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가설이 기각되었을 때 일반화는 불가능한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700147
임T 커리 타다가 윤T 파이널 해설 듣고 있는데
두 분 입장이 정확히 충돌하네요 ㅜㅜ
1. 가설이 기각되었더라도 표본의 대표성에 따라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
2. 가설이 기각되었다면 연구 결과의 일반화는 불가능하다.
1이랑 2 중에 뭐가 맞는 걸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초록깃발=안정 노란깃발=소신 빨간깃발=스나 이렇게 해석해도됨? 그리고 왜...
가설이 기각된 상태에세 이미 틀렸다는거 아닌가...
일반화는 가설이 받아들여진 상태에서 하는거고요
가설검증과 일반화는 별개의영역 아닌가요
전 임정환t커리만타서 이렇게 알고있네요
22
기각되면 일반화가 불가능한 거고
가설이 맞게 검증 되었다고 하더라도 표본의 대표성이나 이런게 지켜지지 않았다면 일반화가 불가능한 거
아닌가요 ?
말이 안되는데 가설 기각이면 실험 집단에서 가설이랑 충돌했다는건데 그럼 결과가 거짓이다 라고 봐도 되는거 아닌가요?? 그럼 표본 대표성 상관없이 일반화는 불가능하지 않나 싶습니다
1
가설설정은 연구주체가 하는 것이기에 연구과정에서 가설과 모순되는 대표성을 지닌 결론이 도출되었다면 일반화는 가능합니다
다들 감사합니다!
가설이 기각되었다고 해서 결론이 '거짓'인 것은 아닙니다...즉, 가설 기각은 가설이 틀렸다는 것이지..결론 자체가 오류라는 것이 아닙니다...윗분 답변들 중에 오개념이 있는 것 같아서 댓글을 달았습니다. 아마 질문이 앞 부분은 '가설'---뒷 부분은 '결과'의 일반화....이렇게 되어 있어서.....읽는 분들이 헷갈린 듯 하네요...
열공+즐공=대박!!!!
오 선생님 감사합니다!!
저도 윤t 실모 해설강의 듣다가 임t랑 충돌인것 같아서 검색하다가 이 글을 보게 되었는데 그럼 어떤 선생님이 맞으신건가요?ㅠㅠㅠ그럼 임t 입장이 맞는건가요??
ebs나 교과서 찾아봐도 해당 내용 관련한 서술은 아예 없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저는 이렇게 논란이 될 수 있는 선지는 평가원이 안 낼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ㅜㅜ
나온다면 둘 중 한 쪽에서는 따지고 들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