망생 · 751160 · 17/11/06 16:54 · MS 2017

    Ez0수강생이심??

  • 월터미티 · 564645 · 17/11/06 17:06 · MS 2015

    차교론이 미시 개인적관점 해석이 아니라고요...?

  • 월터미티 · 564645 · 17/11/06 17:07 · MS 2015

    언리져너블 합니다 설명해주실수있어요?
    둘다 상상론아닌가여;

  • 우리쟤 · 652349 · 17/11/06 17:10 · MS 2016

    차교론 상호작용을 통해 일탈이 일어나는건 맞지만 미시,상상론의 입장은 아닌걸로 알아요 낙인만 상상

  • GXifztW0MD51QI · 764094 · 17/11/06 17:25 · MS 2017

    낙인만 상상맞고 차교론은 기능으로 볼 수도 있고 상상론 둘 다 볼 수 있다는 걸로 알아용

  • 공부하자 나새끼 · 692228 · 17/11/06 17:56 · MS 2016

    좋아요 누른 두 분 댓글 참조하시면 됩니당

  • 야생화가 · 630239 · 17/11/06 18:13 · MS 2015

    차교론이 어캐 기능이죠..?? 이해가 안되네요
    정의부터 타인과의 접촉을 통한 일탈아닌가요??.. 뭐지

  • 공부하자 나새끼 · 692228 · 17/11/06 20:50 · MS 2016

    윤성훈 선생님께서 차교론은 기능론과 상상론 모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고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차교론을 기능론적 관점에서 본다면, 건전한 인간관계 구성을 통한 사회화와 일탈 집단을 통제할 수 있는 사회의 지배적 규점을 잘 정비하자는 측면에서,

    차교론을 상상론에서 본다면, 개인 간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일탈이 학습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게 해석할 것입니다.

    사회 문제를 규정하는 기준이 객관적으로 존재한다는 건 기능론으로, 차교론은 일탈이
    이뤄지는 원인(상호 작용 과정)과 함께 그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