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수학1등급은 머리말고 노력으로도 충분히 가능한가요?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561601
고1입니다. 저는 다른아이들처럼 중학교떄 고등학교 선행을 빡세게 돌린것도 아니고 과학고 영재고 준비를 한것도 아닙니다. 주변에서 딱히 머리좋다는 소리를 들어본적도 없고요... 그리고 저 자신도 제가 머리좋다고 느껴본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나쁜것 같기도 하고요, 혼자 수업시간에 이해못해서 친구들이나 선생님한테 여쭤본적도 많고요, 3월모의고사도 수학국어3등급 떠버려서 진짜 열심히 공부해서 비록 고1모의가 쉽다지만 1등급까지 올렸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저는 정말 노력파인것같습니다. 수학적 과학적 머리가 뛰어난것도 아니고요, 근데 주변에서 이과수학은 수학적감이나 머리가 있어야한다고하는 사람도 있고, 노력으로도 충분히 이과수학1등급 맞을수있다고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오르비분들께서 정말 현실적으로 대답해주세요..ㅜㅜ 진짜 머리안좋고 수학선행 안해도 피나는 노력만으로도 1등급 맞을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네
ㅇㅇ노력해서 1,2진동은가능 여기서 운좋으면 96
노력으로 30번은 아니더라도 21번까지느 맞출수있나요?
ㅇㅇ맞음
아 그리고 제가 화1생1 선택할건데 화1도 노력으로 가능하죠? 어렵다고해서..
어려워서ㅜ지학으로바꿈 지학하셈
화1생1 선택자 입니다
둘다 타임어택 오짐;
생1은 기출 개념하고 유전 잡으면 1뜨는데 유전은 아무리 잡아도 시간 줄이는데 한계있는듯
경 우의수가 ㅈㄴ 많거든요
물론 가계도 안 풀고 딴거 다 맞으면 1 나오죠
사실 풀지 말라고 내는 문제 인듯
2014년이나 15년 꺼 풀어보면 생1이 지1(물론 해보진 않았지만)쉬운 것같아요 진짜 생1현재 출제진이 미쳤다는걸 실감함
화1은 계산 잘하면 하세요 비킬러는 그저 그럿고
킬러는 표그리고 계산 좀하면 풀리는듯 (못푸는것도있지만)
결론은 아무리 거지같아도 노력하연 될듯
그리고 물리나 지학 안 맞는데 억지로 하는거보단
그냥 화학이나 생물 하는게 낮죠
사실 제가 그래요
화1 10월1 수능 5뜸 수능날 유형이 좀 낯설게 나오니까 진짜 완전 퍄닉이었음 제가봤을때 다른과목에 비해 화학 머리좀 타는듯 생1지1이 많은 이유가 있음
화학 하지 마세요 제가 화학했다가 피본 대표자ㄷㄷ 박상현현강모의 정훈구현강모의40 넘어서 수능때 2는 뜨겟지 했는데 4 ㄷㄷㄷ
고1 들어갈때 수1 수2빆에 안하고
고2때 학교 진도 맞춰서 미1 미2 확통
고2->고3 겨울방학때 기벡
이번 10월빼고(7번틀림 ㅎㅎ)내신, 모의 2맞은적 없어요
ㅆㄱㄴ
2맞은저깅 없으시다는게 다 1이셨나요?

네네너무 부담가질필요없어요 중졸들 보는 시험이에요
노력으로 수능 박살 가능..!!!
혹시 머리가 좋으신거아닌가욤ㅎ
작성자님처럼 딱히 머리 좋다고 느껴본적은 없어요ㅋㅋㅋㅋㅋ
저는 선행을 혼자 해서 따라잡으려고 고2때 변태처럼 수학만 엄청해서 그런거같아요
+인강
파이팅이에요
넵! 저도 수학 지금 빨리 따라잡으려고 현우진선생님 인강들으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당
전 안되던데
노력이 부족햇나 흠..
6월에는100점한번맞아봣는데 수능땐 먼가안되드라구요 수능때 수학문제가 너무어렵게느껴지더라구요 2번밖에안봐밧지만
손도 못댈정돈가요? 비킬러도 어려워요?
머리보다 손이 먼저 반응하면 1등급가능함
100점을 바라신다면 불가능이라고 답해드리겠습니다.
1등급을 바라시나면 가능이라고 답해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수험생 중 4%가 맞는 1등급입니다. 할수있습니다 ㅎ 파이팅
넵 저도 100점은 바라지도 않고 1등급만 맞았으면 좋을거같애용,,
1컷까지는 충분히 가능
개빡대갈도 1등급까지 가는건 많이봄
킬러제외하고 50분컷하는 연습하고
2129중에 하나에 50분박고 30버리면 1컷나옴
이거까지는 재능없이 충분히 가능
30번 맞추는건....ㅎ
1등급만이 목표라면 방향성을 저렇게 잡아보시길
9평은 계산실수때문에 88나오긴했지만ㅠ
저런 방향으로하면 충분히가능
고1이면 수능 1등급 누구나 가능합니다. 피나는 노력이라는 단어 대신 너무나도 당연히, 꾸준히 라는 말이 더 와닿고 현실적일 것 같아요. 공부는 처절한 투쟁이 아니라 일상속의 습관입니다. 내가 언젠가 '정신차려보면 공부하고 있는' 수준으로 수학공부가 습관이 된다면 이뤄내리라 믿어요 ! 파이팅 !
아이큐 좋은 사람들의 특징은 쌩판 처음 하는 것을 일반적인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익힌다는 점입니다...
수능을 위해서 수학공부할때 수능 일주일전에 쌩판 처음 배우는것만 시험보면 아이큐와 수능수학성적이 어느정도 유의미하게 연관관계가 나오겠죠... 하지만 대다수 입시(다른나라도 큰 틀에서 보면 다를것 같지는 않음)에서 요구하는 것은 반복학습의 정도와 응용력을 묻는겁니다.
보통 아이큐가 높은 사람들은 자기 머리가 남들보다 좋구나라는 것을 알고 있을가능성이 95%이상입니다. 결과적으로 게을러집니다. 다른애들 지금 시작할 때, [나는 뭐 좀 더있다 시작해도 돼, 이런 자만감의 반복은 게으름으로 발전함] 시작안하고 더 늦게 시작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수능과 아이큐 테스트는 별개입니다.
나 14수능 가형 100
서점에 있는 시중 수학 문제집 다 풀을 각오 있으면 가능함. 난 진짜 양치기로 문제 다 풀었음 파이널 모의고사도 시중에 나온거 다 풀은듯
고1 내신 수능때 한달동안 수학문제집 8개 풀었던 거 이억난다. 고1때 나보다 다 잘하던 애들 결국 다들 내려가더라 가능하니까 포기 ㄴㄴ
나 공부만 하느라 고등학교때 친구도 별로 없었음
혹시 21 29 30번문항대비는 어케하셨는지??? 그거 하나라도 맞춰야 1뜨니까..
우와 대단...
남궁원 쌤도 시중에 있는거 다 풀면 가능하다 하시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