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아기상우뚜루룹뚜루 [711956] · MS 2016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665860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두 사건이 독립이라는건 P(X) x P(A) = P(A교X)인데 n(A교X)=2이므로 P(A교X)=1/6 따라서 PX)=2/3 P(X)=2/3 라는건 원소가 8개라는 말이고 n(A교X)=2 를 만족하려면 4,8,12중에서 2개를 고르고 나머지 9개중에서 6개를 골라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n(A교X)는 원소의 개수인데 이 개념을 확률로 바꿔도 될지는 잘 모르겠네요ㅠ
전 여기서 사건A가 뭔지 확실히 모르겠어요 12원소중에 4,8,12중 하나가 나오는건가요??..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이면 다 사건이라고 하는데 {4,8,12}의 의미는 뭔지 잘 모르겠네요ㅜㅜ 근원 사건들이 확률이 모두 같을 때 P(A)=n(A)/n(S) 이렇게 경우의 수 분의 경우의 수로 정의하기도 하잖아요 이 점을 참고하면 말씀하신 것처럼 그냥 12개중에 1개를 뽑을 때 그게 4,8,12중 하나일 확률을 의미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3/12
많이들 독립하면 P(A교B) = P(A)×P(B)만 생각하는데 사실 교과서에서 설명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두 사건 A,B가 독립이면 n(A교B)×n(Ac교Bc) = n(A교Bc)×n(Ac교B)도 성립합니다. (증명해봐요~) 그럼 문항에서 요구하는 계산은... 1× a = 2×(9-a) 이니... a=6
많이들 독립하면 P(A교B) = P(A)×P(B)만 생각하는데 확률 구할 필요 없이 n(s)n(A교B)=n(A)n(B) 로 풀면 더 간단합니다.
2026 수능D - 196
민사고 의대생 수과학과외
좋은 연이 닿기를 희망합니다
무조건 올려드립니다 (정시 의대)
고등학교진짜영어쌤
고등 내신/수능 물리학1, 물리학2, 고급물리학, 일반물리학
논술, 국어 특화
두 사건이 독립이라는건 P(X) x P(A) = P(A교X)인데
n(A교X)=2이므로 P(A교X)=1/6
따라서 PX)=2/3
P(X)=2/3 라는건 원소가 8개라는 말이고
n(A교X)=2 를 만족하려면
4,8,12중에서 2개를 고르고
나머지 9개중에서 6개를 골라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n(A교X)는 원소의 개수인데 이 개념을 확률로 바꿔도 될지는 잘 모르겠네요ㅠ
전 여기서 사건A가 뭔지 확실히 모르겠어요
12원소중에 4,8,12중 하나가 나오는건가요??..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이면 다 사건이라고 하는데
{4,8,12}의 의미는 뭔지 잘 모르겠네요ㅜㅜ
근원 사건들이 확률이 모두 같을 때
P(A)=n(A)/n(S) 이렇게 경우의 수 분의 경우의 수로 정의하기도 하잖아요
이 점을 참고하면 말씀하신 것처럼 그냥 12개중에 1개를 뽑을 때 그게 4,8,12중 하나일 확률을 의미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3/12

ㅜㅜ수학은 저런 정의스러운게 너무 어렵네요 해석이 힘들다.........많이들 독립하면 P(A교B) = P(A)×P(B)만 생각하는데
사실 교과서에서 설명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두 사건 A,B가 독립이면 n(A교B)×n(Ac교Bc) = n(A교Bc)×n(Ac교B)도 성립합니다. (증명해봐요~)
그럼 문항에서 요구하는 계산은...
1× a = 2×(9-a) 이니...
a=6
많이들 독립하면 P(A교B) = P(A)×P(B)만 생각하는데 확률 구할 필요 없이
n(s)n(A교B)=n(A)n(B) 로 풀면 더 간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