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인데 실력을 키울수 있는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505091
지방 4년제 전자전기 공대생 1학년입니다.
다른게 아니고 제 학교에서 전공공부를 하다보니 문득 든 생각이 '스카이나 그에 준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공과대학들은 뭘 공부하고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학교에서 전공을 배우면서 뭔가 내가 배우고 싶은거에 비해서 조금 덜 배운다? 라는 느낌이 좀 있어요 아직 1학년이라서 뭘 모르고 얘기하는건지, 원래 이런건지는 몰라도 뭔가 더 배우고 싶습니다 ( 1학기 4.27 과탑 )
예를 들면 예전에는 편입을 위해서 영어공부를 해야겠다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제는 그걸 넘어서 단순히 실력향상을 위해서 영어공부를 하고싶다 라는 방향으로 초점이 바뀌어가고있습니다(물론 아직 마스터하지도 못했고 편입생각도 버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1. 아직 1학년인 제가 뭘 공부를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그냥 학교생활에만 충실하고 성적만 받기에는 뭔가 부족해요. 영어공부나 따로 전공을 공부하거나 해야하는데 뭘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영어도 토플 토익 텝스 등등으로 너무 광범위하고 전공은 더더욱..
2. 추가적으로 지방 공대에서 배우는 공부의 질과 양이 포카 스카이 서성한에 비해서 많이 차이날 수 밖에 없을까요? 이게 맞다면 저는 절대적으로 편입을 하고싶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찍 잘걸 ㅜㅡㅜ
-
4덮은 4덮일뿐이지만 4잘 6잘 수잘 드가자~
-
ㅇㅂㄱ 0
애초에 자지도 않았음
-
골좀넣어봐
-
여기 물리 많이쓰이나요? 로드맵에는 딱히 물리같은거없고 코딩 소프트웨어...
-
그날 해야 하는 공부들이 있는데 다 못 끝냈을 때의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요. 생활...
-
전문의 따고도 남을시간 아닌감…
-
D-210 0
영어단어 수특 1~13강 복습 사회문화 일탈이론 복습 관료제,탈관료제 복습 수학...
-
얼버기 4
얼리버드가 벌레를 잡는다
-
자야지 3
-
돌멩이는 신임 4
돌멩이: 수익률 0%정백: 수익률 -9.2% ㅅ ㅣ발
-
윤사 생윤만 봐도 너무 어렵던디 그리고 경우의수 잼병이라 확통은 ㄹㅇ 엄두도...
-
6년동안 읽은책 저거밖에없는데 많이심각한거임?
-
전교권 n수생 대치동 과학고 -> 과탐 1~3등급 다 차지함?
-
다음 주 화수목금 하루 한 과목씩 10시에서 1시 사이에 치는데 오후 5시 취침...
-
공대는 물리가 필수인건 다들 알고 있을거고 쨋든 현역으로 공대를 꼭 가고 싶다면...
-
아무거나 질받 ㄱㄱ
-
얼마를 잃은거지 ㅅㅂ..
-
얼버잠 1
네
-
오르비 안녕히계세요 11
2000모으고오겟습니다 화이팅
-
20일에 혼자 머라도 하고 집와야겠다
-
아직까지 못 자고 있냐..
-
미대입시해서 평소에 미술학원만갔다오고 뻗어서 방학때도 하나도 안하기도했고 고1부터...
-
외국인도 있네
-
좀비 등장
-
자취러 여친생기면 꿀팁 22
가을에 한 11000-12000원이면 흰다리새우 생물로 1키로 사는데 한...
-
작년보다 어려운 시험지 기대하겠습니다
-
8시 기상 도전 2
실패시 오만덕 뿌림
-
스케줄 비워놨으니까 딴데 가지마
-
평범하게 살고싶은 밤인데
-
불면증 아 4
기껏 11시반에 잠들었는데 말짱히 깨는거 뭔데
-
잼얘할 사람 7
흐흐
-
거래대금 순위가 이게 맞냐고 3배 레버리지 3배 곱버스가 1,2등하는건 너무하잖아...
-
오늘1교신데 6
이번학기첫자체휴강각인가
-
왜 아빠가 더 노력하지 않는걸까..
-
[13/15문제] 5번 밀도는 심층으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도 숙지 못함...
-
내 꿈은 5
롤드컵 우승임 반농담 반진담임
-
반박시난봉꾼
-
땅울림할게요 8
민족말살정책
-
오늘 일 클래스 1주차 강의 듣고있는데 "이정도는 다 되잖아" "당연히 이거지"...
-
올해 두 번째로 덮치는거에요?
-
지금은 요리가 취미인 의사가 되고싶어
-
B의 Ep랑 Ek랑 비율 관계가 10대 2고, B와 A 질량비 2대 3이니까 A...
-
1) 코구선수 2) 자택경비원
-
28예비 18번 같은거는 f-x가 g-x로 나누어떨어지는걸 눈치까라는말인데 그럼...
-
감기인가 코로나인가 구분이 안 가네 학원 일 할 땐 마스크 끼긴 했는데 아 설마
-
5년전 메타가 40분/25분 이고 맞나연?
2번은 당연한겁니다 ㅇㅇ 교재부터가 다른경우가 많아요
그럼 이건 의심할 여지가 없겠네요
제가알기론 서성한까지는 확실히 서울대랑 교재는 비슷한데 시험 난이도는 그레벨에서도 조금 차이나는 걸로 알아요 카더라긴한데 저도 한번 궁금해서 sky서성한애들한테 물어본적이 있는데 대략 저랫어요 저학년기준입니다 3,4 고학년은 몰라요
기술고시 공부?
어느과인데요?
전기전자공학입니다
무슨과목 들었는지요?
저번학기 전자전기물리학/공학개론 C언어 미분적분 기초들었구요 이번학기에 공학수학 전기기초물리학 C언어 듣습니다
전기전자물리학이랑 공수는 교재가 어떻게되나요?
출판사 말고 저자를 얘기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공수는 함남우, 물리학은 john W. Jewett, Raymond A. Serway/stan gibilisco 라고 적혀있네요
물리학 책은 다른 학교에서 쓰는 책이랑 난이도는 큰 차이 안나는 책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sky급의 실력을 가지고 싶다면 serway 물리책의 연습문제는 모두 풀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일반물리학책은 서울대에선 Haliday의 교재를 사용하고 그 외 benson교재 등등이 있는데 세 책 모두 난이도차이는 크게 안나요. 적어도 serway책의 연습문제를 다 풀 수 있다면 물리실력은 sky에 꿇리지 않습니다
함남우 책은처음들어봐서 찾아봤는데 sky급 교재보다는 수준이 낮습니다. 좀 더 공부를 하고싶으시다면 스튜어트 미적분학, 토머스 미적분학, 김홍종 미적분학을 추전합니다
덧붙혀서 말씀드리자면, 상위권 공대생과 하위권 공대생의 제일 큰 차이는 기초체력입니다. 하위권 공대생들은 기초체력을 제대로 안쌓고 응용교재로 넘어가서 식은 알고 있지만 그 식이 왜, 어디서, 어떻게 나오는건지를 잘 모릅니다. 따라서 상위권 공대생들과 비교해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지고 싶다면 공학의 기초체력인 수학이나 물리학을 많이 배워야합니다
상세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수학같은 경우는 추천해주시는 교재들로 틈틈히 공부하면서 풀어봐도 괜찮은 책들인가요? 말씀하신 것처럼 기초를 탄탄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자습하고싶으시다면 스튜어트나 토마스 미적분학을 추천드립니다. 이 문제들을 다 푸는 실력이 된다면 적어도 님은 서울대 1학년보단 잘하는겁니다
감사합니다 최선을 다해서 공부해봐야겠네요
공대쪽은 모르겠는데, 인문계는 확실히 지식과 실력을 늘리는 공부와 학점을 잘 받기 위한 공부는 다릅디다. 그래서 저는 딱히 조언을 해드릴 수가 없겠네요. 아 그건 확실한게, 상위권 대학일수록 배우는 공부를 차치하고 공부하는 사람의 깜냥이 엄청납니다. 보고 감탄나오는 사람 더럿 봤어요
궁금하실까봐 서울대 1학년 이공계에서 공통으로 배우는 물리학 숙제문제와 미적분학 시험문제를 보여드릴게요.
http://phya.snu.ac.kr/page3/index.php
http://www.math.snu.ac.kr/taoffice/calculus/QnA/QnA-033.001-frame.html
확실한건 제가 배우는 양보다는 훨씬 많아보이네요 몰라서 못 풀겠는데 왜 재밌어보이죠ㅋㅋㅋ
재밌어보인다면 반수 편입 추천, 교환학생 제도 이용해서 지거국에서 서울대로 올라와서 수업듣고 인턴까지 하는 경우도 몇번 봤어요
사실 공대의 경우 지식이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배움에 있어서 차이가 아주 크지는 않다고 생각하구요.
배움의 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특히 전자전기의 경우는 수학문제를 풀 일이 많은데 수학을 잘하냐 못하냐에 따라 받아드리는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kocw.net 에 검색하면 다양한 대학의 전공강의가 올라와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해보겠습니다
싸이엔지나 하이브레인넷 등의 이공계 전공자들의 사이트에서 조언을 구해보세요!